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가요

속보

더보기

[콘리뷰] "Put Your Hands Up!"…체인스모커스, 모두를 홀린 EDM의 향연

기사입력 : 2019년09월06일 22:49

최종수정 : 2019년09월09일 15:47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일렉트로닉 팝 듀오 체인스모커스가 EDM으로 체조경기장을 제대로 물들였다. 

체인스모커스(알렉스 폴·드류 태거트)는 6일 저녁 서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내한 콘서트 ‘체인스모커스 라이브 인 서울(The Chainsmokers Live in Seoul)’을 개최했다. 이번 단일 공연에는 총 8600명의 관객이 함께 했다.

[사진=Danilo Lewis]

이날 체인모커스의 본격적인 공연이 시작되기 전, 오후 6시부터 오프닝 게스트 DJ 닉 마틴이 무대에 올라 디제잉으로 분위기를 달궜다. 특히 데이비드 게타의 ‘티타늄(Titanium, Feat. Sia)’에서는 객석에 앉아 있는 관객들도 자리에 일어나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닉 마틴은 디제잉 도중 틈틈이 자신의 휴대폰으로 국내 팬들의 모습을 담으며 연신 밝은 미소를 지어보였다. 그는 한국말로 “손 머리 위로!”라고 외치며 호응을 유도했고, 무려 한 시간이 넘는 오프닝 공연으로 공연장을 흥분의 도가니로 만들었다.

무대에 오른 체인스모커스는 ‘테이크어웨이(Takeaway)’로 본격적인 공연의 시작을 알렸다. 이어 처음으로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 톱10에 진입한 ‘로즈스(Roses)’와 싱글차트 6위를 기록한 ‘파리(Paris)’ 등 유명 히트곡들을 선곡했다.

또 EDM 공연답게 화려한 레이저 조명과 이들의 비트, 드럼의 사운드가 어우러져 공연장을 가득 채웠다. 이들은 “이 아름다운 곳에 와서 기분이 좋다”며 열정적인 공연을 이어나갔다. 특히 드류 태거트는 노래를 함께 소화하며 무대를 누벼 관객들과 눈을 맞추고 호흡했다.

[사진=Danilo Lewis]

국내 팬들에게도 익숙한 곡들이 오프닝부터 선곡되자 객석을 가득 채운 팬들은 각자의 개성으로, 각자의 방법으로 공연을 즐기며 어느 때보다 자유분방한 공연이 진행됐다. 또 피처링 가수가 참여한 곡들의 보컬은 모두 관객들이 채우며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은 ‘떼창’을 다시 한 번 제대로 선보였다.

특히 스탠딩이 아닌 객석에 자리를 잡은 일부 팬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즐기는 것으로 모자라 통로쪽으로 이동해 자체 스탠딩을 만드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체인스모커스는 ‘콜 유 마인(Call You Mine)’ ‘돈트 렛 미 다운(Don't Let Me Down)’으로 EDM의 감각적인 비트를 제대로 선보였다. 또 공개된 음원과 달리 편곡을 통해 더욱 화려해진 라이브를 선사했다.

공연이 중반부로 갈수록 분위기는 걷잡을 수 없이 고조됐다. 알렉스 폴은 ‘에브리바디 헤이츠 미(Everybody Hates Me)’를 통해 드럼 실력을 선보였다. 이들은 자신들을 향해 환호성을 내지르는 팬들을 향해 양 손에 태극기를 들고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공연은 아티스트와 관객 모두 뛰어노는 하나의 축제의 장으로 변했고, 순식간에 후반부를 향해 달려갔다.

[사진=Danilo Lewis]

곧바로 이어진 ‘식 보이(Sick Boy)’ ‘ 두 유 민(Do You Mean)’ ‘호프(Hope)를 통해 공연장을 EDM의 향연으로 물들였다. 무대가 끝난 후 팬들의 환호성을 즐기던 드류 태거트는 “다음 곡은 우리가 제일 좋아하는 곡이다. 준비 됐나”라며 ’후 두 유 러브(Who Do You Love)’를 선곡했다.

이어 “크고 작은 페스티벌을 합쳐 한국에 4번 정도 왔다. 오늘이 최고의 시간이다”며 국내 팬들의 가장 큰 사랑을 받은 ‘클로저(Closer)’를 선곡, 관객과 진정으로 소통하며 즐기는 무대를 완성시켰다.

끝으로 체인스모커스는 ‘썸바디(Somebody)’ ‘디스 필링(This Feeling)’과 ‘썸싱 저스트 라이크 디스(Something Just Like This)’로 내한 공연을 마무리지었다.

