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산업을 하나의 이름으로 묶는 일은 언제나 조심스럽다. 요즘의 철강업계가 그렇다. 철을 둘러싼 공급망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다층적이다. 철강업계를 위한 하나의 정책 앞에서 어떤 기업은 웃고, 또 어떤 기업은 울게 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열연강판이다. 지난해 12월 현대제철은 중국·일본산 열간압연 강판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지난 2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덤핑 사실과 국내 산업 피해를 인정하고, 최대 33.57%의 잠정 덤핑방지관세 부과를 기획재정부에 건의했다. 통상 한두 달 내에 기재부가 최종 판단을 내린다.
![]() |
뉴스핌 산업부 조수빈 기자. |
과거 중국산 후판 반덤핑 사례를 보면, 예비판정이 내려진 뒤 시장은 이미 결론을 앞당겨 반응하는 경향이 짙다. 이번에도 분위기는 관세 부과 쪽으로 기울고 있다. 그러나 후판 당시와는 달리, 열연에서는 산업 내부의 온도차가 더 뚜렷하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얇게 펴 만든 철판 형태의 반제품으로, 자동차·강관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주요 재료다. 고로 기반 대형 철강사들은 열연을 자체 생산해 가공·수출하면서 수익을 낸다. 이들에게 반덤핑 조치는 가격 인상 요인이자 실적 개선의 기회다.
반면 전기로 기반 제강사나 열연 하공정 업체들의 사정은 다르다. 이들은 고로를 거치지 않고 중국·일본산 열연을 수입해 내수 위주로 가공·판매한다. 원가 부담을 최종 소비자가격에 충분히 전가하기 어렵다 보니, 열연 가격 상승은 곧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
2분기 실적도 철강사와 제강사로 확연히 갈렸다. 현대제철은 중국산 후판 반덤핑 영향으로 2분기 101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포스코의 철강 부문 영업이익은 약 5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동국제강은 2분기 영업이익 2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6.1% 감소했고, 동국씨엠은 영업손실 15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세아제강, KG스틸 등도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줄어들 전망이다.
철강처럼 원료 구매와 판매가 모두 중요한 제조업에서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지 못하더라도 한 마리만 잘 쫓아도 생존은 가능하다. 반덤핑 조치는 분명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다. 하지만 산업을 보호한다고 해서 그 안의 모든 기업을 보호하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에겐 판가 인상이 기회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겐 고정비처럼 짓누르는 구조다.
공급망이 워낙 복잡한 탓에 하나의 문제를 막았더니 다른 문제로 번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실제로 열연강판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고되자, 중국산 도금재·컬러강판 수입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감지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제 공은 기획재정부로 넘어갔다. 이는 단지 예비판정을 확정 짓는 행정 절차가 아니다. 반덤핑이 산업을 보호하는 방패가 되려면, 그 보호의 대상이 누구이며 어디까지여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부터 선행돼야 한다. 정부의 두 마리 토끼는 수출과 내수, 고로사와 제강사 어디든 될 수 있다. 정부가 역할을 충분히 고민하고 균형 잡힌 판단을 내릴 때 비로소 산업 전체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두 마리 토끼는 그렇게 잡아야 한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