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현장 근로자 사망자, 대우건설 20명으로 가장 많아
'노동안전 종합대책' 시행 시 현대ENG 예상 과징금 107억원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최근 5년간 10대 건설사에 113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2022년 이후에도 사망자 수는 전혀 줄지 않은 상황이다.
![]() |
2020~2024년 10대 건설사 사고 사망자 현황 [자료=건설공사안전관리종합망(CSI)] |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북구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0대 건설사에서 총 113명의 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사망자는 16명이다.
같은 기간 대우건설이 2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대건설(19명) HDC현대산업개발(18명) 현대엔지니어링(14명) 포스코이앤씨(13명) 등이다. 지난 6년 사이 10대 건설사 모두 3명 이상의 사망사고를 경험했다.
새로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따라 연간 3인 이상 사망자가 발생한 기업은 영업이익의 최대 5%를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 올해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상반기 영업이익(2143억원) 기준 예상 과징금은 107억원이다. 지난해 5명, 올해 4명의 근로자가 사망한 포스코이앤씨는 상반기 영업손실이 발생, 연말까지 흑자 전환이 어렵다면 과징금 하한액인 30억원을 물어야 한다.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에도 한국의 산업현장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여전히 가장 위험한 곳으로 꼽힌다. 지난해 한국의 사고사망만인율은 1만명당 0.39명으로 일본(0.12)과 독일(0.11), 영국(0.03)보다 훨씬 높다.
정 의원은 "산업 안전 투자를 비용이 아닌 국가와 기업의 장기적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