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갈등 속 '기술국산화'와 함께 반도체주 이슈화
3Q 반도체 섹터 실적을 통해 포착한 2대 핵심포인트
'AI+산업 생태계 이중 공진'에 슈퍼사이클 도래 기대
실적 개선세 속 '저평가+고성장 반도체주' 대거 등장
이 기사는 11월 20일 오후 4시1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19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기업 엔비디아(NVIDIA)가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3분기(8~10월) 실적을 발표하며 AI 거품론을 잠재웠고, 이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주가 동시에 상승모멘텀을 확대했다.
AI 반도체는 올해 들어 글로벌 증시에서 지속 관심을 받아왔다. 반도체 슈퍼사이클(초호황) 도래 가능성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이어지는 가운데, 특히 중국증시에서는 최근 중∙일 관계의 급속한 악화로 '기술국산화'가 다시금 인기 투자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반도체 산업체인 연계 섹터와 종목의 장기적 투자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 마무리된 올해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반도체 섹터에 속한 기업들은 AI 연산력 수요의 폭발적 증가에 힘입어 눈에 띄는 수익성 개선을 이뤄냈고, 올해 들어 주가 또한 메인보드 평균을 웃도는 우수한 흐름을 보였다. 이로 인해 '저평가+고성장' 매력을 갖춘 반도체주의 투자 선택지 또한 한층 더 많아진 상태다.
업계 전문가들은 'AI 수요와 산업 생태계의 이중 작용'에 힘입어 '슈퍼 사이클'이 열릴 것으로 전망, 반도체 산업체인 전반에서 투자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1.20 pxx17@newspim.com |
◆ 반도체株 3Q 성적표로 입증된 '2대 포인트'
올해 3분기 반도체 섹터 기업들은 대체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크게 강화됐다.
중국 증권∙금융정보 제공업체 퉁화순(同花順) 데이터에 따르면 10월 31일 기준 선완증권(申萬證券)이 분류한 A주 반도체 상장사 164개 종목 중에서 107개사가 당기순이익 증가(흑자 전환 포함)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율로 따지면 65.24%에 달한다.
공개된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체인의 업·다운스트림 기업의 실적은 일부 엇갈린 양상을 보였다. 다만 주목할 점은 AI, 자동차 전자, 최첨단 제조 등 인기 응용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선도 기업들은 대체로 강한 수익력을 보였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중앙처리장치(CPU)와 도메인컨트롤유닛(DCU) 등 최첨단 프로세서 연구개발업체 해광정보(海光信息∙HYGON, 688041.SH)의 3개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4.65%와 28.56% 증가했다.
파워반도체 선도기업 양걸과기(揚傑科技 300373.SZ)는 3개 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89%와 45.51% 늘었다. 실적 성장의 배경과 관련해 양걸과기 측은 반도체 업계의 경기 개선, 자동차 전자, AI, 소비전자 등 분야의 강력한 성장세를 꼽았다.
중국 대표 메모리 인터페이스 제조업체인 몬타지 테크놀로지(瀾起科技∙란치테크∙Montage Technology 688008.SH)는 AI 트렌드에 따른 수요 확대로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7.22%,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22.94% 증가했다.
중국 플래시 메모리 칩 연구개발 업체 조역창신(兆易創新∙GigaDevice 603986.SH)은 성수기 재고 확보와 메모리 산업 사이클 개선에 힘입어 3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1.4%와 61.1% 늘었다. 메모리 제품 가격 상승에 힘입어 3분기 총이익률은 전분기 대비 3.7% 포인트 오른 40.72%를 달성했다.
반도체 기업들의 3분기 실적 성적표는 크게 두 가지의 사실을 확인시켜줬는데 △반도체 경기가 눈에 띄게 개선됐다는 것과 △AI가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막강한 수요 견인 효과가 그것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3분기 실적을 'AI 수요와 산업 생태계의 이중 작용'에 따른 결과로 풀이한다. 산업 전체의 회복세 속에서, AI 연산력 수요의 폭발적 증가는 관련 기업 3분기 실적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1.20 pxx17@newspim.com |
◆ '슈퍼사이클' 오픈 전망 속 '4대 투자방향'
업계 전문가들은 AI 응용의 폭발적 성장세가 중추적인 동력으로 작용하며, AI가 여는 새로운 반도체 산업의 경기 사이클 이른바 '슈퍼 사이클'이 빠르게 도래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대형언어모델(LLM) 학습부터 추론 배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 엣지 컴퓨팅 환경까지, 방대한 연산 수요가 전용 칩 설계 기업의 주문량을 빠르게 늘리고, 메모리 시장은 수급 불균형 속에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며 반도체 업계의 수익성 확대가 이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화금증권(華金證券)은 화웨이의 '스마트 월드 2035' 및 '글로벌 디지털화 지수 2025' 보고서를 인용해 범용 인공지능이 향후 10년 가장 변혁적인 기술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2035년 사회 전체의 연산력 총량이 10만 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면서, AI가 반도체 '슈퍼 사이클'을 지속 견인할 것이며, 설계·제조·패키징 테스트, 업스트림 소재 설비까지 산업 전체 체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 4분기 및 내년 반도체 산업 전망과 관련해 국연신경제연구원(國研新經濟研究院) 주커리(朱克力) 원장은 반도체 분야 투자 기회가 '기술혁신+현장응용'에 집중될 것이며 '다음의 네 가지 투자 방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① 첨단 패키징 기술인 칩렛(Chiplet)이 AI 칩 성능을 높이는 핵심 경로로 자리 잡을 것이다.
칩렛은 반도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낱개 반도체 칩을 하나로 결합하는 기술이다. 반도체 업계가 초미세공정 과정에서 드러난 성능과 비용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후공정 영역의 패키징 기술경쟁력 확대에 주력하는 가운데, 첨단 패키징 기술의 대표주자로 떠오른 칩렛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② 차량용 반도체로,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 자동차 보급이 차량 AI 칩 수요의 새로운 성장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③ 저공경제(低空經濟, 유인주행 또는 무인자율주행 항공기의 저공 비행을 견인차로 하여 연계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경제) 분야 반도체 활용으로 드론, 전기수직이착륙비행기(eVTOL) 등 저고도 비행체의 경량화·저전력 칩 수요가 전용 시스템온칩(SoC) 설계 기회를 만들어줄 전망이다.
④ 2025년 중국 당국의 핵심 정책방향 중 하나로 거론된 '선발경제(首發經濟∙첫 출시 경제, 새로운 제품∙서비스∙기술∙비즈니스 모델∙생태계가 이끄는 경제)'가 이끄는 소비전자 혁신으로, AR/VR 디바이스와 폴더블 폰 등 신제품이 디스플레이·센서 칩 수요를 높여 반도체 설계 기업의 프리미엄화 전환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반도체株' 투자기회② '저평가+고성장주' 선택지 확대>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