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처방 점검 69건에 달해
임산부 처방 점검은 194건 집계
정신건강·비뇨기과 무분별 처방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비만치료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등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허가한 투약 기준을 벗어나 어린이나 임산부에게 처방되고 있다.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위고비가 국내에 출시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만 12세 미만 어린이에 대해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위고비 처방 점검 건수는 69건이다.
DUR은 약을 처방·조제할 때 병용, 연령, 임신 등 안전에 주의해야 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실제 처방전 조제 여부는 아니지만, 비만 치료제는 비급여 품목으로 DUR로 처방 동향을 파악한다.
![]() |
노보노르디스크 위고비의 용량 패키지 [사진=블룸버그통신] |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DUR 점검 결과, 같은 기간 동안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위고비 처방 점검 건수는 194건에 달했다. 체질량지수(BMI)가 30㎏/㎡이상인 성인 비만 환자,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으면서 BMI가 27㎏/㎡ 이상 30㎏/㎡인 과체중 환자를 대상으로 처방해야 하는 위고비 처방 기준이 무용지물이 된 셈이다.
만일 환자가 임신을 원하거나 임신하면 비만치료제 약 투여는 중단돼야 한다. 만 18세 미만의 어린이 또는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위고비 처방은 다양한 진료 과목 의료 기관에서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위고비 공급 내역 자료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 2453건, 산부인과 2247건, 이비인후과 3290건, 소아청소년과 2804건, 비뇨기과 1010건, 안과 864건, 치과 586건, 진단방사선과·영상의학과 104건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10월 국내 시판된 위고비를 투약한 뒤 급성췌장염을 겪은 환자는 151명이다. 담석증 560명, 담낭염 143명, 급성신부전 63명, 저혈당 44명 등 961명이었다. 이중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급성췌장염 19명, 담석증 76명, 담낭염 39명, 급성신부전 18명, 저혈당 7명 등 159명에 이른다.
김 의원은 "식약처의 의약품 품목 허가 사항을 무시하고 위고비 같은 전문의약품을 처방해도 이를 처벌할 근거가 마땅치 않다"며 "마운자로는 최근 출시돼 기본적인 통계조차 없는 상황에서 원칙 없는 처방과 투약 남용으로 국민의 건강의 사각 지대만 넓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복지부는 비만 치료 주사제 안전 처방 기준을 만들고 의료 현장에 대한 점검과 조사를 통해 환자 안전을 위한 행정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