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방 아파트 분양가, 평당 2000만원 돌파
[서울=뉴스핌] 조한웅 기자 = 신축 아파트 분양가가 전국적으로 가파르게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방 아파트의 분양가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분양가는 지금이 가장 싸다'라는 인식이 확대되며 수요자들이 청약 경쟁에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움직임 또한 관찰된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전국 민간분양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3.3㎡당)는 4년 연속 상승 중이다. 2021년(1302만 원) 이후 △2022년 1530만 원 △2023년 1815만 원 △2024년 2069만 원으로 해마다 200만 원대의 가파른 상승폭을 보여왔다. 올해(8월 28일 기준) 평균 분양가(3.3㎡당)는 2193만 원으로, 분양가 급상승이 시작되기 직전인 2021년과 비교해 약 68.43%(891만 원)가 오른 수치다.
이는 비수도권의 분양가 상승이 특히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올해 지방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3.3㎡당)는 2148만 원으로, 지난해(1814만 원) 대비 334만 원이 오르며 2000만 원을 돌파했다.
국민평형인 전용 84㎡ 타입으로 환산하면 1년 만에 분양가가 약 1억 1356만 원이 오른 셈이다. 지방 분양가는 전국과 마찬가지로 2021년 이래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수요자들 사이에서 '분양가는 지금이 가장 낮다'라는 인식이 커지며 연내 신규 분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 지난 6월 30일부터 시행된 민간 아파트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의무화로 추가 공사비 상승이 불가피한 데다 인건비, 원자재값 상승 등 원가 부담은 점점 커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각종 대출 규제도 수요자의 금융 부담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 분양가 상승이 두드러진 지방은 청약 신청자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7월 1일~8월 28일) 지방 아파트 청약자(1·2순위)는 총 55722명으로 집계됐다. 전 분기(32247명) 대비 약 72.8%(23475명) 증가한 수치로, 9월이 포함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그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고분양가 논란에도 청약 흥행을 이룬 단지도 확인된다. 올해 8월 부산 수영구 일원에서 분양한 '써밋리미티드남천'은 720가구(특별공급 제외) 1순위 모집에 16286명이 지원해 평균 22.6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이 단지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4437만 원으로, 고분양가 논란에도 올해 부산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청약 흥행에 성공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국적인 분양가 상승세에 내 집 마련을 서두르는 수요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청약에 뛰어들고 있다"며 "특히 지방에서는 수도권과 인접한 지역이나 지역 내 핵심 입지에 들어서 미래가치가 높다고 여겨지는 단지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신흥 주거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천안 서북구 핵심 입지에 신규 분양이 예고된 단지가 있어 수요자들의 이목이 집중된다.
![]() |
[사진=천안 아이파크 시티 2단지] |
HDC현대산업개발은 9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부대동 일원에서 '천안 아이파크 시티 2단지'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4층, 11개 동, 전용면적 84~118㎡ 총 1222세대 규모로 구성된다. 이중 민간임대 물량을 제외한 977세대가 일반 분양될 예정이다.
단지는 최근 활발한 도시개발사업으로 지역 가치가 오르고 있는 성성호수공원변에 위치한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2분기 부대동의 3.3㎡당 매매가는 1223만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약 2.3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천안시 서북구 상승폭(0.5%)은 물론 기존 부촌으로 일컬어지는 불당동(0.9%)보다도 높다.
단지는 그중에서도 핵심 입지에 들어선다. 수도권 1호선 전철 부성역(가칭)이 단지 도보권에 개통 예정된 역세권 입지로, 향후 이 역이 개통되면 가산디지털단지, 서울역 등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을 환승 없이 오갈 수 있을 전망이다.
아울러 단지 인근 천안역은 GTX-C노선의 천안 연장 계획이 검토 중으로, 서울 도심권과의 초고속 연결이 가능해질 경우 지역 미래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생활 인프라도 우수하다. 신설 계획된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단지와 맞닿아 있어 자녀들의 안전한 도보 통학이 가능할 전망이며, 인근 오성고 또한 걸어서 오갈 수 있다. 이에 더해 이마트(천안서북점), 롯데마트(성성점), 코스트코(천안점), 신세계백화점(천안아산점) 등의 생활 편의시설도 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단국대학교 병원 이용도 수월하다.
아울러 단지는 6.27 부동산 대책의 영향을 받지 않아 수요자의 금융 부담이 덜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지는 수도권에 인접해 서울로의 이동이 용이한 준수도권 입지임에도 이번 대출 규제의 영향권 밖에 있어, 내 집 마련을 고민하는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다.
whit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