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原乳값 등 물가 점검
[뉴스핌=김지나 기자] 정부가 하반기 '물가잡기' 고삐를 죄고 있다.
내달부터 우유의 주 원료인 원유(原乳)가격 인상 시행으로 유업체들이 우유 소매가격을 인상할 움직임을 보이자 물가인상 단속에 나선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31일 기획재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는 전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사와 하나로클럽 관계자와 회의를 열고 최근 원유가격 인상에 따른 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소비자단체 관계자도 참석했다.
기재부 측은 "최근 우유 가격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만난 것"이라며 "주로 유통구조와 마진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고, 업체에 부담이 될 수도 있겠지만 앞으로도 이야기는 계속 들으려 한다"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사실상 우유값 인상을 자제하라는 시그널이 아니겠냐고 해석하고 있다.
최근 몇 개월간 가공식품 인상 움직임은 잠잠했지만 원유가격 연동제 발(發) 로 유가공식품은 물론, 가공식품 전반으로 확산이 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냐는 것이다.
실제 회의에 참석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 정부 측에 "내달 원유값 인상으로 우유 소매가격도 인상되면 다른 식품에도 가격인상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이런 분위기라면 가격 조정이 늦춰지거나 아예 어려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유업계는 원유가격 인상에 맞춰 이르면 내달부터 우유값을 인상하겠다는 방침이다. 원유가격은 다음달 1일부터 ℓ당 834원에서 940원으로 12.7% 상향 조정된다.
한편, 새 정부는 올 초에도 대형마트 업계에 '물가 안정'을 당부했다. 지난 3월 지식경제부가 대형마트 3사 임원들을 불러 물가안정 대책회의를 열었다.
[뉴스핌 Newspim] 김지나 기자 (fre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