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캄보디아, 코리아 전담반 구성 합의
구체적 파견 규모·운영 방식은 미정
경찰, 캄보디아 파견 경찰관 기존 3명→8명으로 증원 계획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캄보디아 납치 및 감금 사건에도 동남아 지역에서의 실종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내달 구성 예정인 코리아전담반의 준비 상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를 만나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구금 범죄 예방을 위한 공동 태스크포스(TF) '코리아 전담반'을 오는 11월부터 가동하기로 했다.
조만간 전담반 내 한국 경찰의 파견과 운영 방식이 확정될 예정이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오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KTV] |
정부는 이번 캄보디아 납치 감금 사건 발생 이후 캄보디아 내 '코리아데스크' 설치를 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20일에는 한국과 캄보디아 경찰이 스캠(사기) 범죄 공동 대응을 위한 양자회담을 갖고 합동 대응 TF의 필요성에 뜻을 모으기도 했다.
이번 코리아 전담반은 코리안 데스크와는 차이가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코리안 데스크와) 유사점도 차이점도 있다. 코리안 데스크가 필리핀에 있는 조력기구 이름이라면 코리아 전담반은 우리 측 상황과 조율해 만들어졌다"며 "구체적인 운영 방식과 파견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코리아 전담반은 한국 경찰이 파견돼 운영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인력과 파견 규모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캄보디아 치안 대응 계획에 따르면 경찰은 캄보디아 파견 경찰관을 기존 3명 현재 3명(주재관 1명·협력관 2명)에서 8명으로 늘리는 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들은 이번 캄보디아 납치와 감금 사건 대응을 위해 증원되는 것으로 범죄단지가 밀집한 시아누크빌 지역에 코리안 데스크를 설치하고 2명을 파견해 한국인 납치와 감금 사건에 전담하는 인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영사 업무를 일부 조력하는 경찰협력관 업무 특성상 대사관에서 공조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경찰협력관 2명, 영사 업무를 위한 경찰 주재관 1명을 증원할 계획이다.
이들이 코리아 전담반에서 활동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이번에 코리안 전담반 설치가 결정됨에 따라 경찰청에서도 조만간 파견 규모와 운영 방식을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캄보디아에 파견된 경찰협력관들은 올해 1~8월까지 ▲재외국민 구호 등 지원 활동 297건 ▲국외도피사범 검거 지원 110명 ▲국제공조 사건 자료 수집 및 사실 확인 100건 ▲국외도피사범 송환 지원 70명 등의 활동을 진행했다.
한편 올해 캄보디아 여행자 중 안전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는 162건으로 나타났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지난 27일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23일까지 납치·감금 의심 사건은 총 513건이며 대상자가 귀국한 사건은 295건, 미귀국한 사건은 218건"이라며 "218건 중 안전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사건은 162건이며 안전 및 범죄관련성 여부를 확인 중에 있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외교부와 긴밀히 협업해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이 안된 대상자 소재를 확인해 최초 주소지가 있는 시도청 전담부서에 범죄 관련성 여부와 실제 피해 여부를 면밀히 체크하고 있다"고 전했다.
origi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