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인기검색어로 본 금주중국] 최고 부자 왕젠린회장의 24시간, 마윈 닮고 싶어 2억원 성형

기사입력 : 2016년12월02일 17:07

최종수정 : 2016년12월02일 18:00

[뉴스핌=배상희 기자]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11월28일~12월 2일) 14억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신삼판 투자로 알아본 BAT의 관심 투자종목은?

BAT의 CEO 3인방. 왼쪽부터 리옌훙, 마윈, 마화텅 <사진=바이두(百度)>

중국 3대 IT 공룡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은 엄청난 투자 먹성으로 이미 유명하다. 그들이 투자한 산업분야와 기업들은 두 손으로 꼽을 수도 없을 정도다. 중국 중소 벤처기업 전용 장외 주식거래 시장인 신삼판(新三板)에 투자한 종목을 통해 그들의 관심 투자 분야를 살펴봤다.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이 투자한 신삼판 기업은 오락, 미디어, 왕훙(網紅∙인터넷스타), 소비 종목에 집중돼 있다. 와베이망(挖貝網)에 따르면 알리바바가 현재 투자한 산심판 상장 기업은 둬웨이두(多維度,833589), 헝다타오바오(恒大淘寶,834338, 루한홀딩스(如涵控股,832887), 신폔창(新片場,834630), 즈전즈넝(智臻智能,834869), 바이청여행(百程旅遊,836925), 하오싱문화(昊星文化,838685), 하이항렁롄(海航冷鏈,831900) 등 8개다.

알리바바가 투자한 대표적 오락 테마주로는 루한홀딩스를 꼽을 수 있다. 알리바바는 2016년 11월 3억 위안을 투자해 루한홀딩스의 9.59%의 지분을 사들이며, 루한홀딩스의 4대 주주로 올라섰다. 루한홀딩스는 명실상부 중국을 대표하는 ‘왕훙 양성기업’으로 불린다. 마 회장의 루한홀딩스 투자는 왕훙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알리바바 산하 항저우 알리창업투자유한공사는 인터넷 영화, 광고 제작 업체 신폔창에 대한 투자에도 나서, 현재 17.91%의 지분을 보유한 2대 주주로 올라서 있다. 이밖에 알리바바는 소비 테마주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온라인 쇼핑 앱(APP)인 둬웨이두의 8% 지분을 보유한 5대 주주이기도 하다.

마화텅(馬化騰) 텐센트 회장은 인터넷 기술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보여왔다. 통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윈가오정보(雲高信息,832807), 이멍주식(益盟股份,832950), 상하이환촹(上海環創,833768), 하오마이차이푸(好買材富,834418), 샹쑤소프트웨어(像素軟件,836333), 메이자방(美家幫,836509), 이자제(逸家潔,836594), 신둥팡왕(新東方網,839896) 등 8개 신삼판 상장 기업에 투자했다.

텐센트는 증권정보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업체인 이멍주식의 19.36% 지분을 보유한 2대 주주이자, 게임 개발업체 샹쑤소프트웨어의 14.68% 지분을 보유한 3대 주주이기도 하다.

리옌훙(李彥宏) 바이두 회장은 주로 생활과 정보서비스 테마주에 집중 투자해왔다. 바이두가 투자한 신삼판 상장주는 커루윈(客如雲,835268), 제퉁화성(捷通華聲,837719), 바이싱왕(百姓網,836012), 즈워커지(知我科技,836435) 등 4개 기업이다.

바이두가 투자한 대표적 신삼판 상장기업인 커루윈은 중국 요식업 SaaS(Software as a Service,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 바이두는 21.79%의 지분을 보유한 2대 주주로 올라서 있다.

◆ 부자의 하루는 남다르다?...왕젠린 회장의 ‘24시간’

왕젠린(王健林) 완다그룹 회장(왼쪽)과 온라인에 공개된 왕 회장의 하루 일정표. <사진=바이두(百度)>

부자들의 하루는 어떤 모습일까? 누구나 한번쯤 가졌을 법한 궁금증이다. 이 같은 궁금증을 해소해주듯 최근 온라인을 통해 중국 부호의 하루 일과가 공개돼 화제를 모았다.

