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 시점 너무 늦고...金, 관계 정리 주도 못해
탄핵 반대 사과 없어...중도층에 설득력 떨어져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7일 결국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3년 10개월 만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당을 떠나는 모양새였다. 김 후보의 부담을 덜어주는 동시에 자신을 지지하는 강성 보수층의 이탈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으로 인해 '관계 정리'라는 어려운 숙제를 풀게 됐다. 큰 정치적 부담을 덜게 된 것이다. 중도층 공략을 위한 최소한의 여건이 마련됐지만 탈당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탈당 시점과 형식, 김 후보의 탄핵 반대 입장 유지 등 세 가지 이유에서다.
![]() |
[전주=뉴스핌] 이길동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오후 전북 전주 완산구 전동성당 앞에서 유세하고 있다. 2025.05.17 gdlee@newspim.com |
무엇보다 탈당이 너무 지체됐다. 그렇지 않아도 김 후보의 탄핵 반대 이미지가 각인돼 있던 터였다. 김 후보는 후보 선출 시까지 탄핵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이른바 반탄파다. 이런 이미지를 조금이나마 상쇄할 기회가 윤 전 대통령의 조기 탈당을 통한 관계 정리였다.
김 후보의 선출 직후 탈당이 이뤄졌다면,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하고 새롭게 출발한다는 메시지를 전할 수 있었으나 실기했다. 탈당 문제가 당 내의 뜨거운 감자가 되면서 도리어 김 후보의 반탄 이미지를 부각하는 역효과를 냈다.
단일 대오 형성에도 걸림돌이 됐다. 경선에서 2위를 한 한동훈 전 대표는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요구하며 선대위에 불참했다. 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도 선거 지원에 소극적이었다. 한 전 대표는 윤 전 대통령 탈당에 따라 다음 주 현장 지원 유세에 나선다. 탈당 논란에 일주일을 허비한 것이다.
탈당의 형식도 당 주도가 아니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당의 출당 또는 탈당 압력에 의해 이뤄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 당을 떠나는 모양새를 취했다. 사과도 없었다. 탈당 문제에 대해 김 후보와 당이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한 것이다.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에게 끌려다닌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의원들이 출당 등 강력한 조치를 요구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김 후보는 끝까지 "윤 전 대통령 스스로 판단할 일"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가 양날의 칼이라는 판단에서다. 중도층 공략을 위해서는 탈당을 강력히 요구해야 하지만, 자칫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강성 보수층이 이탈할 수도 있다. 보수 결집이 시급한 상황에서 되레 보수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틀린 얘기는 아니다. 윤 전 대통령이 당을 떠나면서 낸 마지막 메시지도 이와 무관치 않다. 윤 전 대통령은 "저는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할 것"이라며 "국민의힘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 달라. 반드시 투표에 참여해 달라"고 했다. 자신을 지지하는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주문한 것이다.
김 후보가 망설인 또 다른 이유는 친윤(친윤석열)계의 반발 가능성이다. 친윤계 의원들은 "윤 전 대통령을 압박하지 마라"며 "스스로 당을 위한 결단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 후보의 탈당 요구가 자칫 당내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당내 세력이 거의 없는 김 후보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수도 있다.
김 후보의 탄핵 반대 입장도 부담 요인이다. 탄핵 상황은 윤 전 대통령 탈당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김 후보의 탄핵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김 후보는 아직까지 탄핵 반대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지 않았다. 이번 선거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이에 따른 탄핵의 결과로 치러지는 선거다. 한마디로 탄핵 선거다. 따라서 탄핵 반대에 대한 사과 등 입장 변화는 필요충분조건이라는 지적이다.
탈당에 대해 실기한 데다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정리도 주도하지 못했다. 김 후보 입장에서는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지만, 탈당 효과를 반감시킨 것은 분명하다. 아울러 탄핵 선거에서 탄핵 반대에 대한 사과 없이 중도층에 표를 달라고 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 당 내에서조차 나온다.
김 후보는 30% 안팎의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도층을 공략하지 못하면 반등의 계기를 마련하기 어렵다. 이미 각종 여론 조사에서 중도층의 50% 이상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오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에도 불구하고 세 가지 요인은 김 후보의 중도 확장성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이 대선 판세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leej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