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교통모델 추진..지방 시 지역에 총 234억원 지원
군 운전인력 취업지원에 5억원 신규 배정
[세종=뉴스핌] 서영욱 기자 =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버스노선 감축, 폐지를 막기 위해 지방 버스회사에 예산을 투입한다.
28일 국토교통부 예산안에 따르면 국토부는 내년도 예산에 '도시형 교통모델(공공형버스)' 사업에 234억원의 예산을 새로 배정했다.
![]() |
서울 중구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시민들이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이형석 기자] |
도시형 교통모델은 준공영제가 도입되지 않는 지방의 시 지역에 예산을 투입해 노선버스 체계 효율화와 함께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시 지역 버스업체에 예산을 지원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노선 감축, 폐지를 막기 위한 방안이다.
군 지역을 지원하는 농림부의 농촌형 교통모델 사업과 함께 추진된다. 국토부는 78개 시에 각 3억원씩 총 234억원을, 농림부는 82개 군에 각 3억원씩 총 246억원을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와 5대 5 매칭 형식으로 이뤄진다.
국토부는 연말까지 '버스 공공성 및 안전 강화 방안'을 마련해 노선버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울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노선버스 근로시간 단축 시행 후 노사정 합의, 계도기간 부여로 노선버스는 큰 노선조정 없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행 중"이라며 "준공영제, 종사자 처우 개선 및 인력 양성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버스운전기사 확보를 위한 군 운전인력의 취업 지원에도 5억원의 예산을 새로 배정했다. 대형차량 운전이 가능한 군 운전인력 중 1만여 명을 대상으로 1인당 4만6500원의 버스운전자격 취득비용을 지원한다.
국토부는 버스 운전자격 취득에 필요한 지식 습득, 버스 근로여건을 안내하는 취업설명회 개최, 버스 현장방문, 버스회사 채용면접 컨설팅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