그 주인공은 중국 최대 부호 왕젠린(王健林∙62) 완다(萬達)그룹 회장이다. 최근 완다그룹은 공식 웨이신(微信∙위챗)을 통해 왕 회장의 하루 일과를 적어 놓은 일정표를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 속 왕 회장의 하루는 이른 새벽부터 시작된다. 11월 30일 새벽 4시. 왕 회장은 운동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왕 회장은 이미 2년 전부터 하루 1시간 이상의 꾸준한 운동으로 체력을 관리해 왔다. 62세라는 적지 않은 나이에 본업인 부동산 개발은 물론, 영화 등으로 왕성한 사업확장 행보를 보이고 있는 그의 노익장은 이 같은 체력에서 나온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왕 회장은 아침식사를 거르는 법이 없다. 아침 5시부터 30분간 이어지는 그의 아침식사 메뉴는 의외로 간단하다. 죽과 빵 한 조각, 약간의 장아찌 정도면 충분하다.

아침 6시부터 왕 회장의 본격적인 일과가 시작된다. 이날은 비행기를 타고 6000km를 날아 두 국가, 3개 도시를 방문했다. 아침 7시 자카르타에서 하이난(海南)성 하이커우(海口)로 이동하는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왕 회장은 하이난에 도착한 뒤 쉴 틈도 없이 하이난 지도부들과의 만남을 위해 이동한다. 이날은 하이난성 정부와 완다성(萬達城∙완다시티) 프로젝트 관련 협약을 체결하는 날이다. 이후 간단한 식사를 한 뒤, 바로 하이커우 공항에서 베이징으로 향한다. 저녁 7시가 다 돼서야 왕 회장은 자신의 베이징 완다 사무실로 복귀한다.

앞서 왕 회장은 자신의 성공 비결과 관련해 '근면, 지혜, 행운' 등의 세 가지 요건을 제시했다. 아울러 왕 회장은 “다른 사람이 당신보다 뛰어난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두려운 것은 뛰어난 사람이 당신보다 더욱 노력하는 것이다” 라는 말을 통해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 “마윈이 되고 싶어”…거액 성형수술 감행한 中 남성

왼쪽부터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 황젠(黃建), 판샤오친(范小勤). <사진=바이두(百度)>

최근 중국의 20대 젊은 남성이 중국 최대 IT 기업 알리바바의 마윈(馬雲) 회장을 닮고 싶다며 거액을 들여 성형수술을 받은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중국 선전(深玔)시에 사는 황젠(黃建)이라는 이 남성은 최근 한국 성형외과에 100만 위안(약 1억7000만원)을 들여 마윈의 얼굴과 비슷하게 성형했다.

황젠은 알리바바가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에 세운 창업 전문 후판대학교에서 마윈을 직접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윈의 광팬으로 알려진 황젠은 인터넷에 자신의 사진과 함께 “ ‘빅’ 마윈(알리바바 회장)과 ‘리틀’ 마윈(판샤오친∙范小勤)이 있다. 내가 ‘중간’ 마윈이다”라는 글을 올렸다. 판샤오친은 마윈과 똑 닮은 외모로 최근 중국 온라인 상에서 유명세를 타고 있는 8살 시골 소년이다. 마윈은 판샤오친이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모든 비용을 전액 지원하겠다고 밝혀 화제를 모았다.

