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 10조·케이뱅크 5조 증가, 수신상품 경쟁력 입증
수신 늘었지만 대출 확대 제약...돌파구 찾기 안간힘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올 상반기 예·적금 잔액이 전년 대비 총 15조 가량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는 예·적금 잔액을 10조원가량 늘리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고 케이뱅크 5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반면 가계대출 규제로 대출 확대 여력은 제한되면서 수익성 확보를 둘러싼 이들 은행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2분기 말 기준 수신 잔액은 63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53조4000억원 대비 19.3% 늘었다. 같은 기간 여신 잔액은 44조8000억원으로 5.2% 증가에 그쳤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의 수신 잔액도 26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21조8500억원 보다 22.5% 증가했다. 여신 잔액은 10.8% 증가한 17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 |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에 돈을 맡기려는 고객 수요가 크게 늘어난 여파다. 이들 인터넷은행은 최근 다양한 예·적금 상품을 속속 내놓으며 고객몰이를 했다. 일례로 카카오뱅크의 모임통장은 2분기 말 기준 잔액이 전년 대비 2조원 이상 늘어난 10조원을 기록하고 이용자 수도 1200만명을 넘겼다. 또 '26주 적금 with OOO'으로 대표되는 이종산업과의 제휴 적금 상품도 주목을 받았다.
케이뱅크의 경우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에 최대 연 2.6%의 고금리를 제공하며 수신 고객을 끌어 모았다. 1분기 잔액 증가치만 2조 2000억원 가량이다. 또 가상자산 호황으로 업비트 제휴 계좌 예치가 늘어난 점도 수신 영향을 미쳤다.
수신 잔액은 늘었지만 이를 운용하는 대출 확대가 어려워지면서 인터넷은행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대환대출 확대 등을 통한 수익성 확보에 제약이 걸렸기 때문이다. 관련해 카카오뱅크의 2분기 말 기준 이자수익은 9999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204억원 보다 소폭 줄었다. 이 기간 케이뱅크의 이자수익은 2118억원으로 전년 동기 2642억원 대비 19.8% 감소했다.
이에 따라 이들 은행들은 개인사업자대출 확대 및 플랫폼 사업 강화 등 하반기 주력 과제로 내세웠다. 가계 대출 대신 개인사업자대출을 늘리고 플랫폼 사업으로 비이자수익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먼저 카카오뱅크는 대출, 투자, 지급결제 등 플랫폼 역량을 강화하고 펌뱅킹, 오픈뱅킹, 광고부분 수익성 강화 기조를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투자 상품 라인업도 꾸준히 확대하며 투자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도 강화한다. 관련해 지난 6월 선보인 머니마켓펀드(MMF) 기반 파킹형 투자 상품 'MMF박스'는 출시 한 달 만에 누적 잔고 5000억원을 돌파했으며 자금 운용 부문에서도 상반기 투자금융자산 손익이 3458억원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개인사업자 대출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케이뱅크는 다른 금융사 대출을 '사장님 부동산대출'로 갈아타는 고객을 대상으로 20만원의 대환지원금을 지급한다. 또 대구 지역 소상공인을 위해 600억원 규모 금융지원을 진행하고 전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최대 300만원을 지원하는 '사장님 유급휴가 보내기' 캠페인을 실시, 내달 9일까지 사연 신청을 받는 등 관련 프로모션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예·적금 금리는 낮추는 추세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예적금 상품 4종의 금리를 최대 0.50%p 인하했다. 카카오뱅크도 같은 달 예적금 상품 5종의 금리를 최대 1.00%p 낮췄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공격적인 대출 확대에 제약이 걸린 상황에서 수신을 무작정 늘릴 수 없을 것"이라며 "개인사업자 대출은 늘면 늘수록 부실 위험이 커진다는 점이 딜레마다"라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