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문화·관리체계 미흡 원인
예방교육과 시설 개선 추진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창원시는 중대재해 예방과 안전보건 강화를 위해 다양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적극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 |
경남 창원시가 중대재해 예방과 안전보건 강화를 위한 시책을 마련해 적극 추진한다.[사진=창원시] 2025.09.07 |
한국산업단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 국가산업단지에서 93명의 근로자가 중대재해로 숨졌으며, 이 가운데 창원에서만 12명이 사망해 전국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창원의 중대재해 사망자는 2021년 4명, 2022·2023년 각 3명, 2024년 1명으로 감소 추세다. 창원시 전체 사망자 수도 2022년 22명에서 2023년 17명, 2024년 11명, 올해 현재 3명으로 줄고 있다.
창원시는 주요 원인으로 안전문화 정착 부족, 안전관리체계 미흡, 안전투자 유인책 부재를 지목했다. 이에 따라 50인 미만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예방교육을 확대하고, 매월 합동점검과 '산재 추방 홍보의 날' 캠페인을 실시해 위험요소 점검과 안전문화 확산 활동을 강화한다.
시설 개선을 위한 중소기업 육성자금에 연 2.5%의 이자 지원을 하고 있으며, 연간 25개 기업을 대상으로 위험성 평가, 교육, 안전관리 체계 검증을 포함한 예방 컨설팅을 확대한다. '위험성 평가 우수사업장 협의체'를 운영해 우수사례를 발굴·전파하고,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지원을 통해 안전투자 확산에도 나설 방침이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창원은 4개의 국가산단과 11개 일반산단을 보유하고 있어 산재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체계적 관리와 기업 참여로 안전한 산업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