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라이브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올해 로에베공예상 최종 우승은 日 도예작가 이나자카 에리코

기사입력 : 2023년05월18일 11:42

최종수정 : 2023년05월18일 11:5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특별상은 베냉 도미니크 징크페, 日 모에 와타나베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로에베(LOEWE)는 2023 로에베 재단 공예상의 최종 우승자와 특별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2023 로에베 재단 공예상 최종 우승작은 이나자키 에리코 작가 (b.1972/일본)의 '메타노이아(Metanoia / 2019)'가 선정되었다. 

2023 로에베 재단 공예상 최종 우승자 이나자카 에리코 작가의 작품 '메타노이아'는 도자기의 섬세하고 정교한 결정들을 겹겹이 축적해 완성했다. 심사위원단은 이나자카 에리코 작가가 보여주는 경이롭고 매혹적인 도자기 공예에 감탄하며 '메타노이아'의 기술성과 예술성 간의 균형을 높게 평가하였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Eriko Inazaki 수상작 [사진=모에베 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

심사위원단은 올해 두 명의 특별 수상자를 선정했다.

작가 도미니크 징크페(Dominique Zinkpè, b.1969, 베냉)의 'The Watchers' (2022)는 단단한 나무 조각을 하나하나 조각한 정교하고 세밀한 조각의 이베지 인형으로 이뤄진 작품으로 탄생과 관련된 요루바족의 전통 문화를 보여준다. 심사위원단은 전통 문화를 조각으로 재해석하여 현대 공예로 확장될 수 있는 점을 높게 평하였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Dominique Zinkpe 수상작 [사진=모에베 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com

와타나베 모에(Moe Watanabe, b.1996, 일본)의 'Transfer Surface' (2022) 작품은 호두나무 껍질로 만든 상자는 계절의 순환에 대한 찬사이며, 일본 전통 꽃꽂이를 떠올리게 한다. 심사위원단은 작가의 재료 본질과 특성에 대한 높은 이해도, 전통 공예 방법은 목재 자체의 특성을 보여준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Moe Watanabe 수상작 [사진=모에베 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com

디자인, 건축, 저널리즘, 비평, 미술관 학예 분야를 선도하는 저명 인사로 구성된 13명의 심사위원단은 최종 우승 후보에 오른 작가 30명의 작품을 심사하여 최종 우승자를 선정하였다. 이번 심사위원단은 막달레나 오둔도(Magdalene Odundo), 아나추 자발베아스코아(Anatxu Zabalbeascos), 왕 슈(Wang Shu), 올리비에 가베(Olivier Gabet) 그리고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Patricia Urquiola) 등 인사로 구성되었다.

올해 로에베 재단 공예상은 깊이 고민하고 오랜 시간 숙련하며 소재를 기술적으로 잘 다루는 공예 작품들을 선별해 소개한다. 이번 공예상에 출품된 작품들은 예상을 벗어나는 형태와 색감으로 놀라움을 선사한다. 최종 후보에 오른 작품들은 5월 17일부터 6월 18일까지 뉴욕 노구치 미술관에 위치한 이사무 노구치 스튜디오에서 전시하며, 또한 디지털 전시로 함께 열릴 예정이다. 최종 후보에 오른 작품 전체가 수록된 전시 도록도 제작된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최종 우승작 전시 [사진=로에베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최종심 통과작들 전시 [사진=로에베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com

저명한 전문가 패널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총 117개 국가 및 지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제출한 2,700점이 넘는 작품들을 심사하여 2023년 1월에 최종 후보작 30점을 선정했다. 전 세계 16개 국가 출신의 최종 후보자들은 도자기, 목공품, 섬유, 가죽, 유리, 메탈, 장신구, 칠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를 아우르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매년 열리는 로에베 재단 공예상은 현대 공예의 탁월함, 예술성 그리고 독창성을 기리기 위해 로에베 파운데이션이 2016년 시작했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조나단 앤더슨이 고안한 이 대회는 오늘날의 공예의 중요성을 알리는 동시에 재능과 비전을 지닌 예술가들의 작품을 인정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 나가겠다는 약속을 쇄신하고자 시작되었다. 이 대회는 1846년 공동 공예 워크숍으로 시작한 로에베에 경의를 보내는 의미도 담고 있다.

