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2017년 중국 인터넷을 달군 화제의 신조어·유행어(下)

기사입력 : 2017년12월06일 11:08

최종수정 : 2017년12월06일 11:08

[뉴스핌=백진규 기자] 유행어와 신조어는 특정 시기 특정 집단 혹은 사회 대중의 문화와 두드러진 현상을 반영하는 언어적 매개체다. 이 때문에 한 해를 관통한 인기 유행어와 신조어는 대중의 인식을 들여다보는 좋은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과 첨단 기술로 빠른 발전을 지속하고 있는 중국 사회에 올해도 다양한 유행어와 신조어가 쏟아져 나왔다.

올해 중국의 유행어와 신조어는 인터넷 게임과 인기 연예인의 발언에서 비롯된 것이 많았다. 중국 사회에서 인터넷, 게임 그리고 연예인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들이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보면 젊은 층을 중심으로 놀라움, 안타까움, 억울함, 분노 등을 표출하는 유행어와 신조어가 많았다. 중국 SNS에서 폭발적인 사용률과 검색률을 기록한 올해의 유행어와 신조어 20개를 골라 소개한다.

<상편에서 이어짐>

11. “너희들은 00해, 난 안 될 꺼야! (妳們盡管00了, 算我輸!)”

'다이어트 해봐야 안된다, 쇼핑 해봐야 돈 없어서 못한다' 는 중국 이모티콘 <캡쳐=바이두>

‘먼저 가, 난 이미 틀렸어.’ 우리나라 초보운전 스티커로 활용되는 유행어의 중국어 버전이 바로 ‘너희들은 00해, 난 안 될 꺼야(妳們盡管00了, 算我輸)’다.

한 중국 네티즌이 웨이보에 “내일 모레가 시험인데, 아직 공부는 시작도 안 했다. 교수님께서 시험정리를 해주실 텐데. 너희들이라도 복습 해, 난 어차피 졌어”라는 글을 올렸다가 유행했다.

이어 상대방을 비꼬는 언어유희로 발전하면서 지금은 ‘어차피 니가 뭘 해도 안 될 꺼야’라는 뜻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다이어트 해봐, 니가 정말 살을 뺀다면 내가 진 것으로 하자”, “마음껏 쇼핑 해봐, 살 돈이 있다면 내가 졌다” 라는 식이다.

12. “도끼(증거)를 원한다면 가져다 주겠다 (求錘得錘)”

큰 사건이 폭로되면 의심하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도끼를 원한다면 도끼를 준다’는 말은 의심하는 사람과 해명하는 사람 사이에 증거를 제시하며 사건을 폭로하는 일을 뜻하는 말이다.

9월 7일, 배우 겸 가수 쉐즈첸(薛之謙)과 가오레이신(高磊鑫)이 재결합을 발표했다. 소식이 발표된 직후 쉐즈첸의 전 여자친구인 가수 리위퉁(李雨桐)이 인터넷에 쉐즈첸과 옷가게를 동업할 당시 일화를 공개하며 쉐즈첸이 돈과 여자를 밝히는 파렴치한 인물임을 폭로했다. 당시 쉐즈첸이 자신에게 “가오레이신이 임신했으니 보상을 해줘야 하는데 돈을 달라”고 요구했다는 것. 또한 쉐즈첸이 다른 여성에게 사기를 친 일화도 공개했다.

쉐즈첸은 평소 매너있고 상냥한 이미지로 인기를 끌어 왔기에 그의 팬들은 리위퉁을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리위퉁은 3일간에 걸쳐 쉐즈첸과 체결한 계약서 등을 증거를 공개했고, 중국 네티즌들은 “도끼를 요구했더니 정말 도끼를 가져왔다”며 점점 리위퉁의 말을 믿기 시작했다.

13. “어색하다 어색해! 가랴오(尬聊)”

인터넷 신조어 '가랴오'는 곤란하다, 어색하다는 뜻의 단어 ‘간가(尷尬)’와 놀이, 잡담의 뜻을 가진 ‘랴오톈(聊天)’을 합친 단어다.

대화 중에 무슨 대답을 해야 할지 모를 때, 할 말이 없을 때도 가랴오라는 단어를 쓸 수 있다.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드는 사람, 한 명씩 꼭 있다. 재미있게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려고 해도 동문서답은 기본이고 표정도 좋지 않은 사람들. 하지만 이런 사람들과 억지로 시간을 같이 보내야 하는 상황에 처한다면? 1분 1분이 하루 같이 느껴지는 이 상황을 표현하는 말이 바로 ‘가랴오’다.

14. “화이팅! 다콜(打call)”

다콜 이미지 <캡쳐=바이두>

“널 응원해!”, “화이팅!”을 중국어로 하고 싶다면 ‘자유(加油)’가 아니라 ‘다콜’을 써보는 건 어떨까?

