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선 가도에 악영향 미칠수도
물가 불안 현실화 시 통화정책 변화 불가피
“中, 협상력 제고 위해 경기부양책 강화” 전망
[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는 가운데, 협상 장기화가 미국에 반드시 유리한 상황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 |
하이투자증권은 16일 보고서를 통해 무역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미국과 중국 양측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에 대한 통상압박이 장기화될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에 부담이 될 것”이라며 “실제로 미국 관세 부과 대응으로 중국이 대두 등 미국산(産) 농산물 수입을 큰 폭으로 줄이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주지지층인 농촌지역에 벌써부터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물가 역시 무역협상 장기화 가능성을 낮추는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박 연구원은 “통신장비 등 핵심 수입제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되면 수입물가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수입물가 상승으로 미국 내 물가 불안이 현실화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 하락은 물론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기조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중국에 대해선 경기 경착륙 방어 차원에서 부양책을 다시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무역협상 장기화로 성장률이 5%대에 진입하면 잠재해 있던 기업부채 리스크가 현실화되며 자칫 깊은 침체의 수렁에 빠질 수 있다”며 “향후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다소 주춤했던 경기부양 강도를 다시 높일 공산이 크다”고 봤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