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 경기부양 위해 5년간 1190조원 투자, 뜨는 '신형 인프라' 유망주

기사입력 : 2020년03월12일 17:03

최종수정 : 2020년03월13일 08:03

향후 5년간 7대 신형 인프라 구축으로 최대 1190조원 투입
통신·전력 등 신규 기반 시설 확충,경제 '新동력'으로 작용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 당국이 '신형 인프라' 건설로 경기 부양을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A주 시장의 수혜 종목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초상(招商)증권은 오는 2025년까지 7가지 분야 기반 시설에 초점을 둔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5조~7조 위안(약 850조~1190조 원)의 금액이 투입될 것으로 봤다. 향후 2년간 투자 규모는 연간 30%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7대 신형 인프라는 △5G 통신망 △특고압 송전설비 △고속철도 △ 전기차 충전기 △데이터 센터 △인공지능 설비 △산업 인터넷망 분야를 망라한다. 

특히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5G 통신망은 향후 5년간 2조 ~2조 5000억 위안(약 340조~425조 원)의 금액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됐다.

5G 통신망 구축에 따른 관련 밸류체인 업종의 직·간접적인 파급 효과도 막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 교육, 재택근무, 원격의료, 행정 정보화 분야에 걸쳐 기반 시설이 확충되면서 누적 투자 규모가 3조 5000억 위안(약 59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점쳤다.

올해 55만개의 5G 기지국 건설 확충이 유력시 되는 가운데 기지국 설비를 공급하는 중흥통신(中興通訊·000063), 봉화통신(烽火通信· 600498), 생익과기(生益科技 ·600183)가 수혜종목으로 꼽힌다.

[사진=셔터스톡]

특고압 송전 선로의 건설도 확대되면서 관련 업체들도 호재를 맞을 전망이다. 현재 건설 중이거나 심의중인 특고압 송전 설비 사업은 16건에 달한다.

이중 이미 승인된 7개 사업에 투입되는 금액은 1128억 위안(약 19조원)에 이르고, 현재 진행중인 송전 선로 사업 규모를 감안하면 총 투자규모는 2577억 위안(약 43조원)에 달할 것으로 집계됐다. 전력 설비 분야 상장사인 특변전공(特變電工·600089), 평고전기(平高電氣· 600312)가 유망 투자처로 거론된다.

전기차 충전기 사업도 고속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초상증권은 올해 전기차 충전기 시장 규모가 최대 177억 위안(약 3조원)에 이를 것으로 봤다. 오는 2025년까지 40%가 넘은 가파른 성장을 지속하면서 시장 규모가 최대 1290억 위안(약 21조원)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전력 설비 솔루션 제공업체인 국전남서(國電南瑞· 600406), 허계전기(許繼電氣· 000400)등 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

[사진=셔터스톡]

산업 현장 전반에 사용되는 산업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분야도 대규모 투자가 집행될 예정이다. 오는 2025년까지 약 6000억 위안(약 102조원)이 넘는 금액이 산업 인터넷망 구축에 사용될 것으로 추산된다. 산업 인터넷 플랫폼 분야 강자인 삼일중공(三一重工·600031), 랑조신식(浪潮信息·000977)등 업체가 관련 테마주로 꼽힌다. 

강력한 경기 부양 카드로 꼽히는 고속철도 분야도 투자 확대가 기대된다. 올해 완공될 예정인 노선은 총 14개로, 투자 규모는 6207억 위안(약 10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중국중차(中國中車· 601766), 중철공업(中鐵工業· 600528)이 철도 차량 제작 및 철도 설비 업체의 대표업체로서 각광받을 전망이다.

