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대응 위한 혁신적 도시 설계와 실행
다양한 노인 일자리 창출·경제 활성화 효과
[밀양=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밀양시가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해 '100세 도시' 비전을 내걸고 어르신이 건강하고 활기차게 생활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단순 복지 전달을 넘어 일자리, 돌봄, 안전망, 평생학습, 문화 등 전 영역에서 통합 복지정책을 추진, 고령사회 선도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 |
노인일자리 공익형 사업 중 소방서 급식소 운영 업무 지원 및 환경정비 활동 모습 [사진=밀양시] 2025.08.26 |
26일 밀양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정부 정책과 연계해 공익형 2440명, 공동체형 110명, 역량형 670명 등 다양한 노인 일자리를 발굴했다.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고쳐 Dream' 집수리 지원사업, '밀양 다봄센터 돌봄지원단' 등은 지역 자원과 어르신 전문성을 결합한 특화 모델로 경제적 효과와 사회참여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고 있다.
65세 이상 2만 5000여명의 어르신이 기초연금을 받고 있다. 단독가구는 월 최대 34만 2510원, 부부가구는 최대 54만 8000원을 지원받으며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찾아가는 맞춤 서비스'로 수급률 제고에도 힘쓰고 있다.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꼽히는 경로당 활성화 제도도 주목된다. 시는 448곳 경로당에 건강체조·노래교실·공예 등 7개 분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406곳에는 입식환경 개선공사를 지원했다.
경로당별 월 5만 원의 부식비를 추가 지원해 영양 관리도 강화했다. 여기에 자원봉사 지도원에게 연 40만 원 활동비를 지급해 운영 지속성과 전문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밀양형 희망나눔 통합돌봄사업은 읍면동 돌봄창구, 복지관, 마을 돌봄 활동가가 협력해 주거·일상·보건·의료 서비스를 통합 제공한다.
상반기에는 건강약 달력 배부, 비타민 지원사업을 진행했고 하반기에는 주거환경 개선, 클린버스, 심리상담, 반찬 지원 등이 이어진다.
현재 2525명이 노인맞춤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생활지원사가 쓰러진 어르신을 긴급 구조해 생명을 구한 사례로 안전망 효과도 입증됐다. 독거 어르신 900가구에는 응급호출기·화재감지기를 설치해 24시간 안심 돌봄 체계를 운영한다.
시는 '노인대학'을 통해 건강·교양·정보화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에는 디지털 활용 교육을 강화해 정보 격차 해소와 사회 참여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안병구 밀양시장은 "초고령사회 도전 과제를 시민과 함께 풀어가며 어르신 누구나 존중받고 100세까지 활기차게 살아가는 도시로 만들겠다"며 "세대 간 소통과 문화 향유가 공존하는 노인복합문화공간도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