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미래 김은주 기자 =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3월 25일~29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중국 유명 셀럽 스타일리스트 장솨이 뷰티숍 개업으로 화제
판빙빙(範冰冰), 장쯔이(章子怡),황샤오밍(黃曉明),안젤라 베이비 등 수많은 중국 특급 스타의 옷차림과 메이크업을 담당했던 중국 유명 스타일리스트 장솨이(張帥)가 최근 뷰티 숍을 개업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장솨이의 뷰티숍 개업식[사진=바이두] |
그는 지난 26일 베이징에서 자신의 뷰티숍 먀오메이푸뎬탕(妙美肤殿堂) 영업을 시작하면서 탈세 사건 후 칩거 상태인 판빙빙을 비롯해 리천, 판청청 등 친분이 깊은 유명 스타를 초청, 성대하게 개업식을 열면서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올해 40세인 장솨이는 중국 10대 메이크업 아티스트이자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M.A.C'의 특별초빙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같은 화려한 경력을 지닌 장솨이는 정규 교육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독학으로 패션과 메이크업을 연마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메이크업 학원에서 강의를 청강하면서 메이크업을 익혀 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치게 된다.
그 후 장솨이는 CCTV(中央電視臺)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동시에 특급 스타들의 메이크업을 전담하면서 그의 명성은 중국 연예계에서 널리 알려지게 된다. 특히 판빙빙,안젤라 베이비, 황샤오밍 등 유명 셀럽의 스타일링을 전담하면서 이 스타들과 친가족처럼 깊은 친분을 맺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유명 연예인의 패션 스타일을 맡으면서 그의 남다른 감각이 반영된 방송 의상은 많은 시청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게 된다.
이에 그는 지난 2014년 패션 분야에도 손을 뻗어 자신의 이름과 동명인 의류 브랜드 '장솨이'(張帥)를 출시하기도 했다.
장솨이는 또 지난 2016년 판빙빙과 같이 출연한 패션 리얼리티 쇼인 ‘워더신이’(我的新衣)에서 기구를 주제로 의상을 제작해 우승을 차지하면서 주목을 받기도 했다. 당시 그가 출품한 의상의 판권 금액은 3900만 위안으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최근 장솨이가 개업한 뷰티 숍을 두고 적지 않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판빙빙이 연예계 컴백을 앞두고 미용업계에 진출했다는 관측을 제기했지만, 판빙빙측은 즉각 이를 부정했다.
다만 이 뷰티숍의 소유주는 판빙빙의 모친 장촨메이(張傳媒)가 대주주로 있는 업체인 징리궁잉시원화(京麗宮影視文化)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장솨이의 뷰티 사업은 판빙빙 일가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이 뷰티숍의 회원권 가격은 5만위안(약 840만원)부터 시작해 최대 100만위안(약 1억 68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져 지나치게 비싼 가격으로 온라인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이와 관련해 중국 네티즌들은 “서민들은 절대 이용할 수 없는 곳이다”, “연예계 스타들만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등 곱지않은 시선을 드러냈다.
◆ 기모노 입고 우한대 벚꽃놀이 간 관광객, 학교 관계자에게 봉변
최근 중국 벚꽃놀이 명소인 우한대학교(武漢大學)에서 학교측 보안요원이 두 명의 관광객을 무력으로 진압하는 영상이 인터넷에 퍼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인터넷에 퍼진 1분 7초 분량의 동영상을 보면 기모노로 보이는 옷을 입은 두 명의 청년이 네 명의 보안요원에게 둘러싸여 있다. 청년들은 “무슨 이유로 사람을 내쫓는 거냐. 나는 학생이다. 교장을 불러달라”며 소리쳤지만 보안요원들은 목을 조르거나 땅에 밀치는 등 무력을 사용했다.
후베이(湖北)성 우한대학교에서 발생한 이 사건의 발단은 두 청년의 복장이었다.
