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2일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발표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 1.8%→2.0%
가공·외식물가 중심 높은 상승세
정부 "가용 가능한 정책수단 활용할 것"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정부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0%로 전망했다. 연초부터 높은 가공식품·외식물가의 영향을 반영한 것이다.
물가상승이 이어지면서 장바구니 물가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정부는 밥상물가 완화를 위해 할인행사 진행, 식품원료 할당관세 적용 등 물가안정 정책에 총력을 다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물가안정목표 수준인 2.0%로 전망했다. 이는 이전 정부 전망(1.8%)보다 0.2%포인트(p) 소폭 오른 수준이다.
![]() |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월별 물가 상승률은 1월 2.2%→2월 2.0%→3월 2.1%→4월 2.1%→5월 1.9%→6월 2.2%→7월 2.1%로 2% 내외를 웃돌았다. 추세적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 내외 흐름을 보였다.
정부는 상반기 물가가 국제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가공식품 가격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당초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4.1% 오르면서 전체 물가 상승에 0.35%p 영향을 미쳤다. 주요 품목인 커피(15.9%)·라면(6.5%)·빵(6.4%) 등은 원재료와 물류비 상승으로 가격 강세를 보였다.
지난달 외식물가는 1년 전보다 3.2% 오르며 전체 물가를 0.45%p 끌어올렸다. 외식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돈 건 지난 2021년 6월 이후 50개월째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기상악화, 내수회복에 따른 물가 상방 요인과 국제유가 등 하방요인이 병존한다고 진단했다. 다만 지정학적 요인 등에 따른 국제 원자재가격 변동성 등 불확실성이 상존한다.
이로 인한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0%로, 올해 목표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김재훈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물가 전망이 높아졌지만, 물가안정 목표인 2% 내외에서 등락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우려는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물가안정 노력으로 식품·유통업계와 소통해 할인행사를 진행하고, 가격 인상률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소비자부담을 경감하는 동시에 식품원료 할당관세 등 원가부담을 낮춘다는 계획이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식품업계가 잇달아 가격 인상에 나서는 가운데 라면부터 맥주, 우유, 버거 등의 가격이 1일부터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들어 가격을 올리거나 올리기로 한 식품·외식 업체는 40곳을 훌쩍 넘겼다. 업계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인건비 인상 등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에는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5.04.01 yooksa@newspim.com |
농축수산물의 경우 수급조절, 할인지원, 할당관세 등 가용 가능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한다. 이상기후에 대응해 농작물 생육관리 등 여름철 폭염 피해를 최소화한다. 농식품부는 수급안정지원단을 가동하고 있다.
유류세 인하와 경유·압축천연가스(CNC) 유가연동보조금 지급을 오는 10월 말까지 연장한다. 정부는 이달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오는 10월까지 2개월 연장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휘발유, 경유, 액화석유가스(LPG) 부탄 등은 각각 82원↓, 87원↓, 30원↓의 가격 효과 인하가 유지된다.
특히 온라인도매시장 활성화 등을 통해 유통구조를 효율화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스마트 농업·수산업 등 농수산업 생산성을 높인다.
김 국장은 "추석 앞두고 추석 대책을 통해 성수품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며 "기본적으로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공공요금은 자구 노력을 원칙으로 최대한 안정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