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32% 폭등…AI株 동반 강세
인플레 지표 주시…"9월 금리 인하 기정사실"
지정학·정치 변수도 부담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0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증시 개장 전 주요 주가지수 선물이 혼조세다. 인공지능(AI) 수요를 기반으로 한 오라클의 '깜짝' 클라우드 성장 전망이 투자심리를 끌어올리며 나스닥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선물은 상승하고 있다.
다만 시장은 이날 개장 전 발표가 예정된 미국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하루 뒤인 11일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도 늦추지 않는 분위기다.
미 동부시간 오전 8시 20분 (한국시간 오후 9시 20분) 기준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전장 대비 22.75포인트(0.35%) 오른 6544.50을, 나스닥100 선물은 77.75포인트(0.33%) 상승한 2만3951.75을 기록했다. 반면 다우 선물은 60.00포인트(0.13%) 내린 4만5691.00을 가리키고 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플로어에서 근무 중인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NYSE:ORCL)의 주가는 장전 거래에서 32% 폭등했다. 아마존·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과의 멀티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매출이 전년 대비 1529% 증가했다고 밝히는 등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성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사프라 캣츠 최고경영자(CEO)는 "1분기에 세 개 고객사와 4건의 수십억달러 규모 계약을 체결했다"며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 수요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 영향에 ▲엔비디아(NVDA,+2.2%) ▲AMD(AMD, +3.6%) ▲브로드컴(AVGO,+2.2%) 등 주요 반도체주도 동반 상승세를 나타냈다.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업체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CEG, +1.9%), ▲비스트라 에너지(VST,+2.9%), ▲GE 버노바(GEV, +3.5%) 등도 오라클 효과를 누렸다.
◆ 물가 지표 촉각…"9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
투자자들의 관심은 이날 발표될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이어 11일 공개될 CPI에 쏠려 있다. 시장은 8월 헤드라인과 근원 PPI가 각각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로는 3.3%, 3.5%(근원) 올랐을 것으로 예상한다. 예상대로라면 7월과 비슷하거나 둔화한 수준이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
B. 라일리 웰스 매니지먼트의 아트 호건 수석 전략가는 미국 CNBC에 "향후 며칠간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보다 크게 뜨겁지 않은 이상, 9월 연준의 금리 인하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시장은 최소 25bp(0.25%포인트) 인하를 확실시하며, 일부는 50bp '빅컷'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 |
오라클 건물 [사진=블룸버그통신] |
◆ 지정학·정치 변수도 주목
국제 유가는 폴란드가 영공에 침투한 러시아 드론을 격추했다는 발표에 올랐다. 브렌트유 11월물은 배럴당 66.99달러(+0.9%),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0월물은 63.23달러(+0.96%)에 거래됐다. 이는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폴란드군이 처음으로 러시아 자산을 격추한 사례다.
또 리사 쿡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를 해임하려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시도가 법원에서 저지되며, 연준의 독립성을 둘러싼 정치적 긴장이 고조됐다.
앞서 9일 워싱턴연방지방법원 지아 콥 판사는 쿡 이사를 해임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일시 중단했다. 쿡 이사의 지위는 즉각 회복됐으며, 소송이 끝날 때까지 유지된다. 16일 예정된 연준 회의에도 참여할 수 있다. 쿡 이사의 임기는 오는 2038년까지다.
◆ 월가 전망 상향, 낙관론 확산
전날 뉴욕증시에서 3대 지수는 상승하며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의 주가가 9% 가까이 오르며 다우 지수를 끌어올렸고, 임금·고용 하향 수정은 오히려 금리 인하 기대를 키웠다.
월가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S&P500의 연말 목표치를 기존 6050에서 6450으로 두 번째 상향 조정하며 낙관론을 뒷받침했다.
한편 ▲시놉시스(SNPS, -23%)와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CDNS, -4.6%) 등 일부 반도체 설계업체 주가는 실적 부진으로 급락했다. ▲게임스탑(GME)은 매출 개선 소식에 11.3% 급등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