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삼성합병] 제동 건 엘리엇, 벌처·행동주의 헤지펀드로 '악명'

기사입력 : 2015년06월04일 19:08

최종수정 : 2015년06월04일 19:45

아르헨 무너뜨리고 경영참여 탁월한 수완

[뉴스핌=배효진 기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인수합병에 제동을 건 헤지펀드 엘리엇 어소시에이츠(Elliott Associates, L.P.)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들은 미국 국적의 대형 헤지펀드로, 이미 오랫동안 타협없는 벌처펀드와 행동주의펀드로 명성과 동시에 오명을 얻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폴 싱어 엘리엇 어소시에이츠 창업자 <출처=블룸버그통신>

엘리엇은 억만장자이자 월가에서 가장 존경받는 투자 거물 폴 싱어가 설립한 펀드다. 폴 싱어는 지난 1977년 1월 친지와 가족에 빌린 130만달러의 자금으로 엘리엇을 설립했다. 

창업 40년이 지난 현재 엘리엇은 자산 260억달러를 운용하는 세계 최대 헤지펀드 중 한 곳으로 성장했다. 공시내용에 의하면 엘리엇 어쏘시어츠의 자본금은 84억7138만달러, 자산총액은 145억4530만달러다.

엘리엇 어쏘시어츠(Elliott Associates, L.P.)는 미국 국적의 외국법인으로 대표자는 엘리엇캐피탈어드바이저스(Elliott Capital Advisors, L.P.)다. 유한투자조합으로 엘리엇캐피탈어드바이저스 외에 엘리엇스페셜GP와 폴 싱어가 업무집행조합원으로 등록돼 있다.

뉴욕타임스에 의하면 엘리엇의 설립 이래 투자수익률은 연평균 14.6%로 S&P500 지수의 수익률 10.9%를 앞지른다. 변동성은 S&P500 지수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 일본 도쿄 등 전 세계 주요도시에 175명에 이르는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파트너로는 공동 최고투자책임자인 폴 싱어와 존 폴락, 엘리엇의 런던 사무소를 이끄는 폴 싱어의 아들 고든 싱어와 스티픈 캐소프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있다.


◆ 아르헨티나 채무조정 끝내 동의 안 해줄 정도로 '비타협적'

엘리엇이 벌처펀드로 악명을 날린 가장 유명한 사례로는 아르헨티나의 채무불이행(디폴트)을 꼽을 수 있다.

엘리엇은 아르헨티나 정부가 발행한 액면가 13억3000만달러 규모의 국채를 4800만달러의 헐값에 매입했다. 이후 2001년 아르헨티나는 1000억달러규모의 디폴트를 선언하면서 국제 채권단과 구조조정에 대한 합의를 타진했다.

당시 채권단의 90%가 아르헨티나 정부 채무의 71~75%를 탕감해주는 합의안에 합의했다. 하지만 당시 채무탕감에 반대한 엘리엇의 계열사 NML캐피털은 아우렐리우스 캐피털 매니지먼트와 함께 미국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오랜 소송 끝에 미국 법원은 아르헨티나 정부에게 채무 전액인 15억달러를 엘리엇에 상환할 것을 최종 판결했다. 이자와 수수료를 더할 경우 채무규모는 최대 30억달러에 이른다. 막대한 부채규모를 상환해야할 처지에 놓인 아르헨티나는 결국 지난해 기술적 디폴트를 선택하는 데 이르렀다.

엘리엇이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끈질긴 벌처펀드의 면모를 보일 수 있었던 데는, 앞서 지난 1996년 파나마 공화국을 상대로 동일한 수법을 사용해 570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낸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후 엘리엇은 콩고와 페루 정부를 상대로도 비슷한 수법을 써 총 1억5000만달러에 이르는 엄청난 돈을 챙겼다.

이번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인수합병을 상대로 한 움직임처럼 엘리엇은 평소 '소액주주'들의 가치제고를 위해선 물불을 가리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미국에서 소액주주는 지배지분을 가지지 않는 기관투자자들을 일컫는 말로, 주로 '행동주의 투자자'인 경우가 많다.


◆ 물불 가리지 않고 소액주주 가치제고 추구하는 '행동주의 투자자'

앞서 엘리엇은 지난 2003년 미국 기업 프록터앤갬블(P&G)가 독일 웰라 인수를 타진할 당시 제시한 주가가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다. 엘리엇은 독일 2위 헤지펀드인 데카 인베스트먼트와 합심해 실력행사에 나섰고, 수년간의 법적 분쟁을 걸쳐 주가를 높였다.