대학 보안요원 측은 “교내 벚꽃놀이 기간에는 기모노 입은 관광객의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며 학생의 복장을 문제 삼았다. 청년들은 “내가 입은 건 기모노 아닌 당나라 전통의상 탕좡(唐裝)이라고 항의했다.
중국 전통 의상중 하나인 치파오(旗袍)는 바로 이 탕촹과 만주족(滿族)의 전통복 파오즈(袍子)가 결합한 형태다.
영상 속 구경꾼들 역시 두 남성이 입은 옷이 탕좡이냐 기모노냐를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앞서 2002년 우한대학교는 기모노 입은 관광객의 출입을 금지하는 규정을 제정한 바 있다.
대학교 측은 “올해도 변함없이 관련 내용을 공지했다”고 밝혔지만, 우한대학교 학생은 인터뷰를 통해 “문서 형식이 아닌 구두 통지였다”고 전했다.
또 당시 현장에 있었다고 밝힌 한 네티즌이 “두 청년 중 한 명이 온라인 예약을 하지 않아 발생한 일”이라고 주장하자, 피해 학생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입장 전 인터넷 예약 확인은 물론, 신분증 검사까지 받았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피해 학생은 “당나라 문화에 관심이 깊어 당시 전통의상을 입었을 뿐”이라고 항변하며 “보안요원도 나도 중국인이다. 싸우고 싶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우한대학교에서 네 명의 보안위원에게 둘러싸여 폭행 당한 대학생 [사진=바이두] |
해당 동영상이 SNS를 통해 급속히 옮겨지고 여러 언론에 보도되면서 논란이 증폭되자 우한대학교 측은 “경찰의 수사를 요청했다”고 발표했다.
한편 우한대학교 내부에는 1000여 개의 벚꽃나무가 있어 매년 봄이 되면 벚꽃축제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벚꽃축제는 약 2주 정도(올해 3월 21일~4월 4일) 진행되며 평균 몇 십만 명의 관광객이 몰린다. 올해 우한대학교는 벚꽃 축제를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 평일 1만5000명, 주말 3만 명으로 입장을 제한했다.
◆ 휴지도 공유경제 시대, 중국 베이징에 QR코드로 빼 쓰는 휴지통 등장
‘공익 스마트 휴지기’ 이용 모습 [사진=바이두] |
“화장실 휴지, 이제 스마트폰 QR코드로 간단히 해결됩니다”
'공유경제'의 천국 중국에 공유 자전거, 공유화장품, 공유 충천 배터리에 이어 이번에는 ‘공유 휴지’가 등장했다.
베이징 진위안옌사(金源燕莎) 쇼핑센터는 매장 화장실에 QR코드를 스캔하면 무료로 휴지가 나오는 기계장치(공익 스마트 휴지기)를 설치해 고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화장실내에 설치된 장치에 QR코드를 스캔하면, 80센티미터(cm) 길이의 휴지가 자동으로 나오는 시스템이다.
진위안옌사 측은 무료 휴지 남용 방지를 위해 실시간 온라인 모니터링을 실시하며, 1인당 하루 다섯 번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공익 스마트 휴지기를 개발한 선전(深圳) 쭤샹(坐享) 스마트과학기술유한회사는 “모바일 인터넷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업소 화장실 휴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나아가 자원 낭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개발 취지를 밝혔다.
이 회사는 현재 베이징 진위안옌사 쇼핑몰 비롯해 화롄(華聯), 구이유(貴友), 왕푸징(王府井) 쇼핑몰 화장실 매장에 모두 1000여 대의 공익 스마트 휴지기를 설치했다.
왕푸징 쇼핑몰에 따르면 매년 화장실 휴지를 관리하는 데 드는 비용만 40~ 50만 위안(약 6746~8432만원)에 이른다. 쇼핑몰 측은 공익 스마트 휴지기 도입으로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에선 '공유경제' 바람을 타고 각종 공유 서비스가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있다. 국가정보센터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공유경제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41.6% 증가한 2조 9420억 위안(약 496조원)에 달했다. 이 시장은 향후 3년간 연평균 30% 이상의 고속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leem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