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노리카 이어 디아지오도 '로컬 위스키' 사업 정리
유흥·접대 문화 내리막길...코로나 끝나도 회복 의구심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글로벌 주류 업체들이 잇따라 로컬위스키 사업에서 손을 떼고 있다. 2019년 페리노리카코리아가 임페리얼 판권을 매각한 데 이어 최근 디아지오까지 로컬 위스키 브랜드 '윈저'를 사모펀드에 매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로컬위스키 시장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로컬 위스키를 주름잡던 골든블루, 디아지오, 페르노리카 가운데 골든블루만 제 자리를 지키게 된 셈이다.
◆디아지오, 매출 절반 차지하던 '윈저' 매각...로컬 위스키 손 뗀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주류업체 디아지오코리아는 최근 로컬 위스키 브랜드 '윈저'의 영업·판매권을 사모펀드 그룹 베이사이드프라이빗에쿼티-메티스프라이빗에쿼티 컨소시엄(이하 베이사이드-메티스)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매각 대금은 총 2000억 원이다.
윈저는 디아지오의 전체 매출의 60%까지 차지한 주력 브랜드다. 코로나19 타격으로 현재 윈저의 매출 비중은 절반 수준인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해 기준 1932억 5500만원이었던 디아지오 매출액은 매각 이후 1000억원대 이하로 내려앉을 것으로 예상된다.
디아지오코리아 위스키 제품. [사진=디아지오코리아] |
디아지오의 '윈저' 매각은 사실상 로컬 위스키 시장에서 손을 뗀다는 의미다. 앞서 페르노리카코리아도 지난 2019년 로컬 위스키 브랜드인 '임페리얼' 판권을 매각, 로컬 위스키 사업을 정리한 바 있는 등 글로벌 주류업체들의 로컬 위스키 시장 탈출 행렬도 주목된다.
위스키 시장은 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판매되는 로컬 위스키와 고가 음식점과 가정시장에서 소비되는 인터내셔널 위스키로 양분돼 있다. 로컬 위스키 시장은 김영란법 시행, 주 52시간 제도 도입, 혼술족 증가 등 사회변화로 내리막길을 걷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격한 침체기를 맞았다.또한 최근 들어 유흥 및 접대문화 수요까지 줄어드는 추세다. 한때 로컬 위스키 시장을 주름잡던 골든블루(골든블루), 윈저(디아지오), 임페리얼(페르노리카) 중 글로벌 업체인 디아지오와 페르노리카가 빠지고 국내 업체인 골든블루만 자리를 지킨 셈이다.
디아지오는 로컬 위스키 사업을 정리하는 대신 인터내셔널 위스키 등 증류주와 맥주사업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로컬위스키 사업부는 사모펀드와 협상 및 내부 검토를 거쳐 정리 수순을 밟고 기존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신설 법인을 설립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골든블루 임직원 300여명 규모 가운데 로컬 위스키 관련 직원은 약 100명가량인 것으로 알려진다.
디아지오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위스키 시장이 무게중심이 업소 등 유흥시장에서 가정시장으로 옮겨짐에 따라 조니워커, 싱글톤, 라바불린 등 글로벌 차원에서 운영하는 브랜드 비중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구조를 재편한 것"이라며 "앞으로 3~4개월 동안 매각 관련 제반 업무를 진행해 오는 7월까지는 매각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페르노리나 이어 디아지오도 '접대문화 끝났다' 판단...'인터내셔널 위스키'에 집중
로컬 위스키 시장이 저물고 있는 반면 고가의 인터내셔널 위스키 시장은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기존 유흥시장에서 주로 소비되던 로컬위스키 대신 다소 가격대가 높은 인터내셔널 위스키를 가정에서 즐기는 소비자들이 늘어난 까닭이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2022.03.28 romeok@newspim.com |
관세청 통계를 보면 지난해 위스키 수입액은 1억7535만 달러(약 2099억 원)로 2020년 대비 32.4% 늘었다. 다만 수입량은 15661t으로 전년(15923t)대비 소폭 줄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지난해를 비교하면 수입량은 19836t에서 15661t으로 21% 쪼그라들었지만 같은 기간 수입금액은 14%가량 증가했다. 고가 위스키 제품이 인기를 얻으면서 수입량이 줄었음에도 수입액이 오른 것이다.
이같은 추세는 올해 들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올해 1~2월 위스키 수입량은 2588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083t) 대비 24% 늘었다. 이 기간 수입액은 1831만 달러에서 3324만 달러로 81%가량 폭증했다. 실제 이마트의 지난해 위스키 매출액은 2020년 대비 45% 신장했으며 같은 기간 홈플러스도 위스키 매출 신장률이 47%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일단락 된 이후에는 유흥시장이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도 일부 나온다. 지난해의 경우 저녁 9~10시 영업제한으로 타격이 컸지만 올해 중 방역제한이 풀리면 상황이 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목소리다. 이와 반대로 과거와 달리 접대 문화가 사라짐에 따라 로컬 위스키 시장이 더욱 축소될 것이라는 비관론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고가 위스키가 가정용 시장에서 뜨고 있는 것은 맞지만 주점 등 유흥시장의 규모도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향후 결과는 두고 봐야 알 것"이라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