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특파원

속보

더보기

'바이든 시대' 샴페인 대신 중국 백주가 팡파레, 우량예 주가 대폭발

기사입력 : 2020년11월06일 10:29

최종수정 : 2020년11월06일 10:54

증국증시 '반란의 시대' 백주 상승 랠리 지속
우량예 매출 순익 15분기 연속 두자리 성장
선전 거래소 시가총액 첫 1조 위안대 돌파
시가 비중 마오타이 20%대서 50%대 근접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 중국증시에서는 후보 공약에 비춰 조 바이든 당선이 유력해지면 소비 관련주와 신에너지주를 사라는 말이 나돌았다. 개표 결과 실제로 판세가 조 바이든 후보 쪽으로 기울어진 5일 중국 증시에서는 소비주의 대표 분야인 백주 상장 종목들이 대거 '팡파레'를 울렸다.

텐센트 즈쉰구(自選股) 투자뉴스 플랫폼은 5일 중국증시 바이주(白酒, 백주) 상장사 19개사 가운데 거래중지 관리종목 한개사를 빼놓고 18개사 주가가 일제히 상승 랠리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쓰촨(四川)성 이빈(宜賓)의 농향형 백주 우량예(五糧液,000858.SZ) 주가는 2.68% 상승, 백주 업종 가운데 구이저우 마오타이(貴州茅臺, 600519.SH)에 이어 두번째로 시가 총액 1조위안을 돌파하는 위용을 떨쳤다.

주구이주(酒鬼酒)와 라오바이간주(老白幹)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고 이리터(伊力特)와 잉자궁주(迎駕貢酒) 주가는 각각 9%, 7%까지 상승했다. 몸집 큰 대형 우량주, 중국 증시 최고가주인 구이저우 마오타이 주가도 1.31%나 상승했다. 덕분에 중국증시 백주 기업 총 싯가는 4조3500만 위안으로 불어났다.

특히 구이저우 마오타이와 쌍벽을 이루는 백주기업 우량예의 주가가 올들어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의 주목을 한몸에 받고 있다.

우량예 주가는 5일 2.68% 오른 259.7위안을 기록, 백주업종 두번째 1조위안 돌파 기업이 됐을 뿐만아니라 선전증시 첫번째로 시가 1조위안 돌파(1조 84억위안) 기업에 등극했다. 우량예 주가는 선전 거래소 시가총액 두번째 기업인 닝더스다이(寧德時代)의 4000억 위안과도 두배 이상의 큰 시총 격차를 벌리며 쾌속 질주하고 있다.

코로나19는 물론 미국의 대 중국 무역제재와도 아랑곳없이 우량예 주가는 2020년들어 11월 5일 까지 97.94%의 폭등세를 나타냈다. 같은기간 구이저우 마오타이 주가 상승률(47.9%)를 큰 폭으로 뛰어넘는 실적이다.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중국 백주 우량예가 가파른 주가 상승 랠리를 보이며 11월 5일 선전거래소 시가총액 첫 1조위안 돌파 기업에 등극했다.   2020.11.06 chk@newspim.com

텐센트 즈쉰구 플랫폼은 우량예는 최근 강한 주가상승 랠리를 보이면서 구이저우 마오타이와의 시가총액 격차도 대폭적으로 줄여가고 있다고 밝혔다. 2019년만 해도 우량예 시가총액은 1975억 위안으로 마오타이 시가(7412억위안)의 26.65%에 머물렀다. 2020년 11월 5일 마오타이에 대한 우량예의 시가 비중은 46.42%로 두배 가까이 치솟았다.

중국 증시 전문가들은 '농향형 우량예 백주에는 거품이 없다' 고 말한다. 주가가 광폭 상승행진을 하는데에 충분히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얘기로, 무엇보다 최근 영업 실적이 그걸 강력히 뒷바침한다는 지적이다. 2020년 3분기 현재 우량예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2017년 이래 15분기째 두자리 수의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중이다.

우량예 1~9월 매출은 424억 9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비 14.53% 증가했다. 순이익은 15.96% 늘어난 145억 4500만 위안에 달했다. 코로나19로 소비가 급격히 위축됐음을 감안할때 엄청난 실적이 아닐수 없다. 이가운데 코로나19의 충격에서 벗어나 경제회복이 본격화한 3분기(7~9월) 매출은 17.83%나 증가했다.

우량예 등 백주 주가 랠리의 배후에는 실적 외에 향후 경제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공산당 19기 5중전회에서 내수시장과 기술자립을 14.5계획 기간(2021년~2025년) 경제운영의 핵심 목표로 내걸었다. 내수 시장을 육성하고 나서면 가장 양광을 받을 분야가 바로 백주 업종이다.  

중국증시는 또 백주 주가가 미국의 대선전이 한창이던 9월말 부터 가파른 상승 랠리를 보인 점을 주목한다. 바이든 후보 당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대표적 소비주인 백주 주가가 올랐다는 얘기다. 민생증권은 미국 선거일 한참 전부터 바이든 시대가 열리면 중국증시에서 내수주와 신에너지 종목이 뜰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