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션 프로그램, 대부분 3% 안팎 시청률로 부진
삼사위원들의 천편일률적 평가와 리액션도 식상
슈퍼스타 출현 부재... 식상한 포맷도 한 몫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슈퍼스타K', 'K팝스타', '프로듀스101', '싱어게인', '미스트롯', '미스터트롯' 등. 지난 시절까지 방송사가 앞다투어 제작했던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은 높은 시청률과 화제성으로 시청자들의 인기를 독차지했다. 무명의 청춘들을 스타로 만들고, 음악 산업의 지형을 바꾸며 새로운 스타들을 쏟아냈다.
![]()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우리들의 발라드' 출연진들. [사진 = SBS] 2025.11.27 oks34@newspim.com |
장범준과 악동뮤지션, 로이킴, 울랄라세션, 서인국 등 초창기 스타들을 시작으로 비교적 최근 배출된 이승윤이나 이무진, 권진아, 안예은 등 셀 수 없이 많은 스타들이 음악 오디션을 통해 세상과 만났다. 그뿐인가. 트로트 가수 송가인과 임영웅을 비롯하여 트로트 가수들 역시 오디션 출신들이 대중음악계를 휩쓸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방영되는 각종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예전만한 파급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시청률은 정체되어 있고, 화제성도 크지 않다. 현재 방영 중인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SBS '우리들의 발라드'를 비롯하여 JTBC의 '싱어게인4',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베일드 뮤지션' 등이다. '베일드 뮤지션'은 아시아 9개국에서 오직 보컬 능력만으로 TOP3를 선정한 뒤, 국가대항전 '베일드 컵'을 펼치는 초대형 음악 오디션이다. Mnet에서는 화요일마다 '스틸하트클럽'이 방송되고 있다.
![]()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베일드 뮤지션'. [사진 = 넷플릭스] 2025.11.27 oks34@newspim.com |
현재 방송 중인 음악 오디션들은 저마다 초특급 심사위원들을 내세우면서 황금 시간대에 방송하거나 흥행이 검증된 OTT에서 공개되고 있지만 흥행 성적이 초라하다. 우선 심사위원단의 면면만 봐도 스타들이 즐비하다. '우리들의 발라드'는 정재형, 차태현, 대니 구, 크러쉬, 정승환이 참여하고 있다. '싱어게인 4'도 임재범, 백지영, 김이나, 윤종신, 태연, 코드쿤스트, 규현, 이해리 등 면면이 화려하다. '베일드 뮤지션'도 폴킴, 에일리, 신용재, 볼빨간 사춘기 등 다양한 뮤지션들이 포진해 있다.
그러나 '우리들의 발라드'나 '싱어게인4'는 3%대 시청률을 넘나들고 있으며, '베일드 뮤지션' 역시 넷플릭스 예능 중에서도 화제성에서 하위권을 맴돈다. 트로트 가수들이 격돌하는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도 시즌을 계속할수록 시청률이 추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SNS 화제성이나 유튜브 클립 조회 수도 전성기 대비 10분의 1 정도로 크게 감소했다. 프로그램이 끝난 뒤 우승자는 대중음악계의 판도를 뒤흔들 만큼 대중적인 지지를 얻었지만 최근에는 존재감이 크게 낮아졌다.
![]()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싱어게인4'. [사진 = JTBC] 2025.11.27 oks34@newspim.com |
대중음악계에서는 아이돌 데뷔 프로젝트형 오디션, 보컬 경연, 트로트 서바이벌, 작곡가 오디션, 무명 가수 발굴전 등 장르는 다양해졌지만 봇물처럼 터져 나온 오디션 프로그램에 시청자들이 흥미를 잃어간다는 분석이다. 또 '늘 보던 이야기, 늘 보던 연출'로 초창기 오디션 프로그램이 자랑하던 긴장감 넘치는 경쟁 구도, 성장 서사, 감동 스토리 등을 찾아볼 수 없다. 심사위원으로 나오는 뮤지션들도 눈에 거슬리는 리액션과 천편일률적인 심사평으로 시청자들을 식상하게 만든다.
아이돌 그룹들의 데뷔 무대였던 프로젝트형 오디션은 예선 → 합숙 → 미션 → 탈락 → 파이널이라는 '정형화된 루틴'과 투표 조작의 후유증 등이 겹치면서 신선함이 사라졌다. 한편으로는 유튜브나 SNS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굳이 오디션 프로그램을 거치지 않더라도 세상 밖으로 자신의 재능을 표현할 기회가 많아진 것도 한 이유다.
![]()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스틸하트'. [사진 = 엠넷] 2025.11.27 oks34@newspim.com |
팝칼럼니스트인 이종성(여주대 교수)은 "과거에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끝나면 음원 차트 상위권 진입, 전국 투어·페스티벌 출연, 방송 섭외 러시로 하루아침에 스타로 떠오를 수 있었다"면서 "이제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우승을 해도 스타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들고 있다"고 말한다. 헉스뮤직 김금훈 대표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출연자들의 실력이 갈수록 줄어드는 느낌"이라면서 "심사위원은 물론 모든 시청자들을 사로잡을 만한 스타성을 가진 출연자를 만나기 힘들다"고 말했다.
결국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다시 예전의 인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포맷의 대대적인 변화와 투명성을 강화하여 신인들의 재능을 발굴하고, 그 여정을 대중과 공유하는 본래의 취지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많은 시청자들이 본방 사수를 위해 TV 앞에 모여 앉아서 숨죽이고 스타 탄생의 순간을 지켜보는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부활을 기다려 본다. oks3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