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관 전문가 2022년 성장률 5%대 초반 전망
<上에서 이어짐>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부동산 파장 커지면 성장률 4.5%로 후퇴할 수도
모건스탠리 수석 경제학자 싱즈챵(邢自强)
2021년에는 세계 무역 수요가 중국 수출 활동을 촉진시켰다. 동시에 중국은 디레버리지와 부동산 구조조정, 인터넷 플랫폼 기업및 탄소 배출 기업에 대한 감독 관리를 강화했다. 2021년 중국 거시 부채율은 10% 포인트 정도 낮아졌다. 부동산과 인프라 투자 실제 증가 속도는 0% 이하에 머물고 있다.
2022년 재정과 신용대출 정책은 완화와 적극적인 스탠스를 보일 전망이다. 감세와 비용 감축 소비 촉진과 녹색 인프라 투자등의 부양책이 취해질 것으로 보인다. 거시경제는 2021년 4분기에 바닥을 지나 점진적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2022년 GDP 성장률은 동기대비 5.5%로 잠재 성장률에 바짝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프라와 제조업 투자가 가속화하고 부동산 경기 하강에도 지지선이 형성될 전망이다. 하지만 부동산 리스크가 적절히 통제 되지 않으면 성장률이 4.5%로 후퇴할 수도 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2021.12.02 chk@newspim.com |
미국 금리올리면 중국은 어떤 선택?
즈신투자 수석연구원 롄핑(連平)
중국 경제는 2022년 안정성장, 취업보장, 리스크 예방, 인플레이션 통제 등의 과제에 맞딱뜨릴 것이다. 2035년 현대화 국가 실현을 위해서는 14.5 계획기간(2021년~2025년) 중국은 평균 5% 이상 성장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다만 산발적 코로나19 발생이 소비와 생산에 타격을 주고, 업스트림 가격 상승 등 불리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중국 GDP 성장의 30%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 조정은 투자와 소비의 발목을 잡고 있다. 부동산 발 금융 리스크의 우려도 존재한다. 경제가 5%이상 성장하고 시스템적 금융위기를 예방하려면 통화 긴축을 완화해야 한다.
중앙은행의 2022년 통화정책 기조는 시장 유동성 충족에 중점을 둬 신대와 사회융자를 촉진시키고 대출 시장의 자금 안정을 유지하는데 맞춰질 전망이다. 소폭의 지준율 인하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부동산 전면 부양 없어, '팡주부차오' 규제정책 유지
노무라증권 중국 수석 경제학자 루팅(陸挺)
중국의 현 부동산 정책은 개혁차원에서 가장 규제가 심한 시기에 처해있다. 헝다그룹 부채 사태를 비롯해 많은 건설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자금 위기에 처한 직접적인 배경이다. 연초부터 문제가 됐던 화샤행복 디폴트 위기도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정부의 부동산 조정정책이 바뀌지 않으면 앞으로 더많은 기업들이 디폴트 압력에 직면할 전망이다. 하지만 당국은 투기 억제책인 '방주부차오' 정책 기조를 바꾸지 않고 있다. 규제 책을 거둔다는 신호가 감지되는 순간 아파트 가격은 보복적 반등세를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2021.12.02 chk@newspim.com |
중국 당국은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지 않고 붕괴되지도 않도록 안간힘을 쏟고 있다. 지방별로 가격 상승을 통제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아파트(부동산)를 일정 가격 이하로 못팔게 하는 '헐값판매 제한령'을 취하는 곳도 있다.
당국은 자금난을 겪는 부동산 기업과 오너들에게 철저한 자구 노력을 요구하고 있고 시장과 경제 충격이 크긴 하지만 최악의 경우 일부 기업이 도산을 해도 상관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A주 전략, '레버리지 최대한 낮출 것'
중태증권 수석 경제학자 리쉰레이(李迅雷)
2022년 A주 투자 자산 포트폴리오 전략에서 가장 유의할 것은 가급적 레버리지를 낮추는 것이다. 부동산 영역과 인터넷 교육 기업 등의 투자에 거리를 둬야한다. 이는 모든 기관및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얘기다.
노동 연령인구 비중 하락과 도시화 속도의 감속은 부동산 사이클의 하강과 맞물린 현상이다.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든 완화되든 상관없이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부동산 비중은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추세속에 투자 시장에서는 과거 인기를 독차지 했던 신탁 및 은행 재테크 상품 수익률이 부단히 낮아지고 있다. 이는 무위험 자산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이기도 하다. 이는 포트폴리오 전략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상대적으로 주식 등의 자산에 투자가 환영을 받을 전망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최근 2년새 중국 자본시장에 공모 사모 자본의 증권 투자 펀드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 이런 추세를 여실히 반영한다.
업종 별로는 탄소 피크와 탄소 중립으로 대표되는 녹색 에너지 기술 관련주 투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국 기술 봉쇄 영향으로 반도체와 첨단 분야 신재료 등 과학기술 관련 종목에도 투자 자금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