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3~16일 부산서 개최…3010부스 규모로 운영
엔씨소프트 메인스폰서 참여…크래프톤·넷마블 등 참가
내러티브 테마 G-CON, 인디 쇼케이스 2.0 대폭 확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지스타조직위원회는 올해 21주년을 맞은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5'의 주요 참가사와 확정된 프로그램 및 일정을 17일 공개했다.
올해 지스타는 전시뿐만 아니라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며 대표 콘텐츠로 자리매김한 G-CON과 지난해부터 규모를 크게 넓힌 인디 쇼케이스 2.0: Galaxy 등을 통해 더욱 풍성한 볼거리와 참여 경험을 제공하며 관람객들에게 오래 기억될 축제로 거듭날 예정이다.
'지스타 2025'는 오는 11월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리며 지난달 31일 기준 BTC 2106 부스, BTB 904 부스 등 총 3010 부스 규모로 운영된다.
![]() |
네이버웹툰 문정후 작가와 협업한 '지스타 2025' 키비주얼. [사진=지스타조직위원회] |
먼저 엔씨소프트가 올해 처음으로 지스타 메인스폰서로 참여한다. 엔씨소프트는 BTC 전시관 내 최대 규모인 300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신작 타이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몰입감 있는 시연 환경을 구축하고, 현장에서 관람객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참여형 이벤트를 선보이며 지스타 현장 열기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BTC 전시관에는 크래프톤, 넷마블, 웹젠, 그라비티, 구글코리아 등이 부스를 설치하며 B2B 전시관에는 스마일게이트, 넥써쓰, 삼성전자, 텐센트코리아 등이 참가를 확정했다.
지스타는 올해 처음으로 네이버웹툰 대표 작가 문정후와 협업해 신규 키비주얼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키비주얼은 행사 홍보 이미지와 오프라인 현장 전시 공간, 온라인 플랫폼, 각종 캠페인과 홍보 채널 등 지스타 전반에 활용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일회성 협업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매년 새로운 아티스트와 협업을 이어가는 지속적인 협력 모델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지스타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콘퍼런스 'G-CON'은 게임산업의 주요 화두인 '내러티브'를 메인 테마로 삼아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 웹툰,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 창작자들이 모여 이야기가 가진 힘을 탐구한다.
특히 드래곤 퀘스트, 파이널 판타지, 발더스 게이트 3,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타이틀의 핵심 개발자와 각 분야를 대표하는 창작자들이 참여해 경험과 철학을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단순한 발표 형식을 넘어 대담과 토론 중심의 프로그램을 도입해 청중이 내러티브의 본질과 미래를 심도 있고 다각적인 시각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G-CON 2025'에는 글로벌 에너지 드링크 '몬스터 에너지'가 공식 음료 스폰서로 참여하며, 오는 11월 13일부터 14일까지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다.
지난해 20주년을 맞아 규모를 대폭 확장한 '인디 쇼케이스 2.0: Galaxy'는 올해 한 단계 더 진화한다. 인디 전시는 지난해보다 확대된 규모로 마련돼 국내외 인디 개발사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내고 관람객에게는 다양한 인디 게임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아울러 개발사 간 비전과 아이디어 교류 장도 마련해 인디 콘텐츠를 지스타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인디 생태계와 연계해 게임 산업 전반의 지속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스타 2025는 안전을 넘어 관람객 편의와 공정성까지 고려한 운영을 목표로 한다. 조직위는 관람객 추이와 전년도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 입장권 배포 규모를 최적화하고 효율적 인원 분산과 만족도 높은 관람 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전시장 내외 입장 동선은 관람 편의를 높이고 부정 입장 방지에 중점을 둬 누구나 공정하고 쾌적하게 전시를 즐길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경찰, 소방, 보안 인력과 협력해 돌발 상황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체계도 마련했다.
조영기 지스타조직위원장은 "21주년을 맞은 올해 지스타는 앞으로 20년간 게임 산업이 나아갈 길을 보여주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이번 전시를 바탕으로 글로벌 게임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함께 이끌고 게임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과 미래 비전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지스타 일반 참관객 입장권은 오는 10월 14일부터 지스타 공식 홈페이지와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예매할 수 있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