조나단 앤더슨은 로에베 재단 공예상을 개최하며 "공예는 로에베의 본질입니다. 로에베 하우스는 공예라는 행위가 담고 있는 가장 순수한 의미를 추구합니다. 공예는 로에베 하우스와 가장 밀접한 분야이고, 여기에서 우리의 현대성이 발산됩니다." 라고 밝혔다. 

◆ 수상자 이력

▶ 이나자키 에리코(Inazaki Eriko, b.1972, 일본, 일본 다카마스 거주)

이나자키 에리코는 1995년 도쿄 소재 무사시노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1997년 교토시립예술대학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리가라키 도자문화공원의 입주작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여러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한 바 있다. 2017년에는 가가와현 문화예술 추천상을, 2018년에는 다카시마야 문화재단상과 제13회 파라미타 도예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Eriko Inazaki [사진=로에베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com

▶ 도미니크 징크페(Dominique Zinkpè, b.1969, 베냉, 베냉 코토누 거주)

도미니크 징크페는 베냉 코토누에서 설치, 드로잉, 페인팅, 조각, 비디오 등 다양한 작업을 하는 아티스트이다. 1993년, 코토누의 중국문화원에서 첫 전시회를 열었고, 같은 해 코트디부아르의 수도인 아비장에서 진행된 그라폴리 전시회에서 베냉을 대표하는 아티스트로 참여해 '올해의 젊은 아프리타 인재상'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5대륙에서 전시된 바 있으며, 베냉의 쟁수(Zinsou) 재단, 프랑스의 블라셰르(Blachère) 재단, 남아프리카의 자이츠(Zeitz) 아프리카 현대미술관(MOCA), 앙골라의 생디카 도콜로(Sindika Dokolo) 컬렉션 등 다수의 유명한 공공 및 개인 컬렉션에 포함되어 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Dominique Zinkpe [사진=로에베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

▶ 와타나베 모에(Watanabe Moe, b.1996, 일본, 일본 도쿄 거주)