당시 독일 언론 보르센짜이퉁과 인터뷰에서 엘리엇은 "소액주주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었다고 배경을 설명한 바 있다.

이후 2005년 4월에는 한 사모펀드가 소매체인점 샵코를 10억달러에 인수하는 것에 반대 목소리를 내, 결국 자신들이 보유하던 샵코의 지분가격을 기존 24달러보다 높은 29달러에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

2006년 1월에도는 DIS AG를 인수해 상장 폐지시키려던 인력컨설팅업체 아데코를 상대로 실력을 행사, 결국 지분 가격을 54.5유로에서 두 배 가량 많은 113유로로 이끌어 낸 바 있다.

비록 엘리엇이 기업들에겐 악명 높지만, 정작 엘리엇을 이끄는 투자자 폴 싱어는 월가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폴 싱어는 평소 정치·사회 이슈에 자신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밝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지난해 11월 치러진 미국 중간선거에서는 동성애자인 아들을 위해 동성애자의 권리를 지지하는 공화당 후보에 통 큰 기부를 한 바 있다.

아울러 폴 싱어는 빌 게이츠와 워런 버핏이 주도하는 기부운동인 '더 기빙 플레지'에도 서명했다. 더 기빙 플레지는 최소한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에 기부하겠다는 약속이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정후, MLB 첫 2경기 연속 대포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이정후가 미국 진출 후 처음으로 2경기 연속 홈런포를 쏘아 올렸다. 샌프란시스코는 그동안 이정후가 홈런을 친 6경기(지난해 2경기)에서 100% 승률을 거뒀지만 처음으로 승리 공식이 깨졌다. 이정후는 15일(한국시간) 샌프란시스코 오라클파크에서 열린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4-8로 추격한 7회 투런 홈런을 날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샌프란시스코 이정후가 15일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7회 2점 홈런을 날린 뒤 맷 윌리엄스 코치의 환영을 받으며 3루 베이스를 돌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전날 애리조나전 8회 3점 홈런에 이어 이틀 연속 아치를 그린 이정후는 시즌 6호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는 7-8로 아쉽게 졌다. 지난해 데뷔한 이정후가 2경기 연속 홈런을 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14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연타석 홈런을 쳐 한 경기 홈런 2개를 발사한 적은 있었다. 3번 7회 무사 1루에서 네 번째 타석에 선 이정후는 애리조나 세 번째 투수인 우완 라인 넬슨을 맞아 원볼 투스트라이크에서 4구째 시속 138㎞ 체인지업을 받아쳐 우중간 펜스를 넘겼다. 타구 속도는 시속 164㎞가 나왔고 비거리는 120m였다. 넬슨은 지난해 애리조나에서 선발로 뛰며 10승(6패 평균자책점 4.24)을 기록한 빅리그 4년차 유망주다. 3번 중견수로 출전한 이정후는 1회 3루수 파울 플라이, 3회 3루수 땅볼, 5회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5회 타구는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펜스 앞까지 달려가 잡아내는 호수비가 아니었으면 장타가 됐을 타구였다. 2점 차로 뒤진 9회에는 선두 타자로 나가 좌익수 뜬공으로 아웃됐다. 이날 범타로 물러난 네 타석에선 공이 모두 왼쪽으로 밀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15일 샌프란시스코와 원정경기에서 5회 이정후의 깊숙한 타구를 러닝 캐치로 잡아내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5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한 이정후는 4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벌였지만 시즌 타율은 0.286로 약간 내려갔다. 2경기에서 5타점을 쓸어 담은 이정후의 타점은 29개로 늘어나 윌머 플로레스(33개)에 이어 팀 내 2위를 기록했다. 전날 애리조나를 10-6으로 꺾고 4연패에서 탈출했던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3위 샌프란시스코는 이날 패배로 4위 애리조나에 2경기 차로 쫓기게 됐다. 샌프란시스코는 9회 이정후가 아웃된 뒤 1사 만루 기회를 만들었다. 마이크 여스트렘스키의 삼진 후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 차까지 추격했으나 크리스천 코스가 중견수 뜬공으로 잡혀 역전에 실패했다. 샌프란시스코는 하루 휴식 후 17일 애슬레틱스와 홈 3연전을 시작한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5 08:58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