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기업회생·'먹튀 논란'·롯데카드 해킹까지 MBK 책임론
정무위 국감, 부당 내부거래·보안 투자 축소 의혹 집중 추궁 예상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이재명 정부 첫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MBK파트너스와 롯데카드, 홈플러스가 집중 도마 위에 오른다.
29일 금융권과 정치권에 따르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등이 국회 정무위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정무위 국감은 오는 10월 13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된다.
![]()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사진=뉴스핌DB] |
정무위는 국감 첫날인 14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를 대상으로 질의를 시작한다. 공정위는 현재 MBK와 홈플러스, 롯데카드 간 부당 내부거래 의혹,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과정에서 발생한 소비자·납품업체 피해 등을 조사 중이다. 이 과정에서 관련 의혹들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증인 명단에는 김 회장과 조 대표, 김 대표 외에도 윤종하 MBK 부회장,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가 포함됐다. 참고인으로는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주 대표와 이의환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대책위원장이 채택됐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이달 5일 인사청문회에서 홈플러스 사태를 두고 "외국계 사모펀드의 무책임한 경영이 소비자와 협력업체에 얼마나 큰 피해를 줄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한 바 있다.
실제로 홈플러스는 지난 3월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며 대규모 점포 매각과 구조조정에 나서 '먹튀 논란'을 자초했다. 직·간접 고용인원 약 3만명, 1만여개 납품사와 임대매장 점주, 금융기관까지 피해가 확산됐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 |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 [사진=뉴스핌DB] |
여기에 최근 롯데카드의 297만명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겹치며 MBK 책임론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MBK 인수 이후 보안 투자가 축소됐다는 지적이 나오자 롯데카드는 예산은 늘었다고 반박했지만 인건비를 제외하면 실제 집행 규모는 지난해 대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롯데카드가 계열사 홈플러스에 기업 전용 카드 거래 조건을 유리하게 적용했다는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MBK를 둘러싼 경영·책임 문제는 국감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다만 김 회장의 출석 여부는 불투명하다. 그는 지난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통신·금융 해킹사태' 청문회에도 출석 요구를 받았지만 해외 출장 등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으며, 당시 김광일 MBK 부회장이 대신 참석한 바 있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