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등 생활 전반 예산 501억 편성
탄소중립 자원순환경제 1460억 투자
11월 19일~12월 19일 의회 심의 예정
[광명=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 광명시는 2026년도 일반회계와 특별회계를 포함한 1조 3471억 원 규모의 본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 본예산 1조 1343억 원 대비 18.8% 증가한 것으로 일반회계 예산은 본예산 기준 처음으로 1조 원을 초과했다.
![]() |
| 박승원 광명시장이 지난 9월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재정전략회의'에 참석해, 재정 전문가들과 함께 국가 재정정책 기조에 따른 지방 대응 전략과 광명시 재정 혁신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사진=광명시] |
이번 예산안은 정부의 중점 국정과제와 발맞춰 ▲기본사회▲탄소중립▲자치분권▲민생경제 등 4대 핵심 분야에 재원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불필요한 사업은 정비해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재정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분야별로는 기본사회 분야 501억 원, 탄소중립·정원도시 분야 1460억 원, 자치분권·사회적경제·평생학습 분야 278억 원, 민생경제·일자리 분야 497억 원을 포함해 총 2736억 원을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시민의 기본적 삶을 위해 ▲기본소득 66억 원▲기본돌봄 227억 원▲기본교통 161억 원▲기본주거 4억 원▲기본교육 27억 원▲기본의료 15억 원▲기본사회 정책 1억 원 등 501억 원을 편성해 일상 전반에서 시민의 기본권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기후위기 대응 및 지속가능한 녹색 인프라 확충을 위해 ▲탄소중립 98억 원▲도시숲길 조성 152억 원▲정원도시 조성 107억 원▲도시농업 활성화 15억 원▲생태계 보호·청정에너지 전환 등 87억 원▲자원순환경제 1001억 원 등 총 1460억 원이 편성됐다. 정원도시 조성과 자원순환경제 구축을 통해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시민이 곧 행정의 주체'라는 명제 아래 지역공동체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해 자치분권, 평생학습 및 사회적경제에 재정을 집중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자치분권 78억 원▲평생학습 117억 원▲도서관 서비스 확대 66억 원▲사회적경제 활성화 14억 원▲지역공동체 자산화 3억 원 등 278억 원이 반영됐다.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일자리 사업 316억 원▲지역화폐 126억 원▲지역상권 활성화 24억 원▲중소기업 육성 16억 원▲창업지원 9억 원 등 497억 원이 편성됐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고 '모두가 함께 잘 사는 경제'를 실현할 예정이다.
박승원 시장은 "이번 예산안은 중앙정부의 국정과제 방향에 부합하면서도 광명시가 지향하는 기본사회 실현과 지속가능한 도시 비전을 구체화한 내용"이라고 언급하며 시민의 삶을 개선하고 지역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재정을 전략적으로 투입할 것을 밝혔다.
2026년 본예산은 오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진행되는 제297회 제2차 광명시의회 정례회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