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재계·경영

속보

더보기

[인사] LG전자

기사입력 : 2018년11월28일 14:30

최종수정 : 2018년11월28일 14:30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LG전자는 28일 이사회를 열고 2019년도 임원인사를 실시했다. 이에 따라 부사장 5명, 전무 12명, 상무 39명 등 총 56명이 승진했다. 아래는 승진자 명단이다. 

 

◇ 부사장 승진(5명)

박형세(朴亨世) TV사업운영센터장

윤태봉(尹泰棒) H&A해외영업그룹장

전명우(田明祐) 경영지원그룹장

최고희(崔高熙) CTO SIC센터장

최승종(崔昇鍾) CTO SIC센터산하Task리더(수석연구위원)

 

◇  전무 승진(12명)

김정태(金政泰) 한국B2C그룹장

백승면(白承勉) H&A제어연구소장

백승태(白承台) RAC사업담당

서영재(徐永在) 상품전략담당

오세기(吳世基) 에어솔루션연구소장

유규문(劉圭文) CS경영센터장

이삼수(李三秀) LG사이언스파크 Digital Transformation담당

이상용(李相龍) CTO A&B센터장

이천국(李天國) HE북미영업담당

이철훈(李哲熏) MC북미영업담당

이현준(李賢濬) MC선행연구담당

임종락(林鍾樂) 스마트개발센터장

 

◇ 상무 승진(39명)

김명수(金明洙) 냉장고 T/Freezer BL

김상욱(金尙郁) 한국모바일사업자담당

김성호(金聖鎬) B2B마케팅담당

김양순(金良純) 부품솔루션생산담당

김이권(金二權) H&A기획관리담당

김재승(金載承) 캐나다법인장

김주민(金柱玟) CTO 인공지능연구소장

김학현(金學鉉) IT해외영업담당

김희철(金熙徹) HE품질경영담당

노영호(盧暎昊) 빌트인사업실장

박내원(朴來源) 한국HA마케팅담당

박상호(朴相鎬) 중남미기획관리담당

박종선(朴鐘善) VS Connectivity개발담당

백승민(白承珉) CTO 로봇신사업개발Task리더

사영진(史暎鎭) CTO HR담당

서흥규(徐興揆) 상품전략담당 산하

손휘창(孫輝昌) 쿠킹/빌트인연구개발담당

송시용(宋始勇) 제조역량강화담당

송준혁(宋晙赫) MC선행영업담당

신화석(申和錫) 콜롬비아법인장

엄위상(嚴位相) CTO Software공학연구소장

여창욱(余昌彧) 유럽ID사업실장

유병국(劉秉國) AVN개발리더

이범섭(李範燮) 북유럽법인장

이석수(李昔秀) SW업그레이드센터장

이수종(李壽鍾) 품질심사담당

이영채(李榮彩) 일본법인장

이은정(李恩政) 인사담당

이장하(李長河) CEM사업담당

이정희(李定熹) 경영기획담당

임상무(林相武) 청소기사업담당

임선경(林善京) VS전력모듈Task리더

장석호(張錫虎) TV제품개발실장

정원진(鄭園蓁) 로봇사업전략/개발담당

정해진(鄭海振) 단말생산담당

조성구(趙誠球) HE디자인연구소장

조휘재(趙彙宰) CTO 특허경영실장

최승윤(崔承胤) HE/VS스마트구매담당

Zhongxun Sun(孙忠逊) 중국 동북담당

 

sj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