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사투리 정겨움.도시 매력에 흠뻑...지역사랑 넘쳐
국악방송 서울본사 PD로서 대전행...4년 만에 큰 성과
"국악 불모지 오명 씻고 지역국악계 발전 기여" 다짐
[대전=뉴스핌] 김수진·오종원 기자 = "때로는 부드럽고, 느긋한 느낌의 충청도 사투리처럼 도시의 정겨움에 자연스럽게 마음의 고향으로 자리 잡은 대전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네요."
아무 연고가 없는 타향으로 이주에 '귀양살이'처럼 느껴졌던 대전 생활. 하지만 목표와 의욕으로 4년 만에 적잖은 성과를 달성해 반전을 이룬 당찬 커리어 우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와 연세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국악전문가'로서 이른바 잘나가는 위치에 서 있는 김혜경 국악방송 방송국장이 화제의 장본인이다.
김혜경 국장은 지난 2021년 아무런 연고가 없는 대전으로 보금자리를 옮겼다. 당초 국악방송 서울 본사 PD로서 잘나가는 예술인이자 커리어우먼의 삶을 보내던 중에 대전국악방송으로 이동 근무하게 된 것이다. 의지할 곳 없는 타향으로 이주에 처음에는 '귀양살이' 심경을 느끼며 좌절했지만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처럼 긍정의 힘으로 극복했다.
이렇게 미국의 심장 전문 의사 로버트 엘리엇의 저서 '스트레스에서 건강으로 -마음의 짐을 덜고 건강한 삶을 사는 법'에서 나온 명언처럼 현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적극적으로 삶의 고통을 줄이고 능동적으로 살기 위해 지역생활에 몰두했다.
![]() |
[대전=뉴스핌] 오종원 기자 = 김혜경 대전국악방송 방송국장이 <뉴스핌>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2025.05.09 jongwon3454@newspim.com |
운명처럼 함께한 국악을 기반으로 지역 예술인들과 협심해 지역 국악발전을 위해 앞장서서 활동했다. 그렇지만 뚜렷한 국악 특색이 없는 충청권에서 국악문화의 기반을 잡기는 쉽지 않았다. 이를 위해 두세 배 더 노력해야만 했다.
무엇보다 '국악의 불모지'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지역 예술인들과 협심으로 국악 문화 창출을 위해 나섰다. 어느덧 4년이라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기간을 보내면서 적잖은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김혜경 국장은 <뉴스핌>과 만나 대전에서의 일과 삶에 관해 설명하면서 "성장을 위한 씨앗을 심어 지역 국악계 발전에 이바지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김혜경 방송국장과의 일문일답.
-대전국악방송 역할과 비전을 설명한다면
▲대전에서 4년여 근무를 통해 깨달은 점은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도 전통 공연예술이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으며, 국악 전공자들과 관련 단체들이 이를 위해 열정적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전국악방송은 지역 국악문화 활성화를 위해 대전시립연정국악원(원장 유한준) 등 여러 기관·단체들과 고품격 예술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개인 전통 예술인들을 위한 다양한 무대를 직접 기획하며 미처 알지 못했던 전통문화의 깊이와 생명력을 대중에 알리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한때 '국악의 불모지'로 여겨졌던 대전·충청 지역에서 지역 예술인과 예술단체의 활동의 맥이 이어지고 있음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활동을 지원하는 문화 플랫폼이자 동반자로서 역할을 성실히 이어가고 있는데, 작지만 오랜 노력 덕에 전통문화의 나무가 굳건히 자라나고 있음을 실감한다.
