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매출총이익 100% 늘리기로, 유럽·아프리카·러시아 시장 충분
“인도 기업은 북한 위협 겁내지 않아, 한국에 IT 자동차 지속 투자”
[ 뉴스핌=한기진 기자 ] 2010년 쌍용자동차를 인수한 인도 마힌드라 그룹이 새로운 발전전략을 내놨다. 2019년 쌍용차가 안정적인 이익을 달성할 수 있게 다양한 라인업 확보와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연구개발(R&D)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최근 방한한 파완 쿠마르 고엔카(Pawan Kumar Goenka) 마힌드라그룹 사장은 지난 25일 주한인도상공회의소 주최 조찬 모임에서 2019년을 목표로한 쌍용차의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2019년은 쌍용차를 인수(2010년)한지 10년을 맞는 해이다.
![]() |
코엔카 마힌드라 사장<사진=뉴시스> |
코엔카 사장은 “작년에 처음으로 흑자 전환하며 영업이 정상화됐고 티볼리, 렉스턴 G4에 이어 코란도C의 후속모델 C300도 곧 출시를 앞두는 등 제품 라인업도 완성됐다”고 쌍용차 실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과거 카이런, 로디우스 등 디자인 비판을 받았지만 지금 인하우스(사내) 디자인팀이 좋은 디자인을 만들며 회사의 역량이 좋아졌다”고 덧붙였다.
2019년에 순익구조가 안정화되도록 판매 확대와 시장 다양화를 통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마힌드라와 시너지 효과와 R&D(연구개발)를 강화하기로 했다.
코엔카 사장은 미래 성장을 위해 쌍용차가 시장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쌍용차는 유럽에서 통하고 마힌드라는 아프리카에 큰 시장을 갖고 있어, 두 회사의 시너지를 통해 전세계 시장 판매를 크게 늘릴 수 있다”고 목표달성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코엔카 사장은 원가 절감 측면에서도 마힌드라와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다.
코엔카 사장은 “쌍용차는 인 타임(in time, 적기)생산성에 강하고 마힌드라는 인건비와 부품을 매우 낮게 조달할 수 있는 강점이 있어 플랫폼 공유 등과 함께 시너지효과를 낼 것”이라고 했다.
신규비즈니스 모델로 전기차 등 미래차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R&D를 늘린다. 2년 안에 티볼리를 기반으로 한 전기차 1호 모델을 출시키로 했다. 또한 쌍용차의 고객 만족을 높이는 방법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영업네트워크와 서비스망에도 투자를 늘린다.
코엔카 사장은 “그동안 쌍용차에서 품질에 대한 집중력과 효율성을 많이 배웠고 한국의 R&D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인도의 낮은 인건비를 결합해, 더 많은 발전을 이룰 것”이라고 했다.
한편, 그는 최근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따른 투자심리에 대해 "인도의 기업들은 위기에 익숙하기 때문에 한국과 투자와 교역을 더 많이 하고 싶어한다"면서 "쌍용차를 인수한 뒤 점점 더 한국은 배울게 많은 곳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뉴스핌 Newspim] 한기진 기자 (hkj7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