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수출기업 금융애로 실태조사 발표
수출기업 절반 자금사정 악화
"관세 대응책·정책금융 확대 필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급등하는 환율과 미국 관세 조치에 수출기업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한국무역협회(KITA) 조사에 따르면 수출기업 절반이 자금사정 악화를 호소했다.
무역협회는 30일 '2025년도 수출기업 금융애로 및 정책금융 개선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기업의 46.7%가 2024년 4분기 대비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연 매출 300억 원 이상 기업은 35.9%만 자금난을 호소한 반면, 50억~300억 원 미만 기업과 50억 원 미만 기업은 각각 47.6%, 57.4%로 응답해 규모가 작을수록 어려움이 컸다.
![]() |
한국무역협회 전경 [사진=무역협회] |
자금사정 악화 원인으로는 매출 부진과 원·부자재 가격 상승이 58.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건비 상승(35.4%), 환율 변동(34.1%)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기업들은 시중은행 가산금리 인하, 대출한도 심사 관행 개선, 수출 증가율 반영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적정환율에 대해서는 응답기업 평균 1,344.9원/달러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환율 상승이 수출 채산성을 높일 수 있지만, 원자재 비용과 운임 증가로 중소·중견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협상력이 낮은 기업은 환율 인상에 따른 납품 단가 인하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조치로 철강·금속 수출기업 31.8%가 직접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대상이 아니더라도 응답기업의 45.6%는 공급망 비용 증가, 투자계획 지연 등 간접 피해를 경험했다. 기업들은 비용 절감(46.6%), 정책금융 활용(40.6%), 대체시장 개척(40.3%)을 주된 대응책으로 꼽았다.
정책금융 활용 현황에서는 수출바우처(35.8%), 신용보증(33.8%), 무역보험(32.5%) 순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응답자의 70.9%는 현재 정책금융 규모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기업 자금 부담 완화를 위해 체감 대출금리를 낮추고, 원자재 구매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자금 지원 확대를 제안했다. 한국은행 금융중개지원대출의 무역금융 한도 확대와 환율 급등기 특별자금 마련 등을 구체적 방안으로 제시했다.
또 관세 피해기업에 대해서는 단순 컨설팅 지원을 넘어 저리 융자 등 직접적인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상변화대응지원사업처럼 피해규모가 입증된 기업에 한해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정희철 한국무역협회 무역진흥본부장은 "관세 등 통상환경 변화로 수출기업들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무역협회는 기업들의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고 실질적 지원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