-'국악 불모지'로 알려진 대전·충청에서 국악 가능성에 대해
▲사실상 대전·충청 지역만을 보면 아무런 특색이 없어 지역 성장이 우려되기도 한다. 그래서 국악방송 차원에서 독특한 지역 색을 입히려 노력 중이다. 우선 지역 예술인들을 초대해 국악방송을 홍보하거나, 예술 기관 업무 소개 등을 통해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국악방송이 추진하는 공연에 지역 예술인들을 참여시키거나 연주를 음원화하는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전에는 국악 홍보를 위해 개별적으로 활동하는 '각개전투' 식으로 진행했다면 근래 들어서는 대전시립연정문화원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대전국악방송이 지역에 안착하도록 가장 큰 힘이 되고 있는데 기관 간 MOU를 통해 함께 할 수 있는 사업을 고민하며 상생, 성장의 길을 도모하고 있다.
-대전국악방송에서 가장 주력하고 있는 포인트는?
▲현실적으로 지역 국악·예술인의 인지도는 수도권과 큰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지역 예술가들에게 가장 필요한 홍보나 새로운 공연 기획을 이어 나가며 이들이 더욱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다만 유명 국악인 없이 지역 예술인만으로는 관객을 모으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런 딜레마를 풀어내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 중이다.
현재 대전시립연정국악원과 활발한 협력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K-브런치 콘서트 '우리의 아침을 여는 한국음악' 협력을 통해 마티네 콘서트를 연 8회 개최하며 대중에게 다가가고 있다.
![]() |
[대전=뉴스핌] 오종원 기자 = 김혜경 국장이 대전국악방송 스튜디오에서 방송 준비를 하고있다. 2025.05.09 jongwon3454@newspim.com |
-대전국악방송 근무 중 '이달의 PD'상을 수상했다.
▲대전에서 4년여 근무 기간 사이에 8편의 출품작을 낸 끝에 받은 첫 수상이다. 여러 다양한 작품을 출품하면서도 충청 지역을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며 기획한 것이 호평을 받았다. 이에 제천 지역 국악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기행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는데, 좋은 평가를 받아 큰 보람을 느꼈다.
지역에서 특히 국악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출품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다. 지상파 방송사와 라디오 등 다양한 작품으로 경쟁하는 매체들과 경쟁하기에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먼저 제천을 중심으로 한 기행 다큐멘터리가 수상한 만큼 올해 충청도 국악 핫플레이스를 엮어서 프로그램을 기획해 보려고 준비 중이다. 충청도 사투리가 무척 재밌고 정겹지 않나.(웃음)
-지난해 문체부에서 '국악진흥법'을 시행했는데.
▲국악 진흥법은 국악 예술가뿐 아니라 산업, 유통, 교육 등 전 분야를 모두 아울러 진흥을 목표로 하는 법이다. 이에 따라 국악방송의 업무·역할 확장도 기대된다.
국악진흥법에 따라 국악의 날도 6월 5일로 제정돼 올해부터 각종 행사를 추진하게 됐다. 이날은 조선시대 여민락(與民樂)이 최초로 기록된 날로 더욱 의미가 깊다.
일단 대전에서는 지역 특색에 맞게 이날 과학을 접목한 국악 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AI가 선곡한 국악이나 AI로 제작한 국악 방송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장르를 모색 중이다. 청취자분들께서도 아이디어가 있다면 언제든 말씀해달라.
-청취자와 시민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현재 대전국악방송은 본연의 역할인 전통음악 전문 감상 프로그램을 비롯해 청취자 참여형 소통 프로그램, 실버세대를 위한 정보 프로그램 등 다양하고 특색 있는 로컬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품격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작하며 지역 청취자들의 문화적 감수성을 높여가고 있다.
방송 제작을 넘어 지역 음악 보존을 위한 음원 녹음 사업, 지역문화콘텐츠 복원 사업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며, 앞으로는 우리나라 중부권이 품고 있는 전통음악 자원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방송콘텐츠를 개발해 전국으로 확산하는 것이 큰 목표다.
대전국악방송이 전국에 전통문화의 가치를 더하고, 대전시가 문화예술 중심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시민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당부한다.
김혜경 대전국악방송 국장 약력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학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석사)
- 국악방송 PD
-현) 대전국악방송 국장
jongwon34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