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개선한 LH, 경영평가 등급 추가 상승 기대
투기 논란 딛고 반등한 LH…이한준 '경영 정상화' 마무리짓나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2년 연속 공기업 경영평가 등급을 끌어올리며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22년 취임 이후 경영평가 등급 개선에 매진해 지난해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등급 상승을 기대할 만하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과거 일부 임직원의 땅 투기와 같은 큰 사고가 없었던 점도 경영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기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주택 공급확대에 초점을 맞춘 공약을 내건 만큼 대선 이후 LH의 부채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 |
◆ 실적 개선한 LH, 경영평가 등급 추가 상승 기대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공기업 경영평가 등급이 C로 올라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해 실적 개선으로 올해 한단계 등급 추가 상승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사장은 경영평가 개선을 위해 취임 이후 고강도 혁신 방안 이행에 나섰다. 하지만 경영평가 요소 가운데 부채비율 측면에선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LH의 부채규모는 매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22년 146조6172억원이었던 부채는 2023년 152조8473억원으로 늘었고 지난해 160조1055억원으로 역대 최대규모를 찍었다. 윤석열 정부 들어 임대주택 공급 확대와 3기 신도시 조성 등 대규모 정책사업을 추진한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채는 늘고 있지만 부채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2022년 218.3%였던 부채비율은 지난 2023년 218.3%로 0.4%포인트(p) 줄었다. 지난해에는 217.6%로 2년새 1.1%포인트(p) 낮아졌다.
LH의 주택공급 확대에 따른 매출과 영억이익 증가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해 LH는 각 사업 부문별로 토지와 주택 매출이 늘어나면서 매출액 15조5722억원, 영엽이익 3403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2%, 680.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매출 이익률이 높은 공동주택 용지 공급이 증가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는 게 LH측 설명이다. 지난해 LH는 194만㎡ 규모 65필지 공급을 추진했다. ▲수도권 41필지, 123만㎡ ▲지방권 24필지, 71만㎡로 이 가운데 건설업계에서 관심이 높은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계양 등 3기 신도시 우량 입지 토지가 대거 공급됐다.
◆ 투기 논란 딛고 반등한 LH…이한준 '경영 정상화' 마무리짓나
LH는 지난 2023년 경영평가에서 보통(C) 등급을 받았지만 재무 분야 경영평가는 D등급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영업이익 증가를 통해 재무 분야 평가 등급이 개선되면서 전체적인 등급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공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3년 연속 우수(A) 등급을 받을 만큼 경영 전반에 걸쳐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연속 미흡(D) 등급으로 낙제점을 받았다.
일부 직원의 땅 투기 문제가 불거지면서 2020년도 경영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당시 LH 종합등급을 지표별로 보면 윤리경영에서는 최하등급인 'E'(아주 미흡)를 받았다. 리더십, 조직·인사, 재난·안전 등 주요 지표에서도 낮은 등급인 'D'(미흡)가 매겨졌다.
이 사장 취임 이후 과거처럼 직원들의 비위행위가 발견되지 않았고 재무 상태도 나름 개선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라 임기가 6개월 남은 이 사장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경영평가 등급을 높이면서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선 주요 후보들이 주택 공급확대에 초점을 맞춘 공약들을 내건만큼 다음달 조기 대선 이후 LH의 부채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일각에선 부채 증가에 따른 부담으로 이 사장이 올해 11월까지 임기를 마치지 않고 조기퇴진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김현준 전 LH 사장이 새 정부 출범 이후 자진 사퇴한 것처럼 임기를 채우지 않고 물러날 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여야 모두 주택공급에 대한 공감대가 있는 만큼 LH의 역할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다만 정권이 바뀔 경우 기관장 교체가 관행처럼 이뤄졌던 만큼 임기를 모두 채울지는 지켜봐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min72@newspim.com