다콜은 격려하다(공기를 넣다) 라는 단어 ‘다치(打氣)’에 일본에서 유행한 단어 ‘Call’을 합친 합성어다. 일본 콘서트에서 팬들이 손을 흔들며 열광하는 모습을 Call이라는 단어로 표현한 데서 유래했다.

‘미친 듯이 널 응원해’ 라는 펑쾅다콜(瘋狂打call) 이라는 말로도 자주 쓰인다. 친구가 어려운 일에 처했을 때, 시험이나 면접을 볼 때, 게임에서 우리 편을 응원할 때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15. “작은 주먹으로 네 가슴을 때릴꺼야 (小拳拳捶妳胸口)”

연인들끼리 애교 부릴 때 쓰는 말로, 부부싸움을 한 뒤 아내가 남편과의 위챗에서 “내 작은 주먹으로 네 가슴을 때릴 꺼야”라는 말을 남긴 것이 공개되면서 유행했다. 귀여운 이모티콘과 아내의 애교에 네티즌들은 둘이 너무 잘 어울린다며 부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후 친구들끼리도 “내 말을 듣지 않으면 도끼로 널 찍어버릴 꺼야”라는 식으로 과격하게 변형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MC린징푸(MC林靖富)는 ‘작은 주먹으로 네 가슴을 때릴 꺼야’라는 노래를 작곡했다.

16. “이겼닭! 오늘 저녁은 치킨이닭! (大吉大利,晚上吃雞)”

'이겼닭! 오늘 저녁은 치킨이닭! (大吉大利,晚上吃雞)' 배틀그라운드 게임 화면 <사진=바이두>

“다지다리 완상츠지(大吉大利,晚上吃雞)”는 서바이벌게임 배틀그라운드 중문판에서 승리하면 나오는 멘트다. 한국어로는 “이겼닭! 오늘 저녁은 치킨이닭!”, 영어로는 “WINNER WINNER, CHICKEN DINNER” 등의 재밌는 말로 번역 되면서 배틀그라운드를 상징하는 멘트로 자리잡았다.

중국에서도 배틀그라운드 열풍이 불면서 ‘오늘 저녁엔 치킨 먹자’는 말이 유행했고, 배틀그라운드를 ‘닭먹는 게임(吃雞遊戲)’으로 부르고 있다.

한편 텐센트는 지난 11월 배틀그라운드의 중국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7. “오버하고 있네! (戲精)”

시징(戲精)은 원래 연기·연극을 잘 하는 사람을 칭찬하는 단어지만, 지금은 오버액션을 하거나 과하게 상황에 몰입해 웃긴 경우를 비꼬는 말로 더 많이 쓰인다. 한마디로 말해 ‘쇼하고 있는’ 상황을 표현하는 단어다.

호들갑을 떨거나 잘못을 해놓고 넉살 좋게 시침 떼고 있는 상황을 비꼬는 말로 주로 쓰인다. “시징학원을 다녔냐?”또는 “너 스스로 시징을 더하지 마라”는 등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18. “고양이가 좋아, 시마오(吸貓)”

반려동물 고양이가 좋아서 매일 안고 뽀뽀하고 아끼는 사람을 온라인에서 시마오(吸貓)라고 부른다.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관련 사진과 자료를 업데이트하고 고양이 예찬론을 펼치면서 유명해졌는데, 그 중 한 명이 “나는 ‘시마오체질(吸貓體質)’이야” 라고 한 것이 인기를 끌면서 시마오라는 단어가 탄생했다.

뒤이어 다른 네티즌들도 “여기에 수십명의 시마오가 있다!”라고 주장했고, 다시 미국 대통령 링컨 등이 고양이를 좋아했다는 역사적 사실이 덧붙여지면서 ‘시마오’들은 서로 유대감을 형성했다. 이들이 올린 귀여운 고양이 사진, 고양이를 안고 있는 사진 등은 짤방(재미있는 이미지)으로 자주 사용된다.

19. “이런 방법도 있어? (還有這種操作?)

'이런 방법도 있어?' 이모티콘 <캡쳐=바이두>

원래 게임 플레이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황당한 행동을 하는 사람이나 상황을 비꼬는 말로 주로 쓰인다. “나를 놀려? 이런 방법도 있어?” 하는 식이다.

게임 동영상이 인기를 끌면서 “이런 방법도 있어?”라고 외치던 것이 유행어로 자리잡았다. 주로 이모티콘으로 표현하거나 댓글로 많이 쓰인다.

20. “소매를 걷고 열심히 일하자 (擼起袖子加油幹)”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올해 춘제(春節, 설) 연휴가 끝난 뒤 “시대가 우리에게 준 사명이 있으니 우리는 여기에 답해야 한다”면서 “소매를 걷고 열심히 일하자”고 중국인들을 격려했다. 이때 한 말이 유행하면서 서로 격려하고 각오를 다질 때 “소매를 걷자”는 표현을 쓰기 시작했다. 시진핑 주석 캐리커처와 함께 사용한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