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 관세로 옮겨진 것일 뿐...가짜뉴스는 알면서도 보도 안 해"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자제품 등에 대한 관세 면제는 결코 없으며, 현재 반도체 및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지난 금요일 나온 관세 관련 발표가 결코 관세 면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어느 국가도 무역 불균형 및 비관세 장벽 등 부당한 조치들로부터 면죄부를 받지 못할 것이라면서, 특히 이를 부당하게 사용해 온 중국은 결코 예외가 될 수 없다고 썼다.
![]() |
[사진=트럼프 트루스소셜 계정] |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금요일 관세 '면제' 품목은 없었으며, 해당 제품들은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가 계속 적용되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겨진 것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짜 뉴스들은 이 사실을 알고도 보도하지 않으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국가 안보 차원의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 및 전자 공급망 전체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조사에서 확실해진 점은 미국이 자국 내에서 제품을 생산해야 하며, 다른 나라들, 특히 적대적인 무역 상대국인 중국에 의해 인질처럼 잡혀 있어선 안 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 국민을 무시하려 온 힘을 다해 움직이고 있다면서, 미국은 그들이 수십 년 동안 무역에서 미국을 착취해 온 것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고 썼다.
또 다가올 미국의 황금시대(Golden Age of America)에는 이미 하원과 상원에서 상당 부분 통과된 세금 및 규제 인하 등을 포함해 미국 내 제품 생산을 늘리고 더 많고 더 나은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나라들, 특히 중국에 대해, 그들이 우리를 대했던 방식과 똑같이 대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결론적으로 미국은 지금보다 더 크고, 나은 강력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난 11일 미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중국산을 포함한 주요 전자제품이 상호관세뿐 아니라 이른바 보편관세 10% 부과 대상에서도 제외된다고 밝혔다. 제외 대상에는 스마트폰·컴퓨터·디스크 드라이브·메모리칩·반도체 제조 장비 등 20개 품목이 포함됐다.
이를 두고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무역 정책 속에서도 유연성을 보인다는 신호로 받아들였고, 향후 미·중 간 협상 기대감도 고조되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으로 시장 분위기가 다시 반전될지 주목된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