도쿄에서 활동하는 와타나베 모에는 자연 및 식물 기반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자신이 공부한 도후쿠 지방으로 나가 재료를 채집한다. 주로 나무를 가지고 작업하는데, 작품 대부분이 직접 찾아낸 야생 으름덩굴과 일본 호두나무 껍질로 만들어졌다. 재료를 패집한 후에는 일본의 전통 직조기법을 기반으로 이를 조각, 직조, 재가공하여 현대적인 디자인 컨셉과 미학을 창조해낸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Moe Watanabe [사진=로에베재단] 2023.05.18 digibobos@newspim.com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KT, 2만명 'IMEI·폰번호 유출 우려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가 18일 서울 광화문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2차 브리핑을 열고, 불법 초소형 기지국(일명 펨토셀) 신호와 연계한 추가 피해 정황 및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KT는 전수 분석을 통해 불법 기지국 아이디(ID) 4개를 확인했고, 해당 신호를 수신한 고객이 누적 약 2만 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1차 브리핑 당시 KT가 발표한 2개 ID·1만 9,000여 명에서 범위가 더 확대된 수치다. 피해 고객 수도 278명에서 362명으로 늘었고, 누적 피해액도 1억 7,000만 원에서 약 2억 4,000만 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KT는 9월 5일 비정상 소액결제 패턴 차단 조치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전수 분석으로 불법 기지국 ID 4개 확인…2만 명 신호 수신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9월 5일 비정상 소액결제 패턴을 차단한 이후 현재까지 추가 피해는 없다"며 "1차 브리핑 당시 피해 고객 278명(피해액 1.7억 원)으로 파악했으나, 이후 고객 문의(VOC) 기반 추가 분석으로 362명·2억 4,000만원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열린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에 앞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이어 불법 초소형 기지국 추적 과정에 대해 "소액결제 2,267만 건을 전수로 펼쳐놓고 결제 패턴과 기지국 동작 패턴을 이중으로 분석한 결과, 불법 기지국 ID 4개를 검출했다"며 "이는 VOC 고객의 접속 로그에서 확인된 ID와 동일했다"고 덧붙였다. 또 "불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고객은 누적 약 2만 명으로 산출됐다"며 "다만 뒤늦게 확인된 두 개의 ID는 작동 시간이 매우 짧아 신호 수신 고객이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부연했다. 나아가 개인정보 유출 정황에 대해서는 "1차 브리핑에서 국제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MSI)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민관합동조사단과의 확대 분석 결과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번호(IMEI)와 휴대폰 번호도 단말 기종·사용 환경에 따라 전송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다만 유심(USIM)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았고, 고객 성명·생년월일 역시 KT를 통해 유출된 정황이 없어 복제폰 생성 가능성은 낮다"고 선을 그었다. ◆ 피해 고객 전액 보상, 2만 명에 '안전안심보험' 무상 제공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은 추가 피해가 발생한 부분을 고려해 고객 케어 방안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피해 고객 전체에 대한 청구 조정을 진행 중이며, 278명은 조정 완료, 추가 확인된 84명도 금일까지 마무리하겠다"며 "신용카드 결제 시점 차이 등으로 발생한 금액은 즉시 환불 처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이어 "현재 무료 USIM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하고 있다"며 "피해 우려 고객 2만 명 전원에게 'KT 안전안심보험'(가칭)을 3년간 무료 제공해 금융사기 피해를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또 "오후 3시부터 KT 매장·고객센터·홈페이지에서 피해 여부 확인 시스템을 오픈했고, 24시간 전담 고객센터를 지속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T는 현장 대응 강화도 예고했다. 김 본부장은 "전국 2,000개 매장을 '안전안심 전문매장'으로 전환해 후후 앱 기반의 보안 점검, 악성 앱 탐지, 피싱 대응 안내 등을 상시 지원하겠다"며 "매장별 안전안심 담당자를 지정하고 IT 서포터즈를 활용해 피싱 예방 교육을 연말까지, 내년 이후에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2차 인증 확대와 관련해서는 "고위험 업종에 대해 9월 9일부터~12일까지 PASS 생체/핀 인증을 적용했다"며 "정부·유관기관 지침과 별개로 선제적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펨토셀 18.9만 대 현황 공개…미사용 4.3만 대 차단·회수 착수 KT는 이날 브리핑에서 펨토셀 관리 실태도 공개했다. 구 본부장은 "총 설치 18.9만 대 중 시점별 가동 장비는 15~16만 대 수준"이라며 "3개월 미사용 4.3만 대는 연동 해지 조치했고, 2주 이내 전수 점검해 정상 사용 확인, 철거·회수 또는 영구 접속 차단을 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 기지국 추정 방식과 원인에 대해 "합법 장비를 불법 개조하거나, 고출력 앰프를 추가 연결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실내용 이동형 형태로 제작해 광범위한 커버리지를 확보한 정황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로그 분석 기준으로는 ID 4개가 확인됐고, 하드웨어 실물 대수는 수사로 확인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복제폰 가능성 논란에 대해 손정엽 KT 디바이스본부장은 "복제폰에는 IMEI·IMSI·인증키 3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며 "인증키는 유심(HSM 주입)과 서버에만 암호화 저장돼 있으며 통신망을 오가지 않는다. 따라서 IMEI·IMSI만으로는 복제 불가"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KT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보안 관련 투자도 확대하기로 했다.