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환경 경제실력 한중수교 초기 비해 상전벽해
중국 지장 포기 안할거면 대응 전략 180도 바꿔야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붉은 지붕에 짙은 녹음, 푸른 바다와 파란 하늘'.
착륙 직전 공중을 선회하는 항공기에서 내려다 본 중국 산둥성 칭다오(青岛) 풍경은 한폭의 수채화 같다.
넓은 칭다오 항구에는 선적을 기다리는 컨테이너들이 부두 마다 빼곡히 적재돼 있다.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지만 화물을 실은 배들은 여전히 항구를 분주하게 드나든다.
2024년 5월 27일 산둥성 칭다오 자오둥(胶东) 공항 상공. 항공기는 두어번 선회하더니 인천 출발 한시간 반만에 활주로에 기착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칭다오 상공 기내에서 내려다 본 칭다오 항. 사진=뉴스핌 촬영. 2024.06.06 chk@newspim.com |
입국 수속을 마치고 공항을 나오는데 100명에 가까운 젊은 학생들이 출구에서 북적이고 있었다. 다가가서 물어보니 자신들은 한국 아이돌 더보이즈 팬이라며 이날 한국서 오는 더보이즈 일행을 마중하러 나왔다고 소개했다.
'사드사태와 코로나 발생 이후 벌써 6~7년째 꽁꽁 막힌 중국내 한류 공연 규제가 차츰 완화되는게 아닐까. 뭣보다 이날 서울서 열린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간에도 관계개선을 위한 전기가 마련되지 않을까'.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공연하고 부질없는 기대 사항일 뿐 중국내 최대 규모 한국인 촌 칭다오의 현실에 투영된 한중 관계는 여전히 어두운 먹구름에 휩싸여 있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4년 5월 27일 칭다오 자오둥 공항 입국장에 중국 팬들이 중국에 오는 한국 아이돌 더보이즈 일원들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스핌 촬영. 2024.06.06 chk@newspim.com |
칭다오는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 1번지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1992년 8월 한중 수교 이후 가장 이른 시기에 가장 많은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몰려가서 터전을 닦았던 도시다.
수교 초기 우리 기업들은 이곳 칭다오에서 많은 영화를 누렸지만 동시에 비운을 겪기도 했다. 중국내 기업 코스트가 오르기 시작한 2000년대 중후반, 특히 2007년 세계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야반도주에 나서는 한국 기업들이 속출했다. 미중 충돌과 사드사태, 코로나 발생으로 인해 우리 진출 기업들은 최악의 상황으로 몰렸다.
27일 오후 칭다오 시내에서 만난 우리 교민은 한창 때 유동 인구까지 30만 명을 넘었던 한국 교민수가 현재 2만명 이하 정도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교민수 감소는 다양한 현지 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및 자영업자, 유학생 철수에 따른 것으로, 현재의 한중 관계가 얼마나 악화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멀리 30여년 수교 당시가 아니라 불과 2000년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 자본이 와서 성냥 공장, 나무젖가락과 이쑤시개 공장을 경영하는 경우도 많았어요. 달러만 가지고 오면 무엇을 해도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교민은 수교 후 한 15년은 중국 사업이 땅집고 헤엄치기 였다며 이렇게 말했다.
하지만 2000년대 중 후반 부터 중국에서도 점차 인건비와 임대료가 오르고 환경 및 노동 규제가 강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와중에 조선족을 포함한 중국 기업들이 더 유리한 사업기회를 잡으면서 한국 기업들은 점차 자본력과 비즈니스에서 중국계에 밀리기 시작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산둥성 칭다오 자오저우만의 자오저우만 해상대교. 사진= 뉴스핌 촬영. 2024.06.06 chk@newspim.com |
예전에는 중국 도시라고 느낄 수 없을 만큼 한국을 빼닮았던 칭다오 청양구. 5월 말 한국인들의 집단 거주촌인 청양구를 찾았을 때 이곳이 옛날 그 청양구가 맞나 싶을 정도로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현지에서 만난 한국 교민은 2007년 세계 금융위기로 생업이 힘들어지면서 많은 한국인들이 한국으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사드와 코로나를 거치면서 한인들이 급격히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칭다오내 한인촌이 위축되고 우리 기업 활동이 부진해졌지만 중국 지방 경제 대도시 칭다오 자체의 번영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미국의 제재와 코로나19 발생으로 중국 경제는 전에 없던 타격을 입었고 칭다오 경제도 그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하지만 칭다오는 산둥성의 성도인 지난(济南)시 보다 큰 경제력과 함께 연해 개방 도시로서 잇점을 살려 다른 도시보다 한발 앞서 침체의 터널을 벗어나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산둥성 칭다오 홍도 지역 스마트 산업단지 헥사콘 기업 전시실에 AI 인공지능 수술 모형도가 놓여 있다. 사진=뉴스핌 촬영. 2024.06.06 chk@newspim.com |
칭다오는 서울보다 많은 1000여만 명의 인구를 거느린 도시로, 2023년 코로나 통제 후유증에도 불구하고 5.9%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코로나 통제 해제 원년인 이 해 칭다오를 찾은 국내외 관광객은 1억 3천만명을 넘었다.
광둥 ~홍콩~ 마카오를 잇는 해상 대교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긴 해상 다리 자오저우만(胶州) 대교. 전장 40여 킬로미터의 이 다리는 칭다오의 도시 번영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생생한 실물 조감도다. 다리 건너 자오저우만 현급시에는 칭다오가 자랑하는 중국 상하이협력기구 지방 경제무역시범구(상허 시범구)가 들어서 있다.
칭다오는 첨단 제조와 경제의 디지털 전환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칭다오 홍도 지역에 위치한 헥스콘 스마트산업단지는 칭다오가 자랑하는 스마트 기술 요람으로서 글로벌 R&D 센터를 포함한 스마트 제조 파크의 위용을 뽐내고 있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