데이터 센터(IDC) 업종도 가파른 성장세로 주목 받고 있다. 초상증권은 오는 2024년까지 데이터 센터 산업의 규모가 2558억 위안(약 43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IT 서비스 및 설비 분야 간판주로 꼽히는 랑조신식(浪潮信息·000977)이 유망 종목으로 꼽힌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부부 공천개입 수사 급물살 타나 [서울=뉴스핌] 박서영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심판 선고에서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된 가운데 이른바 '명태균 의혹'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윤 전 대통령 부부에 속도를 낼지 이목이 집중된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법재판소는 4일 오전 11시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열어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은 헌정 사상 두 번째 파면이다. 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 DB] 검찰은 지난 2월 17일 윤 전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의혹, 여론조사 조작 의혹,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 등 명씨 관련 사건을 창원지검에서 중앙지검으로 이송했다. 이후 검찰은 해당 사건과 관련한 연이은 소환조사 및 강제수사 등에 착수하면서 잔여 수사에 속도를 내 왔다. 검찰은 명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한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가 당시 대선 후보였던 윤 전 대통령을 돕고자 총 81차례에 걸쳐 불법 여론조사를 해 주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2022년 6·1 보궐선거에서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 공천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았다고 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는 이와 관련, 보궐선거와 지난해 4월 22대 총선 당시 국민의힘 공천 과정에 개입한 의혹을 받는다. 이날 헌재의 결정으로 윤 전 대통령은 현직 대통령으로서 가졌던 '불소추특권'을 잃게 됐다. 기존 수사 대상이던 내란 혐의뿐 아니라 공천 개입 의혹 수사도 피할 수 없게 된다는 의미다. 법조계 안팎은 조기 대선을 앞두고 윤 전 대통령 부부를 향한 공천 개입 의혹 사건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계 출신 법조인은 "박 전 대통령도 파면된 다음에 소환조사가 바로 이뤄졌다"며 "곧바로는 아니겠지만 민주당 측에서 신속한 수사를 압박할 텐데 검찰도 조만간 협의를 해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소환 일정 등을 잡으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2016∼2017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 때, 박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되고 3개월 만에 헌법재판소가 파면 결정을 내렸다. 당시 검찰과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는 박 전 대통령이 자연인 신분이 된 이후 급물살을 탔다. 박 전 대통령은 파면 11일 만에 검찰에 소환됐고, 이후 열흘 만에 구속됐다. 양홍석 변호사(법무법인 이공)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됐으니 명태균 수사의 경우 검찰이 좀 더 가열차게 할 것 같고,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도 있는데 이 또한 바로 착수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며 "다만 전직 대통령이기 때문에 신병 문제는 바로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검찰의 신속한 수사는 진행되겠지만, 윤 전 대통령의 소환조사 등은 조기 대선이 끝난 후 이뤄질 것이란 분석도 있었다.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는 "대통령이 파면됐으니 적극적으로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조사하려고 들긴 하겠지만 소환조사의 경우 조기 대선 이후가 될 것 같다"며 "정치적 파장이 큰 사안이라 검찰이 속도를 내서 수사 한다 해도 대선 정국에서 전 대통령 부부를 직격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탄핵심판 선고에서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된 가운데 이른바 '명태균 의혹'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윤 전 대통령 부부를 향할지 이목이 집중된다. 사진은 명태균 씨가 지난해 11월 8일 오전 경남 창원시 창원지방검찰청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seo00@newspim.com 2025-04-05 07:00
사진
[尹 파면] 조기 대선 막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하며 조기 대선 막이 올랐다. 현재 조기 대선 레이스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민주당) 대표가 독주하는 구도다. 여·야 잠룡들은 권력 구조를 개편하는 개헌론으로 차별화에 나서는 등 대권을 향한 행보를 시작했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4.03 ace@newspim.com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기 대선은 오는 5월 말에서 6월 초에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헌법 제68조 2항에 따라 파면 등으로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 선거를 치러야 해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공직선거법 제35조 1항에 따라 늦어도 오는 14일까지 조기 대선일을 공고해야 한다. 조기 대선 레이스에 들어가며 대권을 노리는 후보자 발걸음도 분주해졌다. 선두 주자는 이재명 대표다. 이 대표는 차기 대권 유력 후보자를 묻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 이 대표는 최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받으며 사법 리스크 부담도 덜었다. 야권에서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김두관 전 국회의원,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영록 전남지사, 이광재 전 강원지사, 전재수 의원 등이 당내 경선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1강'인 이 대표와 비교해 열세다. 야권 잠룡들은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 등 개헌론을 부각하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국회의원도 차기 대권을 넘보고 있다. 이준석 의원은 '40대 기수론' 등 정치권 세대 교체론을 앞세우고 있다. 여권에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안철수 국회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유승민 전 국회의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조기 대선에 참전할 가능성이 있다. 여권 후보자들은 당내 경선에서 정통 지지자인 보수 표심을 먼저 얻어야 한다. 동시에 본선에서 중도층 표까지 끌어올 수 있는 경쟁력도 보여줘야 한다. 여권 후보자들은 '12·3 비상계엄 사태'를 촉발한 제왕적 대통령제 한계 극복 방안으로 대통령 권한을 분산하는 개헌론을 제시하고 있다. 각 당은 곧 당내 경선을 시작해 본선에 올릴 후보자 선정에 들어간다. 공직선거법 제49조에 따라 조기 대선 24일 전부터 이틀 동안 대통령 후보 등록을 끝내야 하기 때문이다. 조기 대선이 오는 6월 3일 치러지면 각 당은 오는 5월 11일까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통령 후보를 등록해야 한다. 여야는 약 8년 전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박근혜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후 1개월 안에 대통령 후보 선출을 마무리했다. 범야권이 대통령 단일 후보로 본선에 들어갈지도 주목된다. 당 내 간판 주자가 없는 조국혁신당은 '야권 통합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을 제안했다. 이 대표가 있는 민주당이 이에 응할지에 정치권 이목이 쏠리고 있다. ace@newspim.com 2025-04-0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