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드십 코드 도입...눈치보기 시작하는 기업들
한진그룹 첫 신호탄, 올해 개선 압박 본격화
배당‧자사주 취득 및 소각‧임원겸직 '단골메뉴'
일반 배당성향 20%...총수 지분 많은 CJ 70% '압도적'
[서울=뉴스핌] 최주은 기자 = 기업을 포함한 기관투자자들이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자가 기업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의결권 행사 지침)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한 기관은 총 72곳. 도입 의사를 밝히고 준비 중인 기관 37곳을 포함하면 109곳에 이른다.
최근 시험대에 오른 기업은 한진그룹이다. 이 회사는 조현민의 ‘물컵’ 갑질과 조현아의 ‘땅콩회항’ 사건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바 있다. 또 한진칼은 지난 2017년 현금성 자산이 2463억원에 달했지만 배당은 75억원만 했다. 순이익 대비 배당총액 비율인 배당성향이 3%대에 그쳤고, 배당수익률이 1%에도 미치지 못한다. 같은 기간 대한항공의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은 각각 3%와 0.7%로 더 낮다.
국내 기업들 상당수는 일감 몰아주기, 경영권 승계 등 주주행동주의 펀드의 타깃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갖고 있다. 결국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기업가치가 증대될 수 있는 기업 중 대주주 지분율이 낮은 곳들을 뽑아내면 그 대상은 주요 대기업들의 지주회사로 좁혀진다. 특히 대기업 지주사는 여러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어 지배구조 개선으로 인한 파급효과가 크다.
주주 가치 제고 측면에서 기업에 지적할 수 있는 내용은 배당, 내부거래, 자사주 취득 및 소각, 임원 겸직 등이다. 상당수 기업이 중간배당 및 자사주 소각을 하지 않는 등 대동소이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다른 기업의 사례를 통해 경영 개선 가능성과 주주행동주의 펀드의 입성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자.
◆ 롯데, 총주주 수익률 대부분 마이너스...중간‧분기 배당도 안 해
우선 지주사로 전환한 롯데지주는 총수 일가의 지분율이 낮고 사회적 이슈가 연결돼 행동주의 펀드의 잠재 타깃이 될 수 있어 보인다. 신동빈 회장과 신격호 명예회장의 롯데지주 지분율은 각각 8.63%와 6.83%다. 롯데는 지주체제 출범 이후 지배구조를 빠르게 개선하고 있다. 계열사 간 순환출자가 2015년 416개, 2016년 67개, 2017년 11개로 급감하다 지난해 4월 순환출자 문제를 완전히 해소했다.
그럼에도 추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 롯데그룹에 소속된 10개 상장 계열사(롯데손보, 롯데쇼핑, 롯데정밀화학, 롯데제과, 롯데지주, 롯데칠성음료, 롯데케미칼, 롯데푸드, 롯데하이마트, 현대정보기술) 가운데 총주주수익률(배당수익률+누적주가수익률)이 최근 3년 연속 플러스를 기록한 계열사는 롯데케미칼 1개사에 불과하다. 2017년 총주주수익률은 롯데정밀화학이 83.3%로 가장 높았고, 롯데제과가 –25.1%로 가장 낮다.
또 롯데그룹 상장 계열사는 정관상 중간배당 또는 분기배당을 해야 하지만 최근 3년 동안 중간‧분기배당을 실시한 회사가 없다. 현대정보기술은 최근 3년간 낮은 당기순익을 보임에 따라 배당을 아예 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롯데지주 출범 이후 지배구조 개선이 빠르게 진행되는 국내와 달리 일본 롯데홀딩스의 지배구조는 변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 LG그룹, 내부거래 비율 50% 육박
LG그룹은 지난해 5월 상장사 11곳 기준 총수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지분율이 9.75%다. 이는 10대 그룹 평균(54.43%) 대비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이 가운데 지주사 LG의 내부지분율은 23.73%. LG그룹은 지주사인 LG를 통해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다. LG는 LG전자의 자회사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을 제외한 나머지 상장 계열사의 최대 주주다. IT, 생활가전, 전장 사업부문에서 수직계열화를 이루고 있어 타 기업 대비 내부거래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한다.
LG그룹의 내부거래 비율은 2017년 기준 16.4%로 10대 그룹 12.8%보다 높다. LG전자를 비롯해 LG화학,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실리콘웍스 4개사의 내부거래 규모는 LG그룹 전체의 47.8% 수준이다. LG전자의 경우 2016년 말 대비 2017년 말 내부거래 규모가 1조원 이상 늘었다.
LG그룹은 지난 2017년 상장사 11곳 모두 결산배당을 했지만 LG상사를 제외한 나머지 10곳에서 중간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 배당성향도 점차 낮아진다. 특히 LG이노텍은 2016년 48.6%에서 2017년 3.3%로 급락했다. 순이익은 급증했지만 배당금은 높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 CJ그룹, 총수 일가 지분 많은 CJ에 배당 몰아주기
CJ그룹은 총수 일가가 들고 있는 지주사 배당이 압도적이다. 배당을 많이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적과 무관한 배당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총수 일가가 보유한 지주사 CJ 지분율은 42.2%(이재현 42.07%, 이경후 0.13%)로 타 지주사 대비 높은 수준이다. 2017년 기준 CJ의 배당성향은 70.1%다. CJ그룹에서 높은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는 CJ E&M(당기순익 비중 37.1%), CJ제일제당(36.3%), CJ오쇼핑(12.6%)의 배당성향은 각각 44.2%, 17.8%, 14.1%다. 이들과 비교할 때 CJ의 배당성향은 지나치게 높은 게 사실이다. GS 45.1%, SK 36.9%, LG 24.0% 등과 많게는 3배가량 차이가 난다. CJ가 고배당성향을 보이는 것은 총수 일가 지분이 많아서다. 일각에선 CJ그룹 배당 정책이 실적과 배당 간 관련성이 높지 않아 부채비율 등 재무구조 개선 및 장기적 주주가치 향상을 위한 적절한 배당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내부거래 비율은 14.6%로 대기업집단 평균 19.2%와 비교하면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대부분 수의계약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룹 내 내부거래위원회가 설치돼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행동주의 펀드가 나설 경우 내부거래 투명성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 신세계 중간배당 없고...SK 내부거래 많아
신세계그룹 내 신세계와 신세계인터내셔날, 신세계푸드, 이마트는 정관상 분기배당을 명시하고 있지만 최근 3년간 분기배당을 한 번도 실시하지 않았다. 또 신세계와 이마트에서 자사주 취득이 소량 이뤄져 실제 주주 가치에 영향을 미친 경우는 신세계아이앤씨가 유일하다. 이에 총수가 임원으로 등재된 계열사가 없어 책임경영 강화가 요구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SK그룹의 경우 내부지분율과 기업공개율은 10대 그룹 평균 수준을 나타냈지만 내부거래 비율은 26.9%로 10대 그룹 가운데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지주회사인 SK의 내부거래 비율이 39.8%로 가장 높았다. 계열사 가운데 SK바이오랜드와 SK이노베이션이 최근 3년간 자사주 취득 및 소각 이슈가 없었다. 또 그룹의 18개 상장사에 등기임원 46명, 비상임등기임원 15명, 사외이사 56명으로 구성됐는데 등기임원의 계열사 겸직 비율이 39.3%로 높은 편에 속했다. 등기임원의 계열사 겸직은 충실한 업무 수행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jun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