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연평균 매출 6% 상승…서비스업 주도
한식·커피 가맹점 급증…화장품 가맹점은 감소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에 등록된 프랜차이즈(가맹사업) 본부·브랜드(영업표지)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반면 가맹점 수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 평균 매출은 전년 대비 6% 상승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서울시는 서울 소재 가맹본부의 가맹사업 정보공개서를 바탕으로 '2024년 서울시 가맹사업 등록현황'을 분석, 1일 발표했다. 이 분석을 통해 업종별 가맹본부, 가맹점 수를 비롯한 연평균 매출, 창업비용, 개점·폐점률까지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지난해 서울시에 등록된 가맹본부는 2754개로 전년(2805개) 대비 1.8% 감소했으며, 브랜드 수는 4403개로 1.5% 줄어들었다. 반면 가맹점 수는 2023년 말 기준 20만5164개(2022년 19만5568개)로, 4.9%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 |
연도별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등록현황 [자료=서울시] |
2024년 가맹본부·브랜드 수 감소에는 가맹점이 전혀 없어 사실상 가맹사업을 하지 않는 브랜드의 '등록취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등록취소된 브랜드 541개 중 71.0%인 384개가 가맹점 없이 등록 취소됐다.
업종별로 분석한 결과, 외식업이 전체 가맹본부의 70.9%, 브랜드의 76.1%, 가맹점 수의 42.4%를 차지하며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외식업 브랜드 수는 3349개로 전년 대비 0.7% 줄어들었으나 가맹점 수는 8만6931개로 6.1% 증가했다.
이는 실제 가맹사업을 하지 않는 브랜드의 '등록취소'가 늘면서 브랜드 수는 줄었지만, 한식·커피업종 가맹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서비스 업종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브랜드 수는 864개로 전년 대비 3.4% 줄어든 반면 가맹점 수는 5만7291개로 4.8% 증가했다. 이는 대형 가맹택시 브랜드의 급속한 확장에 기인한 것으로, 운송업종 가맹점 수는 지난해 대비 150% 가까이 늘어났다.
도소매 업종의 브랜드 수는 190개로 전년 대비 7.3% 감소했지만, 대형 편의점의 가맹점 수는 늘어나 전체 가맹점 수는 3.4% 증가했다. 최근 3년 동안 편의점 가맹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화장품 가맹점 수는 감소하고 있다.
![]() |
업종별 가맹점 평균매출액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자료=서울시] |
가맹점의 연평균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6.0% 증가해 3억9400만원에 달하며, 서비스업이 13.6%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가맹점 창업에 필요한 평균 비용은 1억1300만원이며, 스포츠·교육 관련 업종이 가장 높은 비용을 요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신규 등록 심사 시 필수품목에 대한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있으며, 불필요한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맹본부와 가맹점주 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분쟁조정협의회, 공정 거래 상담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번 '2024년 서울시 가맹사업 등록현황' 보고서는 서울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가맹본부·브랜드별 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 거래 누리집에서 열람 가능하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