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은 "KT는 수개월 전 향후 5년간 보안 투자 1조 원 계획을 밝힌 바 있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올해·내년 우선순위를 모바일 서비스·단말 보안으로 재배치하고, 보안 거버넌스 강화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용어 설명 펨토셀(Femtocell) :초소형 이동통신 기지국.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 설치해 휴대폰 신호를 보강하는 장치. 불법 개조 시 해킹·소액결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음.VOC (Voice of Customer) :고객 불만·문의 사항. 기업이 문제를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때 쓰는 데이터 소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국제 이동가입자 식별번호) : 유심(USIM)에 저장된 번호.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로, 유출될 경우 특정 가입자의 통신 기록 추적이 가능.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번호) :단말기(휴대폰) 고유 식별번호. 분실·도난 시 기기 차단이나 추적에 활용. USIM 인증키 : 통신사 네트워크에 가입자임을 인증하는 핵심 암호화 키. 유심 칩과 서버에만 저장되며, 유출되면 복제폰 생성 가능성이 생김. 복제폰(Clone Phone) : 정식 단말과 동일한 IMSI, IMEI, 인증키를 복사해 만든 불법 단말기. 원래 가입자처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음. dconnect@newspim.com 2025-09-18 17:18
사진
롯데카드 '297만명' 해킹 당했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롯데카드가 최근 발생한 사이버 해킹 사고로 총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이 가운데 28만명은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CVC(카드 확인 코드)번호까지 함께 노출돼 부정 사용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카드는 전사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고객 피해 차단에 나서고 있으며 피해 발생 시 전액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또 무이자 할부와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카드사용 알림 서비스 등을 연말까지 무료로 제공하고 향후 5년간 1100억원을 투입해 정보보호 예산을 업계 최고 수준인 15%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18일 롯데카드는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사고 경과와 피해 규모, 향후 대책을 발표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 자리에서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로 고객 여러분께 크나큰 불안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대표이사로서 무한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현재까지 고객정보가 악용된 피해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만약 피해가 발생한다면 전액 보상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해킹 피해에 대해 대대적인 사내 인적 쇄신을 예고하며 필요할 경우 사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롯데카드에 따르면 이번에 유출된 정보는 지난 7월 22일부터 8월 27일 사이 온라인 결제 과정에서 생성·수집된 데이터다. 전체 회원(약 960만명)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297만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왼쪽 다섯번째)와 임직원들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2025.09.18 yooksa@newspim.com 이 가운데 269만 명은 연계정보(CI), 가상결제코드 등이 유출돼 카드 부정 사용 가능성은 낮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그러나 28만 명은 카드번호·비밀번호 일부·유효기간·CVC 번호 등이 함께 노출돼 '키인 결제(KEY IN)' 방식 등 특수 결제를 통한 부정 사용 위험이 존재한다. 조 대표는 "현재까지 부정 사용 사례는 없다"며 "해외 온라인 결제는 전화 본인 확인 후 승인되도록 하고, 국내 키인 결제 가맹점도 추가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해 부정 사용 가능성은 낮다"고 강조했다.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고, 부정사용 우려가 큰 28만명에 대해서는 재발급 문자와 안내전화를 병행하고 있다. 해당 고객들에게는 차년도 연회비를 전액 면제하기로 했다. 조 대표는 "17일 기준 28만명 중 약 5만5000명이 재발급·사용정지·탈회 절차를 완료했다"며 "연회비 면제 규모는 최소 56억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앱 메인 화면에 재발급·해외결제 차단·비밀번호 변경 메뉴를 배치하고, 동시 접속 인원을 60만명까지 확대했다. 24시간 전용 상담센터 인력도 보강했다. 조 대표는 "해커가 1.7GB 파일을 압축해 반출한 뒤 흔적을 교묘하게 지워 초기 파악이 어려웠다"며 "200GB의 데이터를 4700여 개 조각으로 나눠 가져갔고, 복구 및 고객별 매칭 과정에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MBK파트너스 인수 이후 정보보호 투자가 소홀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2019년 당시 71억원 수준이던 정보보호 투자가 2021년 137억원으로 늘었고 인력도 19명에서 현재 30명 수준으로 확대됐다"며 일축했다. 롯데카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보안 투자를 대폭 강화한다. 향후 5년간 1100억원을 투입해 서버·운영체제·소프트웨어 환경을 전면 교체하고 전담 레드팀을 신설해 해킹 침투를 가정한 상시 점검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조 대표는 "이번 사태를 단순한 보안사고로 보지 않고 고객 중심의 경영 혁신 계기로 삼겠다"며 "대표이사를 포함한 대대적 인적쇄신과 IT 인프라 전면 개편을 연말까지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yunyun@newspim.com 2025-09-18 17:02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