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24일 이은우 전 한국정책방송원(KTV) 원장을 소환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은 이날 오전 10시께 내란선전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이 전 원장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특검이 이 전 원장을 소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 이은우 전 한국정책방송원장. [사진=뉴스핌DB] |
특검은 이 전 원장 등 KTV 관계자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미리 알고 생중계를 준비한 것은 아닌지, 이 전 원장이 비상계엄을 비판하는 정치인들의 발언과 윤 전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을 다룬 뉴스 자막을 삭제하도록 지시했는지 등을 수사하고 있다.
KTV가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통령실 대외협력실 행정관 박모 씨는 지난해 12월 3일 오후 5시52분 KTV 담당 직원에게 '카메라을 준비시켜 달라'고 1차 연락을 했고, 이 전 원장은 오후 7시33분 문자 메시지로 관련 상황을 최초 보고받았다.
이후 윤 전 대통령이 같은날 오후 10시23분 담화문을 발표했고, 해당 영상은 KTV 방송전용망을 통해 각 방송사에 송신됐다.
하지만 이 전 원장은 본인을 포함해 KTV 관계자들 역시 사전에 비상계엄 선포를 알지 못했으며, 당시 대통령실에서 생방송을 준비한 KTV 관계자들 또한 송출을 위한 기술적인 부분만 마련했을 뿐 송출 내용 등은 몰랐다는 입장이다.
앞서 특검은 지난달 16일 이 전 원장의 자택, 세종시 KTV 원장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해 이 전 원장이 사용했던 업무용 PC 등을 확보한 바 있다.
한편 특검은 이날 오전 10시께부터 윤재순 전 대통령실 총무비서관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윤 전 비서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이다.
윤 전 비서관은 12·3 비상계엄 이전 이뤄진 대통령실 인사에 개입한 혐의, 대통령실 PC를 초기화하는 등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관련 증거를 인멸했다는 의혹 등을 받고 있다. 단 이날 조사 범위에 증거인멸 의혹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지난 17일 윤 전 비서관 주거지를 압수수색하고, 19일 윤 전 비서관을 처음으로 소환해 조사한 바 있다.
hyun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