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인사풀 한계점 도달
[강릉=뉴스핌] 이순철 기자 = 강원 강릉시와 산하 기관이 간부 공석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며 ‘인사 난맥상’이 행정 공백 및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강릉시민단체 및 공공노조에 따르면 김한근 시장의 무리한 인사 단행이 인사난맥상을 예고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하듯 최근 강릉시 4급 간부가 올림픽 조형물 비위와 관련해 실형이 선고돼 직위해제되며 강릉시 인사풀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 |
| 강릉시청[뉴스핌DB] |
지난달 감사원은 승진 요건을 갖춘 직원이 있는데도 승진 임용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자를 국장 직무대리로 지정하면 인사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보고를 받고서도 승진 소요 최저 연수에 미달한 두 읍장과 과장을 직무대리로 발령했다.
또 시설 직렬 승진 1자리에 대해서는 승진 후보자 명부상 유일한 후보자를 승진시키지 않기 위해 승진 대상을 토목직만으로 한정하도록 지시하고 승진 소요 최저 연수에 미달한 과장을 본부장 직무대리로 내정했다.
이로 인해 강릉시가 감사원으로 부터 승진 업무 규정 위반으로 주의 조치를 받음에 따라 4급 국장으로 승진하려면 해당 분야 업무를 최소 4년 이상 한 5급 사무관이어야 한다는 규정을 지켜야 한다.
강릉시 인사풀을 살펴보면 현재 이 규정에 해당되는 과장급은 건설교통국장 겸직을 하고 있는 조모 과장이 다음해 1월, 또 다른 과장 마저 7월이 되야 규정을 따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과장은 다음해 12월 모두 공로연수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김 시장의 인사논리에 맞지 않아 김 시장이 시 인사를 놓고 이러지 저러지 못하는 진퇴양난(進退兩難)이 빠졌다.
또 시 산하기관인 강릉관광개발공사의 사장은 2차례에 걸친 공모로 28명이나 응모했지만 적임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행정국장이 겸임하고 있다.
이는 전문성이 떨어지는 공무원에게 겸직하게 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강원지역본부 강릉시지부는 "감사원 감사 결과를 보면 국장급 인사는 시장이 인사 라인 직원들에게 불법과 탈법을 강요하는데 거리낌이 없었고, 인사위원회의 기능마저 마비시키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는데도 기관주의 처분으로 마무리됐다"면서 "시장은 공개 사과하고, 검찰은 엄정하게 수사해 시궁창에 빠진 인사행정을 바로 잡아 달라"고 주문했다.
김한근 시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향후 실적을 낸 읍면동장을 국장으로 승진시키고 직원들의 능력과 성과를 우선하는 인사를 단행하겠다"고 말했다.
grsoon81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