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와 은유 뒤섞은 충청도 사투리 드라마, 예능, 영화 등서 매력 발산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충청도 사투리를 소재로 한 유머시리즈가 많다. 아버지와 아들이 산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 먼저 산에 오른 아들이 큰 바위가 굴러 떨어지는 걸 보고 아버지에게 말했다. "아부지, 돌 굴러가유." 내려와서 보니 아버지 장례를 치루고 난 뒤였다. 그만큼 충청도 사투리가 느리다는 거다. 충청도 아저씨들끼리 대화가 오간다. "개 혀?""혀". 개고기를 먹냐는 질문에 먹는다는 답이다. 극단적으로 짧은 충청도 사투리의 한 예다.
충청도 시골 장날 할머니가 고구마를 팔고 있었다. "할머니? 이 고구마 얼마죠?", "알아서 줘유.", "그래도 얼마인지 말씀하셔야죠. 삼천 원 드리면 될까요?","냅둬유. 우리집 개나 주게." 좀체로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충청도 사람을 비유한 유머다.
맛깔스런 충청도 사투리의 맛을 살린 드라마 '소년시대'(극본 김재환, 연출 이명우)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대중문화 속의 충청도 사투리가 주목받고 있다. 1989년 충청남도 부여를 배경으로 하는 이 드라마는 안맞고 사는 게 목표인 '온양 찌질이' 장병태(임시완 분)가 하루아침에 '부여 쌈짱'으로 변신하여 대활약하는 코믹액션 드라마다. 지난해 연말 쿠팡플레이를 통해 공개된 이후 입소문을 타면서 속편 제작까지 확정됐다는 소식이다.
구수한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하면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코믹액션드 라마 '소년시대'의 한장면. 사진 쿠팡플레이 제공 |
임시완은 특유의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하면서 찌질이 연기의 극치를 보여준다. 극중 모든 배역들도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한다, '가보는겨'라는 포스터 문구가 말해주듯 '찌질이' 장병태는 온양(현재 아산)을 주름잡던 '쌈짱'으로 오해받은 김에 새로 전학간 학교의 쌈짱으로 거듭난다.
극중에서 출연진들은 시도 때도 없이 "겨?"라고 물으면 "겨"라고 대답한다. "그렇지 않냐"라고 물으면 "그렇다"라고 대답하는 말이 딱 한 단어로 통합된 것이다. 전라도 사투리의 '거시기'와 맥을 같이 한다. "이"와 "이"가 고저장단을 달리하면 전혀 다른 뜻이 되기도 한다. 딱 한 단어로 긍정과 부정, 의문문이 오간다. "출겨", "할겨" 등 미사여구 없이 간단명료하다.
드라마의 인기로 유튜브에서는 충청도 사투리를 둘러싼 유머시리즈가 인기다. 충청도식 돌려 말하기가 대표적인 예다. 예를 들어서 "물이 미지근 하니 차가운 물로 바꿔줘"는 "이 물로 라면 끓여도 되겄다"라고 말한다. 충청도에서 연비가 좋은 차를 두고 어떻게 얘기할까? "아. 이 차는 기름 냄새만 맡아도 가유"라고 말한다.
충청도 사투리가 등장한 드라마나 영화, 개그 프로그램이 성공한 예는 얼마든지 있다. 시청률 23.8%를 기록한 KBS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주인공인 순경 용식이(강하늘)도 "워뗘? 환장하쥬?"등의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하면서 시청자들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충청북도 청주가 고향인 배우 이범수와 유해진은 특유의 충청도 사투리로 영화에서 자신만의 개성 넘치는 캐릭터를 구축한 배우다. 한때 개그맨 중에서 충청도 출신이 10명 중 3명이라는 통계도 있었다. KBS '유머 1번지'의 '괜찮아유' 코너에서 최양락은 충청도 사투리의 진수를 보여주면서 롱런했다. 개그맨 김학래, 남희석 등도 충청도 사투리로 인기를 얻었다. 이준익 감독의 영화 '황산벌'은 전라도 사투리와 충청도 사투리를 적절하게 뒤섞어 영화적 재미를 살렸다. 걸쭉한 사투리로 사극의 무게감을 파괴한 것이 인기를 얻게 된 요인이 됐다.
이문구는 누구보다도 충청도 사투리를 능수능란하게 구사한 작가였다. 충남 보령 출신인 그는 '관촌수필','우리 동네'등의 소설에서 유려한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하는 농촌소설로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학계에서는 전라도나 경상도식 직설화법보다는 은유에 강한 충청도 사투리가 대중문화 콘텐츠와 만나면 시너지 효과를 낸다고 분석했다. 문화비평가인 주창윤 언론영상학부 교수는 "충청도 사투리는 정치적으로나 지정학적으로 대립구도를 형상하고 있는 사투리가 아니다"라면서 "이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면서 보편성을 갖는다"라고 분석했다. 또 직설화법보다는 은유적 화법이 상대방을 하여금 거부감을 갖지 않게 하고, 똑똑하다는 느낌보다는 어눌한 느낌이 강하기에 상대방을 무장해제 시키는 마력도 있다"고 말했다. 충청도 사투리가 만들어가는 콘텐츠의 성공신화가 어디까지 계속될 것인지 사뭇 흥미롭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