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퇴 방지 방안과 일자리, 주민 역량 진단
[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시는 도시재생 사후관리로 지속가능한 도시 기반 만들기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대전시는 그동안 2016년 중앙로 프로젝트 사업을 시작으로 총 17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이 가운데 7곳은 사업을 완료했고 올해 말까지 2곳이 추가 완료될 예정이다.
![]() |
[대전=뉴스핌] 오종원 기자 = 대전 중구 은행동 한 골목 모습. 2023.10.06 jongwon3454@newspim.com |
마중물 사업비 총 3405억 원이 투입된 재생사업은 기반시설 정비, 생활SOC공급, 주민 역량 강화 등을 통해 도시 쇠퇴지역의 구조적 회복을 이끌어왔다.
대전시는 도시재생의 효과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2024년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사후관리계획 수립하고 모니터링 평가체계 운영을 7월부터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번 모니터링 평가는 단순 사후 점검을 넘어 ▲도시쇠퇴 방지 방안 ▲ 기반 시설 운영·관리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주민역량 강화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통해 자치구별 사후관리 수준을 객관화하여 시설별 맞춤형 지원(컨설팅 등)이 이뤄진다.
이와 함께 대전시는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10일 대전세종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관계 전문가, 도시재생 관련 유관기관 등이 참석해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의 성패는 사업 완료 이후 실제 운영과 관리 단계에서 결정된다"며 "사후관리 체계를 통해 자치구별 맞춤형 지원과 성과 환류 체계를 강화하고, 주민공동체가 주도하는 도시재생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행정적으로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