이날 공연장 외관에는 다른 내한공연들과 달리 체인스모커스의 공연이 열리는 것을 알리는 현수막, 그리고 공연을 찾은 팬들이 추억으로 남길 수 있는 포토존 하나 마련돼 있지 않아 작은 아쉬움을 남겼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 뉴스핌 기고 국제 정세가 혼란스럽고 국지적 충돌과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 글로벌화가 역풍을 맞고 있고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직면한 많은 국가들은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 이러한 시기에 중국은 실질적인 행동으로 세계에 안정성과 긍정적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 중국은 세계 경제를 안정적 발전으로 이끄는 강력하고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세계 2위 경제국, 1위 제조업 대국이자 2위 소비시장이다. 이런 조건하에서 중국 경제는 체제와 수요, 공급, 인재 등 네가지 부문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보이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4년 중국 경제는 5% 성장률을 달성했고 GDP 증가량은 1조 500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중간 경제국가의 연간 경제 총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2025년 복잡한 환경과 숱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안정 성장 추세를 유지하여, 1분기 5.4% 성장을 달성했고 1~4월 상품무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더욱 중요한 성과는 외부의 압박과 억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돌파를 촉진하는 수많은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잇따라 '딥시크(DeepSeek)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설정된 발전 목표를 달성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엔진이자 안전 장치 역할을 계속 해 나갈 충분한 자신감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 대사. 사진=중국 대사관 제공.  2025.05.24 chk@newspim.com 중국은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확실한 힘이다.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 국책으로, 보호주의의 역류가 거셀수록 중국은 더욱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높은 수준의 개방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국제 사회가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것이다. 중국은 150여 개 국가 및 지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며, 30개 국가 및 지역과 23개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2024년 중국의 평균 수입 관세율은 이미 7.3%로 떨어져 절대 다수 국가보다 낮으며, 43개 최빈국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얼마 전 성공적으로 개최된 중국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는 주변국들과 협력하여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것임을 다짐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동남아 순방과 러시아 방문이 커다란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여러 국가 지도자들이 중국을 방문했다. 갈수록 더 많은 국가들이 중국과의 동행은 바로 기회와의 동행이며, 중국에 대한 신뢰는 곧 미래에 대한 신뢰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은 국제 질서를 수호하는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현행 국제 질서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이 체계의 수혜자이자 지지자, 수호자이다. 중국은 국가 간의 평등 및 호혜 상생을 견지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지향하며, '국력의 크기'를 발언권의 기준으로 삼거나 '자국 우선'을 국제 규칙 위에 두는 것에 반대한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은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국이다. 중국에 대해 '국제 질서 도전자'라고 지목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이전의 규칙 제정자(rule-maker)가 파괴자로 변해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부당한 관세 전쟁에 직면한 중국은 단호한 대응으로 국가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 나섰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공정성과 보편적 세계 정의를 수호하는데도 앞장섰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런 대응은 국제 사회의 많은 나라들이 적극적 협상을 통해 경제∙무역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여지를 넓혀줬다. 중국은 줄곧 각국의 운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더욱 그러하다고 여겨왔다. 중한 수교 이후 33년 동안 양국 간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은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으며, 양국 외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최근 몇 년간 중한 양국의 국가 상황과 지역 정세, 세계 구도에 모두 큰 변화가 있었고, 중한 관계의 복잡성도 다소 커졌다. 양국은 경험과 교훈을 총정리해 재인식, 재출발해야 한다. 이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중한 우호 협력의 강화가 양국과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는 점이다. 한국 정국에 변화가 일어나고 국제 정세 변화의 충격도 마주한 가운데, 대다수의 한국 국민은 국가적 통합을 강화하고 경제와 민생을 발전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많은 지인들은 중한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이 대내외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현재 중한 관계는 지난 날을 토대로 앞날을 개척하는 중요한 단계에 놓여 있다. 중국의 대(对)한국 정책은 확실하며, 중국은 최대한의 성의와 노력으로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할 의향이 있다. 한국이 시대 물결과 국제 흐름을 파악하고 바른 방향을 견지하며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건전하고 안정적이며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길 희망한다. 글 =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대사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2025-05-24 13:27
사진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유력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가유산청은 26일(한국시간)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로부터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한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 ICOMOS)의 심사결과 세계유산 목록의 '등재 권고'를 통지받았다고 밝혔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단일유산으로,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이후 2024년 1월에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엄격한 심사 절차를 거쳐, 이번에 이코모스로부터 세계유산 '등재 권고' 의견을 받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5.26 alice09@newspim.com 이코모스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며, 선사시대부터 약 6천 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의 발전을 집약하여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점에서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등재 기준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과 '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유일한 또는 적어도 독보적인 증거'를 충족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지닌 유산이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할 것을 세계유산위원회에 권고했다. 이번 권고에 따라, 오는 7월 6일부터 16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반구천의 암각화'의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등재가 확정되면 우리나라는 총 17건(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된다.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으로 최종적으로 등재될 때까지 지방자치단체 및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력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alice09@newspim.com 2025-05-26 17:5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