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노선 77개 정차역
하루 평균 24만6000명 이용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2004년 4월 1일 세계 5번째로 개통한 한국 대표 교통수단 KTX가 개통 21주년을 맞는다.
![]() |
KTX 이용 관련 인포그래픽. [자료=코레일] |
1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21년 동안 KTX가 11억4000만 명을 싣고 6억9000만㎞를 달렸다고 밝혔다. 지난해 KTX-청룡 등이 새로 운행하며 고속철도 연간 이용객은 역대 최고인 9000만명(8989만명)에 육박한다. 국민 한 사람당 KTX를 23번 탄 셈이다.
전체 운행 거리는 지구 둘레(4만㎞)를 1만7000바퀴 돈 것과 맞먹는다. 그동안 KTX 이용객이 이동한 거리를 모두 합치면 2800억㎞인데, 이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1억5000만㎞)의 약 1880배다.
처음 경부·호남선 20개 역에서 시작한 KTX는 현재 8개 노선(경부·호남·경전·전라·동해·강릉·중부내륙·중앙) 77개 역을 누비고 있다. 지난해에는 중부내륙선(판교~충주~문경)과 중앙선(서울~안동~부전)이 연장 개통했다. 두 노선 모두 전년 대비 이용객이 두 배가량 늘어나 수도권과 지방 간 이동이 편리해졌다. 올 연말에는 동해선에도 KTX를 운행할 계획이다.
올해 기준 KTX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24만6000명이다. 개통 첫해 7만2000명과 비교하면 3.4배 늘었다. 하루 운행 횟수도 개통 초 142회에서 올해 385회로 2.7배 증가했다.
KTX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2월 28일로, 하루 385회 운행해 33만 명이 탔다. 개통 첫 해 하루 최대 이용객인 11만 명(2004년 9월 29일) 대비 3배 늘었다.
지난해 가장 많이 이용한 역은 서울역(10만3000명)이다. 하루 평균 이용객이 2004년 대비 2.3배로 증가했다.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역은 행신역으로 첫 해 267명에서 현재 5313명으로 20배 뛰었다.
2004년에는 전체 철도 이용객 중 18%만 KTX를 탔으나 해마다 비율이 늘어나 2014년은 42%, 2025년(3월 기준)에는 63%를 넘어섰다. 10명 중 6명 이상이 KTX를 선택했다.
지난해 KTX를 포함한 외국인 철도 이용객은 전년보다 61% 증가한 약 554만 명으로 집계됐다. 방한 외국인은 1637만 명으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3명 중 1명꼴로 열차를 이용했다.
코레일은 지난해 7월부터 서울역에 '외국인 우선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고객과 직원의 대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번역해 주는 음성인식 AI(인공지능) 기반 통번역 프로그램을 활용해 13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같은 해 11월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제공되는 외국인 전용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해 외국인 이용객들이 더 쉽게 승차권을 예매할 수 있도록 했다.
차성열 코레일 여객사업본부장은 "KTX가 대표 교통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응원해주신 국민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