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현대차, NFT 멤버십 '아이오닉 시티즌십' 운영

기사입력 : 2022년07월18일 11:09

최종수정 : 2022년07월18일 11:09

전동화 라이프 구체화 및 새로운 경험과 가치 제공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현대자동차는 대체불가토큰(NFT) 보유자를 위한 유틸리티 패키지 '아이오닉 시티즌십(IONIQ Citizenship)'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 14일 아이오닉6 최초 공개와 함께 공개된 '아이오닉6 NFT 컬렉션'을 통해 아이오닉6가 추구하는 전동화 라이프스타일을 구체화하고 새로운 세대를 위한 경험과 가치를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사진= 현대차]

이를 위해 NFT 멤버십 프로그램인 '아이오닉 시티즌십'을 운영하고 NFT 보유자들에게 독점적인 경험과 특전을 제공한다.

'아이오닉 시티즌십'은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적용 가능한 아이오닉 고유의 전동화 경험을 물리적 한계가 없는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NFT 홀더 전용 디지털 공간에 대한 입장 권한 및 아이오닉6에 대한 흥미로운 디지털 컨텐츠와 아이템(디지털/실물) 제공 등이 포함되며 일부 혜택은 보유한 NFT의 희귀도에 따라 차별 지급된다.

다수의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아이오닉6를 주제로 확장되는 혁신 경험도 제공된다.

네이버제트와 현대차가 협업해 7월 14일 오픈한 가상공간 '플래닛 현대(Planet Hyundai)'에서 사용가능한 특별 패션 아이템과 VIP 권한을 시작으로 세계 최초 NFT 폰 케이스를 선보인 글로벌 테크 액세서리 브랜드 케이스티파이 산하 NFTYC(NFT Your Case)의 실물 커스텀 폰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기프트 카드 등이 제공된다.

이외에도 현대차는 홀더들을 위한 참여형 이벤트가 열리는 가상공간인 아이오닉 디지털 개러지(IONIQ Digital Garage) 등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현대차의 2번째 공식 NFT 컬렉션인 아이오닉6 NFT 컬렉션은 유연한 실내 공간으로 완성되는 개인화된 고객경험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 ▲운전의 재미(Fun Driving) ▲스트레스 없는 운전(Stress-Free Driving) ▲업무(Work) ▲사교(Socializing) ▲힐링(Healing)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6가지 테마로 구성됐다.

각각의 테마에 따라 배경, 차량 색상, 오브제가 수만 가지로 조합되는 제너러티브 아트 (Generative Art) 형식으로 제작해 총 5000개의 NFT 각각이 고유한 디자인과 희소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NFT에 사용된 배경은 현대차 최초로 적용된 아이오닉6의 '듀얼 컬러 앰비언트 무드램프'에서 영감을 받은 초현실적인 공간으로 구성됐다.

또한 아이오닉6 NFT의 차량 디자인에는 가상세계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4가지 종류의 스페셜 컬러가 포함돼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번 아이오닉6 NFT 컬렉션은 NFT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누구나 아이오닉이 제공하는 흥미로운 세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판매 방식이 아닌 무료 에어드랍 방식을 채택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아이오닉6 NFT는 투자와 소유의 수단으로 주목받던 NFT를 스토리와 경험의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의미 있는 시도"라며 "아이오닉 라인업이 지닌 고유한 가치를 기반으로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보다 혁신적인 방식으로 고객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에 익숙한 새로운 세대의 고객들을 위해 가상세계와 현실 세계를 잇는 독특한 피지털(physical+digital) 경험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8월부터 NFT 커뮤니티와의 연결을 강화하는 새로운 소통 수단인 '캡슐 아이오닉(Capsule IONIQ)'을 통해 아이오닉 라인업의 혁신 경험을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캡슐 아이오닉'은 패션브랜드에서 사용하는 '캡슐 컬렉션 (Capsule collection)'에서 영감을 얻은 NFT 뉴스레터로,아이오닉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를 다양하고 실험적인 형태로 전달하는 NFT 컨텐츠다.

origi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