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고용부 ‘직업계고 현장실습 보완 방안’ 발표
현장실습 참여기업 늘리기에 주력...안전에도 만전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정부가 직업계고 학생들의 사회진출 기회를 늘리기 위해 ‘현장실습 참여기업’ 절차를 간소화한다. 특히 2022년까지 현장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우수 기업’ 3만개 이상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수습기자 =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직업계고 현장실습 보완 방안’을 31일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2022년까지 취업을 희망하는 모든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안전한 현장실습 기회를 보장하는 데 목표를 뒀다.
현장실습 참여가 복잡하고 준비해야 할 서류가 많은 등 현장 부담이 증가해 기업의 현장실습 참여가 위축돼, 학생들의 사회 진출 기회도 줄었다.
먼저 교육부는 참여기업의 부담은 줄이고 장려책을 확대해 기업의 현장실습 참여를 늘리는 데 박차를 가한다.
실제 현장실습 참여기업 수는 2016년 3만1060개에서 2019년 1만2266개로 줄었다. 이에 따라 현장실습 참여 학생 수도 2016년 6만16명에서 2019년 2만2479명으로 줄었다. 현장실습 참여절차가 복잡하고 준비해야 할 서류가 많은 등 기업 부담이 증가해, 학생들의 사회진출 기회가 줄어든 셈이다.
현장실습 선도기업 선정절차를 통합·간소화하고 현장실사 시기를 유연하게 조정한다. 현장실습 선도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중 학교·학생 만족도가 높은 곳은 재선정 절차 없이 3년간 지속을 인정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 같은 우수한 선도기업을 2022년까지 3만개 이상 확보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현장실습과 고졸 취업 지원에 적극적인 우수기업에 대해 정책자금 지원과 공공입찰 가점, 금리 우대 등 장려 방안 또한 확대한다.
또 현장실습생의 안전과 권익 보장을 강화한다. 현재는 노무사가 현장실습기업을 사전적으로 점검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를 보완해, 모든 직업계고에 전담노무사를 지정해 학생들에게 상시적 상담을 제공하는 등 사후적인 지원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실습생 사고 예방을 위한 관련 법령 개정도 검토한다. 기존 실비 수준이던 현장실습생 수당이 현실화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시·도교육청 의견을 수렴해 수준을 설정할 계획이다.
또한 직업계고 학생이 사회인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직업계고 3학년 2학기를 ‘전환학기’로 운영한다. 학생들은 전환학기를 통해 전공과목을 중점적으로 이수하거나 현장실습을 중점적으로 이수해 진로 희망에 따라 교육과정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교육부는 모든 직업계고에 ‘취업지원관’을 1명 이상 배치해 중앙-지역-학교로 이어지는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방안은 정책의 현장수용성을 높이고 실질적으로 현장실습 기회를 넓히는데 초점을 뒀다”며 “안전한 현장실습, 학습과 현장경험을 연계해 취업의 문을 넓히는 현장실습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 날 발표엔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직업계고 교장, 교사, 학생 등이 참석했다.
km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