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에너지 수입 확대·소통 채널 활용 필요성 강조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트럼프 관세 정책의 타깃이 반도체가 될 수 있다며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하며 글로벌 관세전쟁이 공식화됐다"며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진 한국도 그 여파를 피할 수 없어 원달러 환율이 오르고 주가는 하락하는 등 경제적 충격이 현실화됐다"고 지적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 [사진= 뉴스핌DB] |
윤 의원은 "당장은 한국이 미국의 '1차 관세 폭격'에서 벗어난 듯 보이지만 멕시코와 캐나다를 대미 수출 기지로 활용해온 국내 기업들은 이번 조치로 북미 시장에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며 "더욱 심각한 것은 반도체가 트럼프발 관세전쟁의 다음 타깃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윤 의원은 "반도체는 한국 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만약 미국이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경제는 더욱 큰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어 선제적인 통상 외교를 통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필요성도 주장했다. 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것은 외국 기업들의 미국 내 공장 설립과 미국산 에너지, 특히 LNG의 수입 확대"라며 "한국은 미국산 LNG 수입 확대 계획을 선제적으로 발표해 미국 측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반도체 산업의 경우 미국 내 생산시설 투자 계획을 검토하고 공식적으로 논의하는 모습을 보여 무역 장벽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했다.
고위급 소통 채널을 활용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한국이 중국과 제조업 기반이 겹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미국의 핵심 경제 파트너임을 확실히 각인시킬 필요가 있다"며 "보복 관세는 세계 경제 불확실성을 키우고 교역 위축을 초래할 뿐으로 지금 필요한 것은 감정적 대응이 아닌 전략적 대응이다.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지혜로운 해법이 절실한 때"라고 덧붙였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