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평창동계올림픽 출전 중국 대표단 기수는 누구?

기사입력 : 2018년01월25일 17:31

최종수정 : 2018년01월31일 10:12

남자 쇼트트랙 500m ‘우다징’ 소치 천재소년 ‘한톈위’
대표팀 맏형 ‘장하오’, 프리스타일 스키 ‘치광푸’
스피드스케이팅 떠오르는 샛별 ‘가오팅위’

[뉴스핌=홍성현 기자]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이 오는 2월 9일부터 2월 25일까지 평창 및 강릉, 정선 일대에서 펼쳐진다. 이번 대회 중국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인 약 70여명의 선수가 참가해 메달 사냥에 나설 전망이다.

9일 열릴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중국의 단복인 안타 유니폼을 입고 선수단의 맨 앞에  나설 중국팀 기수(旗手)는 누가 될까? 우리나라 메달 텃밭 쇼트트랙 숙명의 라이벌 우다징(武大靖)과 천재소년 한톈위(韓天宇), 올림픽 5회 출전 대표팀 맏형 장하오(張昊), 프리스타일 스키 신성 치광푸(齊廣璞), 스피드스케이팅 에이스 가오팅위(高亭宇)가 중국 대표팀 기수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식 현장 중국 대표단 <사진=바이두>

◆ ‘쇼트트랙 금메달 사냥꾼’ 우다징(武大靖)

중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우다징(武大靖 1994년생)은 중국 대표팀에서 가장 안정적인 역량을 펼치고 있는 선수다. 올 시즌(2017-2018) 열린 남자 쇼트트랙 500m 종목 4번의 경기 중 3차례 1위를 차지하는 등 최상의 컨디션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평창올림픽 금메달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이다.

그가 중국 선수단 기수 최우선 후보로 거론되는 것은 발군의 실력 때문이기도 하지만, 기수를 하기에 적합한 신체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지 매체들은 182cm의 훤칠한 키에 당당한 이미지, 실력까지 겸비한 우다징이 대표단 기수의 자격요건을 완벽히 갖췄다고 평가한다.

열살 때 쇼트트랙을 시작한 우다징은 2010년 중국 국가대표로 처음 선발됐다. 주종목 500m는 쇼트트랙 종목 중 가장 짧은 단거리에 속하지만, 우다징은 오히려 막판 스퍼트를 자랑해 ‘역전의 아이콘’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이번 평창 올림픽 남자 쇼트트랙 500m에서는 우리나라 남자대표팀 에이스 임효준과 치열한 경합을 벌일 전망이다.

중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우다징(武大靖) <사진=바이두>

 ◆ ‘소치올림픽 천재소년’ 한톈위(韓天宇)

한톈위(韓天宇 96년생)는 지난 2014년 열일곱의 나이에 소치올림픽에 참가,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따내며 ‘천재소년’이라는 극찬을 받았던 주인공이다. 그로부터 4년이 흐른 2018년, 천재소년 한톈위는 보다 업그레이드된 기량으로 평창 올림픽 출전을 앞두고 있다.

중국에서 한톈위는 쇼트트랙 역사를 새로 쓴 스포츠 영웅이다. 2014년 소치 올림픽 당시 한톈위가 따낸 남자 1500m 은메달은 중국이 해당 종목에서 거둔 가장 좋은 성적으로, 금메달 보다 값진 은메달이었던 것. 이어 2016년 3월에는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남자 1500m 1위를 차지, 중국 쇼트트랙 세계선수권 역사상 최초로 1500m 금메달이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경기 흐름을 읽는 능력이 뛰어나 1000m와 1500m 중장거리 금메달 유망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비교적 나이가 어리긴 하지만 지난 2017년 개최된 삿포로동계아시아경기대회에서 이미 기수로 나선 경험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이번 평창 올림픽에서 중국 국기를 잡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한톈위(韓天宇) <사진=바이두>

 ◆ 중국 대표팀 맏형’ 장하오(張昊)

2018 평창올림픽 중국 대표팀의 큰형님을 꼽으라면 피겨스케이팅 페어 종목의 장하오(張昊 84년생)를 빼놓을 수 없다. 장하오는 이번 평창 대회가 벌써 다섯번째 올림픽 출전이다. 지난 20년간 올림픽 무대를 밟으며 중국 대표팀 영광의 순간을 함께한 맏형 장하오가 평창올림픽 기수가 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분석이다.

장하오는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로 알려져 있다. 당시 피겨스케이팅 페어 종목에 출전한 장단(張丹)-장하오 조는 부상투혼을 발휘해 경기를 끝까지 마치며 박수갈채를 받았다. 과거 김연아의 아이스쇼에도 참가했던 장하오는 국내 피겨팬들에게도 익숙한 얼굴이다.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는 위샤오위(於小雨)와 함께 페어팀을 결성해 올림픽 메달 사냥에 나설 전망이다. “나는 다섯번째 올림픽 출전이지만, 함께 페어 경기에 나서는 위샤오위는 생애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는 만큼 지난 올림픽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 피겨스케이팅 페어 국가대표 장하오(張昊, 오른쪽)

 ◆ ‘프리스타일 스키 신성’ 치광푸(齊廣璞)

공중곡예를 통해 예술성을 겨루는 프리스타일 스키(freestyle ski)는 익스트림하고 볼거리가 풍부한 설상(雪上) 종목이다. 치광푸(齊廣璞 90년생)는 중국 프리스타일 스키 국가대표로서 생애 세번째 올림픽인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한다.

만일 이번 대회에서 치광푸가 중국 대표팀 기수를 맡으면, 그는 역대 두번째로 중국 국기를 잡는 설상 종목 선수가 된다. 지난 2번의 올림픽에서 값진 경험을 쌓은 치광푸는 최근 열린 세계대회에서 고난이도 묘기를 깜짝 선보이며 ‘중국 프리스타일 스키 신성’으로 기대를 모은다.

치광푸는 2013년 개최된 노르웨이 프리스타일 스키 세계선수권에서 1위 영광을 차지한 데 이어, 지난 2015년 오스트리아 세계선수권에서는 139.5점으로 중국 역대 최고점수를 경신하며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중국 프리스타일스키 국가대표 치광푸(齊廣璞) <사진=바이두>

◆ ‘스피드스케이팅 차기 에이스’ 가오팅위(高亭宇)

쇼트트랙과 함께 빙상부문 인기종목인 스피드스케이팅에는 떠오르는 신예 가오팅위(高亭宇 97년생)가 눈길을 끈다. 갓 스물을 넘긴 가오팅위는 엄청난 속도로 실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지난 2017년 2월 삿포로 동계아시아경기대회에서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따냈다.

이제 가오팅위는 중국 대표팀 다크호스에서 팀 내 에이스로 발돋움 하는 중이다. 중국 매체들은 떠오르는 스포츠스타 가오팅위가 외모와 실력적인 면에서 모두 중국 대표팀 기수 후보로 적합하다고 평가한다.

한편 이번 평창올림픽 가오팅위의 주종목 스피드스케이팅 500m에는 우리나라의 차민규, 김준호, 모태범 선수가 출전해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중국 스피드스케이팅 국가대표 가오팅위(高亭宇) <사진=바이두>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