이 소식은 웨이보(微博·위챗) 등을 통해 삽시간으로 퍼지며 중국 네티즌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이와 관련해 일부 네티즌은 아무리 마윈을 존경한다고 이렇게 많은 돈을 들여 얼굴을 성형하는 것은 미친 짓이라고 비난했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소고기 콕 집은 트럼프...축산농 반발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다음 달 1일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 상호관세' 부과를 앞둔 상황에서 한미 간 막판 협상에 돌입했다. 이번 협상에서 미국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제한 철폐를 강하게 요구하며 한국을 압박하고 있다. 정부는 미국 측의 압박으로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허용 등 농축산물 비관세장벽 카드를 협상테이블에 올리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다만 농민단체의 반발과 국민 신뢰가 흔들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2의 광우병 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 美,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압박…韓, 농산물 카드 검토 28일 정부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호주가 미국산 소고기를 개방했다는 점을 연일 언급하며 한국에도 같은 수준의 개방을 요구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호주가 미국산 소고기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며 "이제 우리는 호주에 (미국산) 소고기를 많이 팔 것"이라고 게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7.25 mj72284@newspim.com 이어 "우리의 훌륭한 소고기를 거부하는 다른 나라들도 (개방) 요구를 받은 상태"라며 "이 좋은 흐름을 이어가자. 지금은 미국의 황금기"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고기 개방을 거부하는 국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세협상을 앞둔 한국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 또한 트루스소셜을 통해 "지난 20년간 비과학적인 무역 장벽 때문에 우리 소고기가 호주 소비자들에게 판매되지 못했다는 것은 터무니없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미국 농축산업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건강한 소고기를 생산하고 있다"며 "USTR은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타파하고 미국 국민이 주요 시장에 배제되지 않도록 미국의 무역 파트너들과 계속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협상을 진행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연일 30개월 이상 소고기 개방을 압박하면서, 한국도 소고기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지 여부를 검토 중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25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협상 품목 아래 농산물도 포함돼 있다"며 "농업이나 디지털 분야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간 협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당초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에서 농업분야 보호를 우선으로 두고,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개방 등 비관세 장벽을 해소할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바 있다. 한 대형마트의 미국산 쇠고기 진열대 모습 <뉴스핌 DB> 그러나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일정 사유로 전날 취소되면서 미국이 한국의 협상 태도에 불편을 느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미국은 우리나라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오는 8월 1일부터 적용되며, 한미 양국은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대해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허용 ▲쌀 시장 추가 개방 ▲유전자변형(LMO) 감자·사과 검역 완화 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 농민단체 "관세협상에 농업 희생양 삼지 말아야"…대정부 투쟁 돌입 정부로서는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우선 한국은 현재도 미국산 소고기의 최대 수입국이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22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수입액(38억4700만달러) 대비 57.4%를 차지한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지난 2004년 1억300만달러에서 2012년 5억2200만달러, 2016년 10억3500만달러로 20억달러를 넘기다 2022년에는 26억24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까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17.5%다. 이재명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우리나라는 이른바 '광우병 파동' 이후 30개월령 미만 미국산 소고기만 수입하고 있다. 지난 2008년 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됐고, 우리 정부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까지 수입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반대하는 촛불집회가 전국적으로 열렸다. 당시 이명박 정부 지지율은 취임 2개월 만에 20%대로 폭락했고, 결국 정부는 미국과 소고기 협상을 일부 재협상했다. 다시 말해 현재 국내 소비자들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섭취에 대해 안전하지 못하다는 인식이 기반에 깔려 있다. 또 우리나라 연간 쌀 저율관세할당(TRQ) 물량은 40만8700톤으로, 미국 물량이 이중 13만2304톤(32%)을 차지한다. 쌀 개방은 WTO 규약에 묶여 있기 때문에 한미 양자 간 협상체계가 불가능하다. 다만 미국이 소고기 등 농산물 개방을 미루는 국가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는 점을 연일 강조하면서 국익 측면에서 조선·철강·반도체 등 산업을 보호하고 농산물을 희생해야 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나온다. 농민단체는 정부의 기류에 대거 반발하고 있다. 한국농축산연합회,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 농민의길 등 농축산업 단체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대정부 투쟁에 나선다. 이들 단체는 "미국산 농축산물은 이미 한미 FTA로 전면개방을 한 마당에 관세 추가 인하 및 비관세장벽까지 철폐된다면 농민 생존권 말살과 함께 국내 농업생산 기반 붕괴는 시간문제일 것"이라며 강하게 규탄한다. 이어 "미국산 소고기에 대한 수입연령 제한과 사과에 대한 식물검역은 국내법과 WTO 등 국제협정 등에 따른 정당한 조치이며, 국민건강과 직결된 것으로 절대 포기해선 안 되는 문제"라며 "농축산물을 협상대상에서 제외해 식량주권과 국민건강권을 반드시 사수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단체 관계자는 "한미 관세협상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요구가 묵살될 경우 대대적인 추가 농민항쟁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쌀값정상화법 공포 촉구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3.04.03 leehs@newspim.com plum@newspim.com 2025-07-28 12:49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