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매출 66%↑, AI 칩 완판
*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가 답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질문 : 엔비디아가 19일(현지시간) 공개한 2026회계연도 3분기 결산에 대한 월가의 직후 평가는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엔비디아가 19일(현지시간) 발표한 2026회계연도 3분기 결산에 대해 월가에서는 '기대치를 상회한 실적'이라는 긍정적 평가가 즉각적으로 나왔다. 매출과 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웃돌았고, 4분기 전망 역시 시장 기대를 상회해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흐름이 나타났다.
![]() |
|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 [사진=블룸버그통신] |
핵심 평가 및 배경 설명
1. 실적 서프라이즈와 주요 수치
3분기 매출은 570억1000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1.3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월가 전망치매출 549억2000만 달러, EPS 1.25달러를 모두 상회한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2% 급증했다. 데이터 센터 부문 매출이 512억15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66.4% 증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게이밍 부문 매출도 42억6500만 달러로 집계됐다. 4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650억 달러±2%로 제시, 월가 컨센서스616억6000만 달러보다 크게 높았다. 총이익률마진은 GAAP 기준 74.8%, 비GAAP 기준 75.0%로, 시장이 기대한 70%대 중반을 달성했다.
2. 월가 및 시장 반응
실적 발표 직후 시간 외 거래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3% 이상 급등했다. 이는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과 강력한 가이던스에 대한 즉각적 긍정 반응이다. 월가에서는 "AI 칩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데이터센터 매출이 역대 최대치"라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4분기 전망이 컨센서스와 대부분의 바이사이드기관투자자 기대치를 상회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등 주요 기관은 "GB300 칩 생산 가속화, AI 인프라 구축 확대, 공급망 조율 개선" 등을 근거로 엔비디아의 성장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은행들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골드만삭스는 데이터센터 매출 증가와 AI 인프라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3. 투자자·시장 심리
실적 발표 전 월가는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AI 투자 과열 우려'와 '성장 둔화 우려'라는 상반된 불안 심리가 공존했다. 그러나 실제 실적이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단기적으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이다. 엔비디아는 2025~2026년 5000억 달러 이상의 AI 데이터센터용 칩 수주 잔고를 확보하고 있어, 향후 수년간 매출 성장에 대한 신뢰도 높아졌다.
4. CEO 및 경영진 코멘트
젠슨 황 CEO는 "블랙웰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클라우드용 GPU는 이미 매진됐다"며 "AI 생태계가 매우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AI 관련 신규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자, 스타트업, 산업, 국가로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5. 향후 리스크 및 주목 포인트
월가는 AI 인프라 투자 과열, 경쟁 심화, 공급망 이슈, 이익률 유지 여부 등을 주요 리스크로 지목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실적과 가이던스는 단기적으로 이러한 우려를 상당 부분 해소했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실행 가능한 전략적 시사점 AI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련주, 반도체 공급망,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이 예상된다. 엔비디아의 실적이 글로벌 AI 투자 방향성과 시장 밸류에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관련 산업 및 경쟁사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엔비디아 및 AI 생태계 전반의 주가 강세가 이어질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AI 투자 과열 및 경쟁 심화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결론적으로, 월가는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과 4분기 전망을 '기대 이상'으로 평가하며,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구조적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투자 과열과 경쟁 심화 등 중장기 리스크도 병존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분산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
bernard02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