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가치 AI 솔루션 중심 사업 구조 전환하여 수익성 개선
하반기 기업용 AI 사업 확대와 피지컬 AI 로드맵 가속화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비전 AI 전문기업 씨이랩(대표 윤세혁, 채정환)는 지난 28일 온라인 기업설명회를 개최하여 기관투자자 및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상반기 주요 사업 추진현황과 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씨이랩은 인프라-비전-디지털 트윈으로 이어지는 3대축을 중심으로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씨이랩은 올해 상반기 고부가가치 AI 솔루션 중심 구조 전환과 기업별 AI 상용화 진입에 따른 판관비 효율화에 집중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된 7억원, 상반기 누적 영업손실은 전년동기 대비 39% 개선된 23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말 수주잔고는 약 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60% 증가했으며, 3분기부터 실적인식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Vision AI 프롬프트기반 영상검색 사업, 디지털 트윈 반도체 도메인 확장이 예정되어 있고, 인프라 부분에서도 하반기 수주가 지속되고 있다.
AI 인프라 부분에서는 GPU 클러스터 관리 솔루션 아스트라고(AstraGo)가 대기업 그룹사 및 계열사 전반으로 확대 적용되며 수주 기반을 넓히고 있으며, DGX B300, DGX Spark 등 엔비디아 신제품 라인업과의 AI 어플라이언스 패키지 판매를 통해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 |
씨이랩 로고. [로고=씨이랩] |
또한 자체 개발한 비전언어모델(VLM)의 130개 모델 조합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의 데이터를 융합·분석하는 멀티모달 AI 솔루션을 제공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 특히, 온디바이스(키오스크), 마이크로(초소형 결함 탐지), 클라우드CCTV 분석 등 산업 특화 제품 라인업으로 도입 장벽을 낮추고 인식 속도를 앞당기는 전략을 추진한다.
디지털 트윈 사업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기반 프로젝트와 합성 데이터 자동화 기술력으로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600% 증가했다. 반도체 디지털 트윈 추가수주를 통해 반도체 레퍼런스가 안정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건설·자동차·로봇 산업 분야로의 본격적인 확장을 가속화한다.
이러한 사업 추진과 기술 고도화는 씨이랩의 중장기 성장 전략인 '피지컬 AI(Physical AI)'와도 맞닿아 있다. 인프라, 비전, 디지털 트윈 AI 기술을 통해 현실데이터를 디지털로, 시뮬레이션을 물리적 피드백 제어로 확장해 현장 의사결정의 속도·정확도를 높이는 피지컬 AI를 구현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하반기에는 AI 네이티브 기업(AI Native Company)로 전환해 DGX B300기반 AI 팩토리를 구축하고 R&D-테스트베드-운영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통해 사업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윤세혁 씨이랩 대표는 "상반기는 사업 수익성 구조 개편을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하반기에는 늘어난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며 "인프라-비전-디지털 트윈 사업이 파트너와 생태계 확대를 통해 확장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며, 중장기 피지컬 AI 성장 기반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