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뉴스핌] 청사사진기자단 =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산재사망 희생자 추모 위령재에서 유가족들이 헌향·헌다를 마치고 큰절을 하고 있다. 2025.11.18 photo@newspim.com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조계사 대웅전 앞마당에 140여 명의 위패가 마련됐다. 산재로 사망한 국내외 희생자들의 위패다. 조계종은 18일 오후 노동 현장에서 사망한 이들의 넋을 기리고 안전한 일터 조성을 기원하며 추모 위령재를 열었다.
 |
| 김민석 국무총리와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등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마당에서 열린 안전하고 차별없는 일터 기원 산재사망 희생자 추모 위령재에 참석해 합장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계종 사회부장 진성 스님,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최종수 성균관장, 안호영 기후노동위원장, 김 총리, 진우 스님. [사진=청사사진기자단] |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산재사망 희생자 추모 위령재에서 유가족들이 헌향·헌다를 하고 있다. 2025.11.18 choipix16@newspim.com |
이날 위령재에는 2018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로 일하다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목숨을 잃은 고(故) 김용균 씨의 어머니인 김미숙 김용균재단 이사장, 고 오요안나 MBC 기상캐스터 어머니 장연미 씨 등 노동자 유족과 한국에서 숨진 이주노동자 유족 등 30여명이 자리했다. 세월호, 이태원, 아리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가족들도 함께했다.
또한 김민석 국무총리,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 김영훈 고용노동부장관, 안호영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 등 정관계 인사와 조계종 인사도 참석했다.
 |
| 김민석 국무총리가 산재사망 희생자 추모 위령재에서 추모사를 하고 있다. |
김 총리는 추모사에서 "우리나라는 빠른 성장으로 경제 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그 이면에는 산업재해로 인한 많은 노동자의 희생이 그치지 않고 있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가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적이고 중요한 책무"라고 전했다. 또한 "살려고 나간 일터에서 노동자가 다치거나 생명을 잃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방치돼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같은 아픔이 반복되지 않도록 산업 현장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다짐했다.
 |
| 유가족의 눈물
|
추모사와 더불어 천도법문, 화청연불, 추모의 노래, 소전의식 등 의식이 진행되자 곳곳에서 눈물이 터져 나왔다. '미등록 이주아동'으로 일하다 지난해 김제 특장차 제조공장에서 사고로 32세로 생을 마감한 고(故) 강태완의 어머니 엥크 자르칼은 유가족 대표로 발표한 발원문에서 "이 땅의 노동자들은 평균 하루 6명, 일년 2,500명 이상이 산재 사망으로 목숨을 잃고 있다"며 "정부, 국회도 산재 없는 세상을 위하여 말로가 아닌 구체적인 대책을 확실히 세우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2025.11.18 choipix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